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3장. 은시(恩始), 이세(易細)
1. 원문
爲無爲 事無事 味無味 大小多少
위무위 사무사 미무미 대소다소
報怨以德 圖難於其易 爲大於其細
보원이덕 도난어기이 위대어기세
天下難事 必作於易 天下大事 必作於細 是以聖人 終不爲大 故能成其大
천하난사 필작어이 천하큰일 필작어에 시이성인 종불위대 고능성기대
夫輕諾必寡信 多易必多難 是以聖人猶雖之 故終無難矣
부경락필과신 다이필다란 시이성인유수지 고종무난의
2. 해설
[무위로서 행하고, 무사로서 일하고, 무미로서 맛을 삼고, 큰 것은 작
게 많은 것은 적게 하며.]
[원한을 덕으로 갚고, 쉬운 것에서 부터 어려운 것을 도모하고, 미세한
것에서 부터 큰 것이 되게 한다.]
[천하의 어려운 일은, 필히 쉬운 일부터 시작되며, 천하의 큰일은, 필히
미세한 것부터 시작하니, 성인은 끝까지 크게 하려 하지 않으며, 그래서
성인은 큰일을 이룰 수가 있다,]
[대저 가벼운 약속은 반듯이 믿음이 없고, 쉬움이 많으면 어려움도 많고,
그래서 성인은 쉬워도 오히려 어렵게 하며, 고로 끝내 어려움이 없다.]
3. 게송
어떤일도 무심으로 in a casual manner
행을하고 객관적인 do and be objective
사고로서 생각하며 thinking about it as an accident
어느쪽도 치우치지 It's either way
아니하게 처리하면 If you don't treat it like that
쉬운일도 어려움도 It's easy and difficult
능히극복 만사형통 a full-blown container
무심으로 모든일을 I'll do everything casually
바라보면 맑은머리 If you look at it, it's clear hair
빠른두뇌 회전속에 at a fast pace of brain rotation
공정하게 희노애락 To be fair,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담지않아 현명하게 Don't put it in the picture. Wisely
판단하고 결정하니 Because I'm judging and deciding
모든일이 순조롭게 everything goes smoothly
이뤄지고 쉬워지네 It's getting easier
인연따라 인과관계 a causal relationship
담고나서 일을보면 If you look at the work after you put it in
공과사가 섞여져서 in a mixture of public and private affairs
판단력이 흐려지니 Because I'm not good at judgment
실이많고 어려우네 There's a lot of thread and it's hard
'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65장. 순덕(淳德), 계식(稽式) (52) | 2025.05.02 |
---|---|
제 64장 수미(守微), 종사(從事) (42) | 2025.04.30 |
제 62장. 위도(爲道), 좌진(坐進) (59) | 2025.04.26 |
제 61장. 겸덕(謙德), 취국(取國) (54) | 2025.04.24 |
제 60장. 거위(居位), 불상(不傷) (56)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