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약초/가, 나82

066. 개오동나무 066. 개오동나무 1. 개요 (Description) 개오동나무는 능소화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향오동, 가달파실, 노나무 등으로 불립니다. 예로부터 우리 민족에게는 '벼락이 피해가는 나무' 또는 '뇌신목(雷神木)'으로 알려져 특별한 의미를 지녔습니다 [1]. 한방에서는 그 열매와 껍질을 약재로 활용하며, 동의보감에도 '추목피(楸木皮)'라는 이름으로 개오동나무 껍질이 처방에 사용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5]. 2. 생약명 .. 2025. 7. 22.
065. 개연꽃 065. 개연꽃 1. 개연꽃 개요 개연꽃(학명: *Nuphar japonica* 또는 *Nuphar pumila*)은 수련과(水蓮科)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수생식물입니다. 연못이나 늪, 웅덩이 등 물속에서 자라며, 뿌리줄기가 진흙 속에 박혀 있습니다. 그 뿌리줄기를 한방에서는 천골(川骨)이라는 생약명으로부르며, 특히 부인병과 심장 건강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 2025. 7. 20.
064. 개여뀌 064. 개여뀌 1. 개여뀌 개요 개여뀌(학명: *Persicaria longiseta*)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입니다. 숲 가장자리, 길가, 경작지 주변 등 습하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흔히 자라며, 높이 20~50cm에 이릅니다 [9], [10]. 예로부터 한국에서 식용 및 민간요법에 사용되어 온 약초로, 그 효능이 다양하게 알려져 있습니다. 2. 생약명 .. 2025. 7. 18.
063. 개양귀비 063. 개양귀비 1. 개양귀비 개요 개양귀비(학명: *Papaver rhoeas*)는 양귀비과 양귀비속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 유럽과 아시아가 원산지입니다 [4]. 아름다운 꽃 때문에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며, '꽃양귀비', '애기아편꽃', '우미인초(虞美人草)' 등 별명을 가지고 있다 [4], [8], [14]. 한의학에서는 열매와 전초(全草)를 약용으로 사용하며, '여춘화(麗春花)'라는 생약명.. 2025. 7. 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