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056. 개상사화

by 꽃단청 2025. 7. 2.
728x90

056. 개상사화                                                                         

 

 

1. 약초명                                                                                                                    

 수선화과(Amaryllidaceae)에 속하는 식물로, 학명은 *Lycoris aurea*입니다 [3].

 흔히 붉노랑상사화라고도 불리며 [2],

 상사화와는 달리 가을에 잎이 나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5].

 

2. 생약명                                                                                                                    

개상사화는 생약명으로 대일지전(大一枝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개상사화'

라는 식물명 자체로 약재 시장에서 통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주요 효능                                                                                                                

 개상사화는 약용식물로 분류되며 [1], 특히 비늘줄기(알뿌리)가 약재로 사용됩니다 [5].

주로 호흡기 질환에 활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5].

전통적으로는 기침, 가래 등 호흡기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4. 복용법과 특징                                                                                                         

 일반적으로 약용식물의 알뿌리는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으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합니

. 다만, 약재의 특성과 개인의 체질에 따라 복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지도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취급 방법                                                                                                                

 5-1. 성질

 개상사화의 약재로서의 구체적인 성질(: 한열, 귀경 등) 따뜻하며 맵다.

 5-2. 보관 방법

  약재는 일반적으로 습기가 없고 통풍이 잘 되는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특히

 알뿌리 형태의 약재는 곰팡이가 생기기 쉬우므로 건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

 니다. 밀봉하여 보관하면 약효 성분의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5-3. 약효 부위

  개상사화의 약효 부위는 비늘줄기, 즉 알뿌리입니다 [5].

 이 알뿌리 안에 약효 성분이 농축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5-4. 1회 사용량

  개상사화의 1회 사용량은 2~3g입니다.

 5-5. 독성

  상사화속 식물들은 일반적으로 알칼로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독성이 있다.

 개상사화 역시 수선화과에 속하므로,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하며, 반드시 전문가의

 지도하에 사용해야 합니다. 잘못된 복용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5-6. 장기 복용

  개상사화의 장기 복용에 대한 안전성 정보는 현재 제공된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습

 니다. 독성 가능성이 있는 약재이므로, 장기 복용 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반드

 시 전문가와 상담 후 결정해야 합니다.

 

6. 채취 정보                                                                                                                

 6-1. 서식지

  개상사화는 주로 남쪽 섬 지역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야생에서 채취할 경우 서식 환경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2. 채취 기간

  개상사화는 가을에 잎이 나오는 '추기출엽형' 식물입니다 [5].

 일반적으로 알뿌리 약재는 잎이 지거나 꽃이 진 후, 즉 식물의 영양분이 알뿌리로 집중

 되는 시기에 채취하는 것이 약효가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가을 잎이 나

 온 후 겨울이 되기 전이나, 이듬해 봄 잎이 나오기 전이 적절한 채취 시기가 될 수 있다.

 

7. 약초 생김새                                                                                                             

 7-1. 높이()

  개상사화의 구체적인 높이 정보는 대략 30~60cm 정도의 높이 일반적입니다.

 7-2. 꽃 특징

  개상사화는 붉은색 또는 노란색을 띠는 꽃을 피우며, '붉노랑상사화'라고도 불립니다 [2].

 상사화의 특징처럼 꽃이 필 때는 잎이 없고, 잎이 나올 때는 꽃이 없는 '꽃과 잎이 만나지

 못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4].

 7-3. 열매 특징

  8~9월에 원기둥 모양의 삭과가 달려 익으며 씨방은 3실에 녹색입니다.

 7-4. 잎 특징

  개상사화의 잎은 뭉쳐나며 넓은 줄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잎 끝은 뭉뚝하고 잿빛을

 띤 푸른빛을 띠는 것이 특징입니다 [2].

 특히, 개상사화는 가을에 잎이 나오는 '추기출엽형'입니다 [5].

 7-5. 번식 특징

  일반적으로 상사화속 식물들은 알뿌리(비늘줄기)를 통해 번식하거나 씨앗으로 번식

 합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개상사화와 유사한 효능을 가질 수 있는 약초로는 같은 상사화속에 속하는 식물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사화, 백양꽃, 꽃무릇(석산) 이 있으며, 이들 역시 알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5].

 이들 식물도 호흡기 관련 효능이나 다른 약리 작용을 가질 수 있으나, 각 식물마다 성

분과 효능에 미묘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구분이 필요합니다.

 

9. 참고 자료                                                                                                                

[1] blog.naver.com - 개상사화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mhdc/150021665841?viewType=pc)

[2] m.blog.naver.com - 8월 개상사화 상사화 붉노랑상사화 약용식물 약초 야생화 들꽃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isHttpsRedirect=true&blogId=mhdc&logNo=150034224499&proxyReferer=)

[3] www.iksaeng.com - 개상사화 | 익생닷컴

(http://www.iksaeng.com/hub/hubMain.jsp?hubnos=a541hd1l&with=kr&from=iks)

[4] Facebook - 그리움으로 가득한 꽃 상사화 이야기 - Facebook

(https://www.facebook.com/media/set/?set=a.508650995876751.1073741856.111054045636450&type=3)

[5] daum cafe - 상사화(相思花) - ······자연야 생 화 방 - 대한민국약초 ... - daum cafe (https://cafe.daum.net/sansam1119/JPx0/2407)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7. 개석잠풀  (129) 2025.07.04
055. 개살구나무  (151) 2025.06.30
054. 개사철쑥  (128) 2025.06.28
053. 개비자나무  (152) 2025.06.26
052. 개불알꽃  (116) 2025.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