728x90 도덕경50 제 14장. 찬현(贊玄), 도기(道紀) 제 14장. 찬현(贊玄), 도기(道紀) 근원자리 도의 기원 1. 원문 視之不見 名曰夷 聽之不聞 名曰希시지불견 명왈이 청지불문 명왈희 搏之不得 名曰微 此三者 不可致詰 故混而爲一박지부득 명왈미 차삼자 불가치일 고혼위위일 其上不교 其下不昧 繩繩不可名 復歸於無物 是謂無狀之狀기상불교 기하불매 승승불가명 복귀어무물 시위무상지상 無物之狀 是謂恍惚무물지상 시위홀황 迎之不見其首 隨之不見其後영지불견기수 .. 2025. 1. 20. 제 13장. 염치(厭恥), 애신(愛身) 제 13장. 염치(厭恥), 애신(愛身) 1. 원문 寵辱若驚 貴大患若身 何謂寵辱若驚총욕약경 귀대환약신 하위총욕약경 寵爲上 辱爲下 得之若驚 失之若驚 是謂寵辱若驚총위상 욕위하 득지약경 실지약경 시위총욕약경 何謂貴大患若身 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身 及吾無身 吾有何患하위귀대환약신 오소이위대환자 위오유신 급오무신 오유화환 故貴以身 爲天下 若可寄天下 愛以身 爲天下 若可託天下고귀위신 위천하 약가기천하 애위신 위천하 약가탁천하 2. 해설 .. 2025. 1. 18. 제 12장. 검욕(檢欲), 목복(目腹) 제 12장. 검욕(檢欲), 목복(目腹) 욕심 내지 않는다 1. 본문五色令人目盲 五音令人耳聾 五味令人口爽오색령인목맹 오음령인이롱 오미령인구상馳騁畋獵 令人心發狂 難得之貨 令人行妨치빙전렵 영인발광심 난득지화 영인행방是以聖人 爲腹不爲目 故去彼取此시이성인 위복불위목 고거피취차 [오색은 사람의 눈을 멀 게 하고, 오음은 사람의 귀를 먹게 하며, 오미는사람의 입을 버리게 한다.][말을 타고 달리며 새나 짐승 사냥을 하는 짓은 인간의 마음을 미쳐 버리게 한다. 얻기 어려운 재화는 사람의 행동을 속박한다.][그러므로 성인은 배만을 채우고 눈을 위하지 않으니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한다.]원래에는 아무것.. 2025. 1. 16. 제 10장. 능위(能爲), 현덕(玄德) 제 10장. 능위(能爲), 현덕(玄德) 1, 원문 載營魄抱一 能無離乎재영백포일 능무리호專氣致柔 能嬰兒乎전기치유 능영아호滌除玄覽 能無疵乎척재현람 능무자호愛民治國 能無知乎애민치국 능무지호天門開闔 能無雌乎천문개합 능무자호明白四達 能無爲乎명백사달 능무위호生之畜之 生而不有 爲而不恃 長而不宰 是謂玄德생지축지 생이불유 위이불시 장이부재 시위현덕 2. 해설 .. 2025. 1. 12. 이전 1 ··· 7 8 9 10 11 12 1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