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1. 갓
1. 약초명
갓은 배추과에 속하는 한해 또는 두해살이식물입니다 [4]. 학명은 Brassica juncea
이며 [5],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로부터 히말라야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5]. 영문으
로는 Leaf mustard라고 불립니다 [5].
2. 생약명
갓의 생약명은 일반적으로 그 한자명인 芥菜(개채)를 사용합니다 [1]. 이는 약재로서
사용할 때 통용되는 명칭 중 하나입니다.
3. 주요 효능
갓은 예로부터 다양한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 효능으로는 기관지
의 가래를 삭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1], 기(氣)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1]. 또한, 종기의 독을 해독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1], 위장을 따뜻하
고 튼튼하게 하는 작용 [1]과 몸 전체를 따뜻하게 하는 데에도 기여합니다 [1].
4. 복용법과 특징
갓은 주로 식재료로 널리 이용되며, 김치나 나물 등으로 섭취합니다. 약재로서의 전통
적인 복용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가 가진 자료에서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기관지, 기 순환, 위장 건강 및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을 고려할 때, 달이거나 가루 내
어 섭취하는 방식 등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몸을 따뜻하게 하는 성질이 특징적입니다 [1].
5. 취급 방법
5-1. 성질: 갓은 몸을 따뜻하게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한의학적으로는 온성
(溫性)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5-2. 보관 방법: 약재로서의 구체적인 보관 방법에 대한 정보는 제가 가진 자료에서 확
인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건조한 약재는 습기를 피해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
에 보관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5-3. 약효 부위: 일반적으로 약효는 식물 전체에 분포하지만, 자료에서는 잎갓(잎 부분)
에 대한 언급이 있습니다 [3]. 전통적으로는 잎과 줄기 등 지상부를 약용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5-4. 1회 사용량: 약재로서의 1회 사용량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가 가진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습니다. 전문가의 지도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5-5. 독성: 갓의 독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가 가진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식용으로는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5-5. 장기 복용: 장기 복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가 가진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습
니다. 특정 질환 치료를 위해 약재로 사용할 경우 전문가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6. 채취 정보
6-1. 서식지: 갓은 중앙아시아 및 히말라야 지역이 원산지이며 [5], 현재는 전 세계적으
로 재배되는 식물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재배되고 있습니다.
6-2. 채취 기간: 약재로서의 최적 채취 시기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가 가진 자료에
서 확인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생육이 왕성한 시기에 채취할 수 있으나,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7. 약초 생김새
갓은 배추과에 속하며 배추와 비슷한 형태를 가집니다 [4].
7-1. 높이(키): 보통 30~150cm 정도 곧게 자라며 [4], 약 1m 가량 자라기도 합니다 [2].
7-2. 꽃 특징: 꽃은 노란색으로 십자 모양이며, 총상화서로 모여 핍니다 [2].
7-3. 열매 특징: 꽃이 지고 나면 열매를 맺습니다 [2]. 자료에 구체적인 열매 특징은 언
급되어 있지 않으나, 배추과의 특징적인 열매 형태를 가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7-4. 잎 특징: 뿌리에서 나는 잎(근생엽)은 넓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길이는 60~80
cm에 달하기도 합니다 [2]. 전체적으로 잎의 수는 8~9매로 비교적 적은 편입니다 [4].
잎갓 품종의 경우 엽신과 잎자루가 가늘고 털이 많으며 [3], 겨자보다는 잎이 더 무성하
게 자랍니다 [3].
7-5. 번식 특징: 갓은 1년 또는 2년생 초본으로서 [3][4], 주로 씨앗을 통해 번식합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갓과 비슷한 효능을 가진 다른 약초는 금잔화, 대추나무, 남천등이 있습니다.
* 금잔화: 주로 소화기 호흡기 질환에 효험이 있다.
* 대추나무: 주로 건강생활과 소화기 호흡기 질환, 허약체질에 효험이 있다.
* 남천: 주로 소화기 호흡기 질환에 효험이 있다.
9. 참고 자료
[1] 생활약초탐구힐스테이션 - 갓(芥菜)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 생활약초탐구힐스테이션 (https://healstation.tistory.com/entry/%EA%B0%93-%E8%8A%A5%E8%8F%9C%EC%9D%98-%ED%8A%B9%EC%84%B1%EA%B3%BC-%EC%84%B1%EB%B6%84-%EC%95%BD%ED%9A%A8-%EB%B0%8F-%EC%9D%B4%EC%9A%A9%EB%B2%95)
[2] Daum 카페 - 갓의 종류와 효능 - ―·····각종 약초이야기 - Daum 카페
(https://cafe.daum.net/hko1440/HWmC/529?svc=cafeapi)
[3] 농사로 - 갓의 특성 및 영양학적 가치 - 농사로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z/psza/contentSub.ps;jsessionid=MqBmGquzfjA9zMzoVV5EQlf1Bokevg8PCMNum7q8LUANBKh40n1WYI71le4BBQD8.nongsaro-web_servlet_engine1?menuId=PS03796&pageIndex=1&pageSize=10&sSeCode=374001&cntntsNo=101955&sDetCode=&sType=sCntntsSj&sText=)
[4] 생명자원정보서비스 - 한국토종작물 도감 - 생명자원정보서비스 (https://www.bris.go.kr/portal/book/nativeCropsDetailPopup.do?menuId=81&pMenuId=67&biorsrcMngNo=MANUIP3300200002)
[5] 농사로 - 갓 - 농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