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도덕경57 제 38장. 논덕(論德), 처실(處實) 제 38장. 논덕(論德), 처실(處實) 1. 원문 上德不德 是以有德 下德不失德 是以無德상덕부덕 시위유덕 부덕불실덕 시이무덕 上德無爲而無以爲 下德爲之而有以爲상덕무위이무이위 하덕위지이유이위 上人爲之而無以爲 上義爲之而有以爲상인위지이무이위 상의위지니유이위 上禮爲之而莫之應 則攘臂而잉之상례위지이막지응 즉양비이잉지 故失道而後德 失德而後仁 失仁而後義 失義而後禮고실덕이후덕 실덕이후인 실인이후의 실의이후예夫禮者 忠信之薄 而亂之首也 前識者 .. 2025. 3. 9. 제 37장. 위정(爲政), 박(樸) 제 37장. 위정(爲政), 박(樸) 1. 원문 道常無爲 而無不爲 侯王若能守之 萬物將自化 化而欲作도상무위 이무불위 후왕약능수지 만물장자화 화이욕작 吾將鎭之以無名之樸 無名之樸 夫亦將無欲 不欲以靜 天下將自定오장진지이무명지박 무명지박 부역장무욕 불욕이정 천하장자정 2. 해설 .. 2025. 3. 7. 제 36장. 미명(微明) 제 36장. 미명(微明) 1. 원문 將欲歙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强之장욕흡지 필고장지 장욕약지 필고강지 將欲廢之 必固興之 將欲奪之 必固與之장욕폐지 필고흥지 장욕탈지 필고여지 是謂微明 柔弱勝剛强 魚不可脫於淵 國之利器 不可以示人시위미명 유약승강강 어불가탈어연 국지이기 불가이시인 2. 해설 .. 2025. 3. 5. 제 35장. 인덕(仁德), 대상(大象) 제 35장. 인덕(仁德), 대상(大象) 1. 원문 執大象 天下往 往而不害 安平太 樂與餌 過客止집대상 천하왕 왕이불해 안평대 낙여이 과객지 道之出口 淡乎其無味 視之不足見 聽之不足聞 用之不可旣도지출구 담호기무미 시지부족견 청지부족문 용지불가기 2. 해설 .. 2025. 3. 3. 이전 1 ··· 3 4 5 6 7 8 9 ··· 1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