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113. 광나무

by 꽃단청 2025. 11. 5.
728x90

113. 광나무                                                                        

 

 

1. 개요                                                                                                                        

 여정실(女貞實)은 물푸레나무과(Oleaceae)에 속하는 상록활엽관목인 광나무

(Ligustrum japonicum Thunb.)의 잘 익은 열매를 건조하여 만든 한약재입니다.

'여정(女貞)'이라는 이름은 이 약재를 복용하면 여성처럼 정절을 지킬 수 있을 정도로

정력이 왕성해진다는 의미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을 정도로, 예로부터 강장 작용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간과 신장의 음기(陰氣)를 보충하고 보양하는

효능이 있어, 노화 방지, 시력 개선, 흰머리 개선 등 다양한 효능으로 동아시아 전통

의학에서 중요하게 활용되어 왔습니다.

 

2. 생약명                                                                                                                    

 광나무 열매의 생약명은 '여정실(女貞實)'입니다. 영어로는 'Ligustri Lucidi Fructus'

로 표기됩니다. 때로는 광나무 자체를 '여정목(女貞木)'이라고도 부르며, 열매가 마치 쥐

눈처럼 생겼다고 하여 '쥐똥나무'와 혼동되기도 하지만, 광나무와 쥐똥나무(남정목)는 엄

연히 다른 식물입니다.

 

3. 주요 효능                                                                                                                

 여정실은 다음과 같은 주요 효능을 가집니다.

* 간신음허(肝腎陰虛) 개선 및 자음강화(滋陰降火): 간과 신장의 음액을 보충하여 음허

  로 인한 증상을 개선합니다. 이는 허리 통증, 다리의 약화, 이명(귀울림), 어지럼증, 조

  기 흰머리 등에 효과적입니다.

* 시력 증진: 간은 눈과 연결되어 있어 간의 음기가 부족하면 시력 저하나 눈의 건조함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여정실은 간 음기를 보하여 시력을 밝게 하고 눈의 피로를

  덜어주는 데 도움을 줍니다.

* 강장 및 노화 방지: 남성의 정력을 높이는 만니톤(mannitol), 여성의 성감을 높이는

  시링긴(syringin)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강장 효과가 있습니다.또한, 꾸준히 복

  면 머리카락을 검게 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허약한 콩팥 보양: 겨울철 허약해지기 쉬운 콩팥(신장)을 보양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백모증 개선: 여정실은 술에 푹 적셔 찐 후 껍질을 벗겨 말려 가루 내어 환으로 만들어

  먹으면 백모증(흰머리) 개선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4. 복용법과 특징                                                                                                         

 여정실은 다양한 방법으로 복용될 수 있습니다.

* 차(茶): 겨울철에 채취한 열매를 그늘에서 말리고, 찜통에 한 번 쪄서 다시 말린 후, 믹

  서기에 거칠게 갈아 하루 10~15g을 달여 차로 마십니다. 이렇게 쪄서 말리는 과정을

  거치면 벌레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엑기스(고약): 열매뿐만 아니라 잎과 가지까지 채취하여 깨끗하게 씻어 잘게 썬 것을

  솥에 넣고 물을 부어 물엿처럼 될 때까지 24~48시간 정도 약한 불로 오래 달여 엑기스

  를 만듭니다. 이를 1/2 찻숟가락씩 따뜻한 물에 타서 마실 수 있습니다. 엑기스는 오래

  두어도 상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 환제: 백모증 개선을 위해 황련을 진하게 달인 물로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복용하기

  도 합니다. 한 번에 5~6그램씩 하루 세 번 식전에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1년 이상

  장기 복용해야 효험을 볼 수 있습니다.

* 특징: 여정실은 약성이 온화하여 부담 없이 복용하기 좋지만, 과다 복용 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권장량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취급방법                                                                                                                 

5-1. 성질

 여정실은 성질이차고(凉性)맛은쓰면서 달며(苦甘味)약성이 온화합니다.

주로 간경(肝經)과 신경(腎經)으로 들어가 작용합니다.

5-2. 보관방법

 잘 건조된 여정실은 습기에 취약하므로, 서늘하고 건조하며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

해야 합니다. 직사광선을 피해 밀봉 용기에 보관하며, 채취 시 찜통에 쪄서 말리는 과정

을 거치면 벌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보관 기간을 늘릴 수 있습니다.

5-3. 약효 부위

 주요 약효 부위는 광나무의 **잘 익은 열매(女貞實)**입니다.다만, 엑기스를 만들 때는

열매, 잎, 가지를 모두 사용하기도 합니다.

