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057. 개석잠풀

by 꽃단청 2025. 7. 4.
728x90

057. 개석잠풀                                                                         

 

 

1. 약초명                                                                                                                    

 개석잠풀은 꿀풀과(Lami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학명은 *Stachys japonica* var. *japonica*로 알려져 있으며, 석잠풀속(Stachys)

에 속하는 식물 중 하나입니다. 우리나라에는 개석잠풀 외에도 석잠풀, 털석잠풀, 우단

석잠풀 등 다양한 석잠풀속 식물들이 자생하고 있습니다 [5].

 

2. 생약명                                                                                                                    

 개석잠풀을 포함한 석잠풀속 식물들의 지상부를 한방에서는 '초석잠(草石蠶)' 또는

'광엽수소(廣葉水蘇)'라는 생약명으로 사용합니다 [5].

 이는 주로 석잠풀(Stachys riederi)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으나, 개석잠풀 역시 유사한

약리적 특성을 가질 수 있어 함께 언급되기도 합니다.

 

3. 주요 효능                                                                                                                

 개석잠풀은 한방에서 전초(全草)를 약재로 사용하며, 다양한 효능을 지닌 것으로 알

려져 있습니다. 주요 효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해열 및 해수 완화: 열을 내리고 기침을 멎게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4].

* 진통 및 정혈: 통증을 완화하고 혈액을 맑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4].

* 복통 완화: 복부 통증을 다스리는 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4].

* 소변 불리 및 부종 개선: 미열이 있고 소변을 잘 못 보며 몸이 붓는 증세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3].

* 중초 강화 및 생기 보충: 소화기 계통인 중초(비위)를 튼튼하게 하고, 기운을 북돋

  아 생기를 불어넣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1].

* 지혈 및 병후 허약 개선: 출혈을 멈추게 하고, 병을 앓은 후 허약해진 몸을 회복하

  는 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1].

 

4. 복용법과 특징                                                                                                         

 개석잠풀은 주로 전초를 달여서 복용하는 형태로 사용됩니다. 어린 싹은 나물로도 섭취

할 수 있습니다 [5].

 약재의 특성상 개인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복용량과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한의사 등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합니다.

 

 

5. 취급 방법                                                                                                                

 5-1. 성질

  개석잠풀을 포함한 석잠풀은 맛은 맵고 약간 달며, 성질은 따뜻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이러한 성질은 몸을 따뜻하게 하고 기혈 순환을 돕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5-2. 보관 방법

  채취한 개석잠풀은 깨끗이 세척한 후 햇볕에 잘 말리거나 건조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건조해야 합니다. 건조된 약재는 습기가 없고 통풍이 잘 되는 서늘한 곳에 보관하며,

 밀봉하여 보관하면 약효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5-3. 약효 부위

  개석잠풀은 꽃을 포함한 식물 전체, 즉 전초(全草)가 약재로 사용됩니다 [5].

 5-4. 1회 사용량

  개석잠풀의 1회 사용량에 대한 표준화된 정보 6`10g정도며,  약재의 사용량은 환자

 의 상태, 질병의 종류, 약재의 건조 상태 및 농축도에 따라 매우 유동적이므로, 반드

 시 전문가의 처방에 따라야 합니다.

 5-5. 독성

  제공된 자료에서는 개석잠풀의 직접적인 독성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 그러나 모든

 약재는 오남용 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지도 없이 임의로 복용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특히 체질에 맞지 않거나 과량 복용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

 습니다.

 5-6. 장기 복용

  개석잠풀의 장기 복용에 대한 안전성 정보는 현재 제공된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습니

 다. 약재의 장기 복용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반드시 한의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

 여 개인의 건강 상태와 약재의 특성을 고려한 후 결정해야 합니다.

 

6. 채취 정보                                                                                                               

 6-1. 서식지

  개석잠풀은 주로 산과 들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석잠풀속 식물들은 전

 세계적으로 300여 종이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도 여러 종이 서식합니다 [5].

 6-2. 채취 기간

  개석잠풀을 포함한 석잠풀속 식물들은 주로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채취하는 것이 일반

 적입니다 [1]. 이 시기에 식물의 약효 성분이 가장 풍부하게 축적되기 때문입니다.

 

7. 약초 생김새                                                                                                             

 7-1. 높이(키)

  개석잠풀의 높이: 석잠풀속 식물들은 일반적으로 30~60cm 내외인 경우가 많습니다.

 7-2. 꽃 특징

  개석잠풀의 꽃은 꿀풀과 식물의 특징인 입술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윗입술꽃잎은

 원형이고, 아랫입술꽃잎은 3갈래로 갈라지며 짙은 흑색 반점이 있고 밑으로 처져 있습

 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끝이 가시처럼 뾰족합니다. 수술은 4개로 2개는 길고

 2개는 짧으며(2강웅예), 암술은 1개입니다 [5].

 7-3. 열매 특징

  개석잠풀의 열매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현재 제공된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습니다.

 7-4. 잎 특징

  개석잠풀의 잎은 잎 뒷면 주맥 위에 가시털이 보이지 않는 특징을 가질 수 있습니다 [2].

 석잠풀속 식물 중 식물 전체에 털이 많으면 '털석잠풀'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5].

 7-5. 번식 특징

  개석잠풀의 번식 특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현재 제공된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습

 니다. 일반적으로 꿀풀과 식물들은 씨앗이나 줄기, 뿌리 등을 통해 번식합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개석잠풀과 비슷한 효능을 지닌 약초로는 같은 석잠풀속에 속하는 석잠풀(Stachys

riederi)과 털석잠풀 등이 있습니다. 이들 식물은 형태적으로 유사하며, 한방에서 유사

한 약리적 효능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석잠풀은 '초석잠'이라는 생약명

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미열, 소변 불리, 부종 개선 등에 사용됩니다 [3].

 

9. 참고 자료                                                                                                                

[1] 네이버 블로그 - 석잠풀 효능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dnfldkswndls/222369209693)

[2] 풀꽃나무 - 석잠풀속 식물들 비교 : 석잠풀, 개석잠풀, 털석잠풀, 가는 ... - 풀꽃나무

(https://kualum.tistory.com/17046716)

[3] Daum 카페 - 석잠풀(초석잠)의 효능 - 산약초 효능 - 산바람 야생화 향기 - Daum 카페 (https://cafe.daum.net/kyc6225/5nwM/119)

[4] blog.naver.com - [한국의산나물]개석잠풀 또는 털석잠풀 이라고 하며 한방에서는 전초 ... (https://blog.naver.com/jiw707/221471705743?viewType=pc)

[5] 약업신문 - <93> 석잠풀(Stachys riederi) - 약업신문

(http://m.yakup.com/pharmplus/index.html?nid=3000131888&mode=view&cat=)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6. 개상사화  (143) 2025.07.02
055. 개살구나무  (148) 2025.06.30
054. 개사철쑥  (127) 2025.06.28
053. 개비자나무  (152) 2025.06.26
052. 개불알꽃  (116) 2025.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