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약초75 067. 개옻나무 067. 개옻나무 1. 개요 (Description) 건칠(乾漆)은 옻나무과(Anacardiaceae)에 속하는 낙엽소교목인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와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Miq.)의 진(수액)을 건조시킨 것을 이르는 생약명입니다 [1]. 특히 개옻나무에서 채취한 진액을 건조한 것이 건칠로 사용되며, 예로부터 한방에서 어혈을 제거하고 적취를 없애며 살충하는 효능으로 중요한 약재로 활용되어 .. 2025. 7. 24. 066. 개오동나무 066. 개오동나무 1. 개요 (Description) 개오동나무는 능소화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향오동, 가달파실, 노나무 등으로 불립니다. 예로부터 우리 민족에게는 '벼락이 피해가는 나무' 또는 '뇌신목(雷神木)'으로 알려져 특별한 의미를 지녔습니다 [1]. 한방에서는 그 열매와 껍질을 약재로 활용하며, 동의보감에도 '추목피(楸木皮)'라는 이름으로 개오동나무 껍질이 처방에 사용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5]. 2. 생약명 .. 2025. 7. 22. 065. 개연꽃 065. 개연꽃 1. 개연꽃 개요 개연꽃(학명: *Nuphar japonica* 또는 *Nuphar pumila*)은 수련과(水蓮科)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수생식물입니다. 연못이나 늪, 웅덩이 등 물속에서 자라며, 뿌리줄기가 진흙 속에 박혀 있습니다. 그 뿌리줄기를 한방에서는 천골(川骨)이라는 생약명으로부르며, 특히 부인병과 심장 건강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 2025. 7. 20. 064. 개여뀌 064. 개여뀌 1. 개여뀌 개요 개여뀌(학명: *Persicaria longiseta*)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입니다. 숲 가장자리, 길가, 경작지 주변 등 습하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흔히 자라며, 높이 20~50cm에 이릅니다 [9], [10]. 예로부터 한국에서 식용 및 민간요법에 사용되어 온 약초로, 그 효능이 다양하게 알려져 있습니다. 2. 생약명 .. 2025. 7. 18. 이전 1 2 3 4 5 6 ··· 19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