5-4. 1회 사용량

 차로 복용할 경우 하루 10~15g을 달여 마시고, 엑기스는 1회 1/2 찻숟가락씩 섭취합

니다. 백모증 치료를 위한 환제는 1회 5~6g을 복용합니다.

5-5. 독성

 여정실은 독성이 비교적 적은 약재로 알려져 있으나, 체질에 따라 소화기계 불편함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너무 많이 섭취하면 약성이 지나쳐 오히려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권장량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5-6. 장기 복용

 여정실은 보양 및 노화 방지를 목적으로장기 복용이 가능한 약재입니다. 실제로 백모증

개선을 위해서는 1년 이상 꾸준히 복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전해집니다. 다만, 복용

중 불편함이 느껴지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6. 채취정보                                                                                                                 

6-1. 서식지

 광나무는 우리나라의 남부 지방과 해안가 지역에서 흔히 자라며, 생울타리용으로도 많

이 심습니다. 양지나 반음지 모두에서 잘 자라며, 토양을 가리지 않고 척박한 환경에서도

강한 생명력을 보입니다.

6-2. 채취 기간

 약효 성분이 가장 풍부한겨울철에 잘 익은 열매를 채취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이 열매

는 늦가을에 익어 겨울까지 달려 있습니다.

 

7. 약초 생김새                                                                                                            

 광나무는 다음과 같은 생김새를 가집니다.

7-1. 높이(키)

 보통 3~5미터 정도 자라는 상록활엽관목입니다. 생울타리 등으로 가꾸기 위해 전정하

는 경우가 많아 실제 높이는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7-2. 꽃 특징

 6~7월경에 가지 끝에 원뿔 모양의 흰색 꽃이 무리지어 피어납니다. 꽃에서는 향기가

나며, 작은 꽃들이 빽빽하게 모여 달립니다.

7-3. 열매 특징

 열매는 10월경에 익기 시작하여 겨울까지 나무에 달려 있는데, 마치쥐 눈처럼 둥글고

새까만 색을 띠며 윤기가 납니다. 지름은 5~7mm 정도로 작고 빽빽하게 열립니다.

이것이 바로 '여정실'입니다.

7-4. 잎 특징

 잎은 타원형 또는 달걀형으로, 마주나며 끝이 뾰족합니다. 잎의 길이는 3~7cm 정도

이며, 질감이 두껍고 표면은 윤기 나는 짙은 녹색을 띠고 뒷면은 연한 녹색을 띱니다.

상록수이므로 겨울에도 푸른 잎을 유지합니다.

7-5. 번식 특징

 주로씨앗을 통해 번식합니다. 열매 안에 있는 씨앗이 떨어져 싹을 틔우거나,

삽목(꺾꽂이)을 통해 인위적으로 번식시키기도 합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여정실과 비슷한 효능을 가진 약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구기자(枸杞子): 간신을 보하고 눈을 밝게 하며 정기를 보충하는 효능이 있어,

  여정실 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숙지황(熟地黃): 보혈 작용이 뛰어나며 간신 음허로 인한 여러 증상에 활용되어,

  여정실과 보음 약재로 궁합이 좋습니다.

* 하수오(何首烏): 보간신(補肝腎), 익정혈(益精血) 효능이 있어 흰머리, 정력 감퇴,

  노화 방지에 사용되며, 여정실과 비슷한 목적의 약재로 분류됩니다.

 

9. 참고자료                                                                                                                 

[1] 네이버 블로그 - 광나무(여정실) 효능(30) - 네이버 블로그

(http://m.blog.naver.com/ehdyto02/220251493948)

[2] blog.naver.com - 겨울철 허약한 콩팥을 보양하는 광나무(여정실) 효능

(https://blog.naver.com/3jeong/222155565096)

[3] www.youtube.com - 생울타리로 좋은 광나무 여정목 열매 여정실 광나게한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tgIuDxneqM)

[4] m.cafe.daum.net - 이 달의 약초 "여정실"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https://m.cafe.daum.net/sansamtkdgh/LGQY/735?svc=cafeapp&sns=dcafe)

[5] 약초이야기 - 광나무(여정목) [Japanese privet]의 효능 - ·-약초이야기 (https://m.cafe.daum.net/cutehairshop/EJ3U/247?listURI=%2Fcutehairshop%2FEJ3U)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2. 광귤나무  (9) 2025.11.03
111. 관중  (1) 2025.11.01
110. 곽향  (1) 2025.10.30
109. 곰취  (5) 2025.10.28
108. 골풀  (8) 2025.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