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반야심경

02. 반야심경의 종류

by 꽃단청 2025. 7. 11.
728x90

02. 반야심경의 종류                                                   

 『반야심경』은,
원본인 범어본(梵語本)을 토대로 중국에서 한역(漢譯)된 경전입니다.
그런데, 이 경전은 범어본인 원본에도 이본(異本)이 있고,
한역본(漢譯本)에도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독송되고 있는 『반야심경』은,
중국 당대(唐代)의 삼장법사(三藏法師)인
현장스님께서 번역한 것입니다.
어쩌면, 이 판본이 오늘날 유일하게 독송되고 있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그러면, 여기서 『반야심경』의 한역본의 종류에 대해서

 

여러제자

 

1. 한역본의 종류                                                                                                        

 1) 마하반야바라밀대명주경(摩訶般若波羅蜜大明呪經)
  - 구마라집(鳩滅什) 역, 약본.

 2)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 현장(玄?) 역, 약본.

 3)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 반야(般若)?이언(利言) 공역, 광본.

 4) 보변지장반야바라밀다심경(普遍智藏般若波羅蜜多心經)
  - 마갈제국(摩竭堤國) 법월(法月) 역, 광본.

 5)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 지혜륜(智慧輪) 역, 광본.

 6)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 동천축국(東天竺國) 법월(法月) 역, 광본.

 7)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 의정(義淨) 역, 약본.

 8) 불설성불모반야바라밀다경(佛說聖佛母般若波羅蜜多經)
  - 시호(施護) 역, 광본.

 

 이상에서 본 것처럼,

반야심경』의 한역본에도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그러나,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으니,

 

2. 광본(廣本)과 약본(略本)                                                                                          

 1) 광본이란,
서분(序分), 정종분(正宗分), 유통분(流通分)의,
여타의 모든 경전이 갖추고 있는 형식을 갖춘 것을 말하며,

 

 2) 약본은,
통상 쓰이는 『반야심경』처럼,
서분과 유통분이 생략된 채 정종분만 갖춘 것을 말합니다.

이상에서 언급한 한역본 가운데
몇 가지의 『반야심경』을 참고로 공부해 나간다면
많은 참고가 될 것입니다.

 

                                                                                                                                  

 

728x90

'불교 > 반야심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 반야심경(般若心經) 역사 사상적분류  (88)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