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삶

003. Bee CAM

by 꽃단청 2024. 11. 11.
728x90

003. Bee CAM                                                           

 

 

1. Bee CAM의 특징과 기능                                                                                       

꿀벌의 눈과 같은 기능을 갖는 Bee Cam은 꿀벌의 시각적 특성을 모방하여 설계

된 카메라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카메라는 꿀벌이 보는 방식과 유사하게 환경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주요 특징과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다양한 파장 감지:

 꿀벌은 인간이 볼 수 없는 UV(자외선) 파장을 포함한 다양한 파장을 감지할 수

습니다. Bee Cam은 이러한 UV 필터를 사용하여 꿀벌의 시각을 모방하여 환

경을 촬영합니다.

 

2) 넓은 시야각:

 꿀벌의 눈은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여 주변 환경을 넓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Bee Cam 광각 렌즈를 사용하여 이와 유사한 넓은 시야를 제공합니다.

 

3) 빠른 프레임 속도:

 꿀벌은 빠르게 움직이며, 따라서 Bee Cam높은 프레임 속도로 영상을 촬영

하여 벌의 빠른 행동을 포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꿀벌의 비행과 행동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3D 비전:

 꿀벌은 입체적으로 주변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부 고급

Bee Cam 스테레오 카메라 시스템을 사용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

니다. 이를 통해 벌의 행동을 더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5) 데이터 분석:

 Bee Cam은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꿀벌의 행동 패턴, 꽃의 위치, 꿀의 출처

등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머신 러닝 알고리즘이 적용되

어 행동 분석이 자동화될 수 있습니다.

 

6) 환경 모니터링:

 이러한 카메라는 꿀벌이 선호하는 꽃의 색상과 패턴을 분석하여 생태계의 변

화를 모니터링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를 통해 환경 변화에 대한 반응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Bee Cam은 꿀벌의 시각적 특성을 활용하여 벌의 생태와 행동을 깊이 이해하

는 데 기여합니다. 이를 통해 농업, 생태학, 보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연

구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2. 다른 세상                                                                                                               

 

1) 색다른 세계

 꿀벌이나 나비와 같은 곤충들도 사람과 같이 이 세상을 흑백이 아닌 색깔로 구분

할 수 있읍니다. 그러나 곤충들이 보는 세계와 사람이 보는 세계는 색깔이 다르겠

지요.

 

 사람이 보는 세계는 가시광선 이라는 빛의 파장에 의한 것이고 곤충들이 보는 세

계는 사람이 볼 수없는 불가시 광선인 자외선 이란 빛의 파장으로 색깔을 느낍니다.

 

 따라서 곤충들은 사람들이 적색으로 보는 빛을 느끼지 못합니다.

 

2) 색다른 삼원색

 사람이 느끼는 색을 적색 청색 녹색 (빨 파 초)의 3원색으로 나눌수 있고

꿀벌의 3원색은 청색 녹색 자외선색(파 초 자)이라고 할 수 있읍니다.

 

 자외선 색이 어떤 색깔인지 알수 없지만 꿀벌이 이것을 사람이 느끼는 적색으로

느낀다고 가정하면 꿀벌이 보는 세계를 사람이 알기 쉽게 표현 할수 있고 이 표현

을 하기 위해 특수 카메라가 개발 되었읍니다.

 

 이 개발된 카메라를 BeeCAM(BC)이라 합니다.

 

나비

 

3. Bee CAM의 세상                                                                                                  

 

1) 색다른 무늬

 이 카메라로 꿀벌과 배추흰나비와 같은 우리가 흔히 보는 곤충들이 보고 있는

세계를 들여 다 보면 BC로 여러 꽃을 촬영해 보았읍니다.

 그 결과 일부 꽃에서는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무늬가 나타났읍니다.

 

2) 색다른 무늬의 예

  삼잎 나무의 꽃잎은 전체가 해바라기 꽃잎처럼 노란 황색인데 BC로 본 모습

      은 꽃의 중앙 에서 꽃잎의 절반 정도 까지가 녹색으로 되어 있읍니다.

 

       이것은 녹색 부분이 자외선을 흡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몇몇 다른 종류의 꽃에서도 이러한 녹색 무늬가 있읍니다.

 

       이 무늬는 일명 밀표(蜜標)라 불리는 것으로 꽃이 꿀벌에게 꿀의 소재를 알리

      는 표지라 생각됩니다. 꿀벌은 밀표에 인도되어 꽃가루를 운반하게 됩니다.

 

 ② 배추 흰 나비의 경우 사람들 눈에는 암컷 숫컷 모두 흰색으로 똑같이 보이는데

     나비들은 어떻게 암수상대를 찾는지 알기 위해 BC으로 배추 흰 나비를 촬영한

     결과 놀랍게도 수컷은 물색으로 암컷은 분홍색으로 비추어 졌읍니다.

 

     자외선을 볼 수 있는 배추 흰 나비가 암수를 서로 구별하기는 쉬운 일이었다.

 

 ③ 모든 생물은 각기 자신들의 세계에서 순리대로 살 수 있도록 완전 하게 만들어

      져 있읍니다.

 

       설령 보이는 세계가 빛과 몸의 연관성으로 종마다 같지 않더라도 인연 따라와

      서 인연 따라 갈 때까지 빛의 허상 속에서 살고 있으며 그자체로서 완전한 세상

      에서 살고 있는 것 이지요

 

삼나무

 

                                                                                                                                  

 

728x90

'일상의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6. 양자역학[量子力學[quantum mechanics]  (68) 2024.11.17
005. 數이야기  (39) 2024.11.15
004. HOLOGRAM  (72) 2024.11.13
002. 신과 메아리  (50) 2024.11.09
001. 김치에 대하여  (100) 2024.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