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도덕경50 제 5장. 허용(虛用), 불인(不仁) 제 5장. 허용(虛用), 불인(不仁) 1. 원문 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천지불인 이만물위추구聖人不仁 以百姓爲芻狗성인불인 이백성위추구天地之間 其猶槖籥乎천지지간 기유탁약호虛而不屈 動而愈出허이불굴 동이유출多言數窮 不如守中. 다언삭궁 불여수중 2. 해설 .. 2025. 1. 2. 제 4장. 무원(無源), 혹존(或存) 제 4장. 무원(無源), 혹존(或存) 1. 원문 道沖 而用之 或不盈도충 이용지 혹불영淵兮 似萬物之宗연혜 사만물지종挫其銳 解其紛 和其光 同其塵 湛兮 似或存좌기예 해기분 화기광 동기진 담혜 사혹존吾不知誰之子 象帝之先오부지수지자 상제지선 2. 해설 [道는 비어 있어, 아무리 써도,.. 2024. 12. 31. 제 3장. 안민(安民), 위무위(爲無爲) 제 3장. 안민(安民), 위무위(爲無爲) 1. 원문 不尙賢, 使民不爭.불상현, 사민부쟁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불귀난득지화 사민불위도不見可欲, 使民心不亂.불견가욕 사민심불란是以聖人之治,시이성인치지虛其心, 實其腹,허기심 실기복弱其志, 强其骨,악기지 강기골常使民無知無欲, 使夫知者不敢爲也.상사민무지무욕 사부지자불감위야爲無爲則無不治.위무위즉무불치 2. 해설 .. 2024. 12. 29. 제 2장. 양신(養身), 무위(無爲) 제 2장. 양신(養身), 무위(無爲) 1. 원문 天下 皆知美之爲美 斯惡已천하 개지미지위미 사악이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개지선지위선 사불선이故 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形 高下相傾 音聲相和 前後相隨고 유무상생 난이상성 장단상형 고하상경 음성상화 전후상수是以聖人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시이성인처무위지사 행불언지교萬物作焉而不辭 生而不有 爲而不恃만물작언이불사 생이불유 위이불시功成而不居 夫唯不居 是以不去공성이불거 부유불거 시이불거 2. 해설 .. 2024. 12. 27. 이전 1 ··· 9 10 11 12 1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