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세계/5. 약초

030. 감초

by 꽃단청 2025. 5. 11.
728x90

030. 감초                                                                                           

 

 

1. 약초명                                                                                                                    

 감초 (甘草)

 

2. 생약명                                                                                                                    

 감초는 콩과(Fabaceae)에 속하는 식물인 감초(*Glycyrrhiza uralensis*) 또는

광과감초(*Glycyrrhiza glabra*) 등의 뿌리와 뿌리줄기를 건조한 것을 약재로 사용

하며, 생약명 역시 '감초'입니다.

 

3. 주요 효능                                                                                                                

 감초는 동양 의학에서 수천 년간 사용되어 온 매우 중요한 약재, 그 효능이 실로 다양

하여 '국로(國老)'라 불리며 여러 약재의 조화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주요 효능을 좀 더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해독 및 조화 작용 (解毒和中): 감초의 가장 대표적인 효능 중 하나는 다른 약재의 강

   하거나 독성 있는 기운을 부드럽게 완화하고, 서로 다른 성질의 약재들이 잘 어우러지

   도록 조화시키는 것입니다. 특정 약물의 부작용을 줄이거나 상호작용을 좋게 만드는

   데 활용됩니다. 이는 감초에 포함된 플라보노이드 등의 성분과 관련이 깊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기침, 가래 완화 (止咳化痰): 감초의 주요 활성 성분인 글리시리진(Glycyrrhizin)과

   사포닌(Saponin) 성분이 기관지 점액 분비를 촉진하고 기관지 평활근의 경련을 억제

   하여 기침을 멈추게 하고 가래를 묽게 하여 배출을 돕는 거담(祛痰) 작용을 합니다.

   만성 기관지염이나 인후염 등 호흡기 질환에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 소화기 계통 개선 (健脾益氣): 감초의 단맛(甘味)은 비위(脾胃)의 기능을 돕는다

   여겨집니다. 위산 분비 조절 및 위 점막 보호 효과가 있어 위염, 위궤양 등으로 인한

   속쓰림이나 통증을 완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소화 불량, 식욕 부진 등 비위 기능이

   약해져 발생하는 증상 개선에도 도움을 줍니다.

 * 항염 및 진통 작용 (淸熱解毒, 緩急止痛): 감초의 글리시리진은 스테로이드와 유사

   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강력한 항염 작용을 나타냅니다. 관절염, 피부염 등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근육의 경련이나 통증을 완화하는 작용이

   있어 복통이나 사지 경련 등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 피로 회복 및 면역력 증진 (補氣): 기운을 보강하는 보기(補氣) 효능이 있어 전신 쇠

   약, 피로감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면역 세포 기능을 활성화하는 등 면역력

   증진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피부 질환 개선: 항염 및 해독 작용을 바탕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두드러기 등

   염증성 및 알레르기성 피부 질환 증상 완화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4. 복용법과 특징                                                                                                          

 감초는 단방으로 사용되기보다는 다른 약재들과 함께 처방되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

습니다. 이는 감초가 다른 약재의 효능을 이끌어내고 부작용을 줄이는 '사약(使藥)' 또는

'부약(輔藥)'의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탕약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며, 환(丸), 산(散),

고(膏) 형태로도 제조됩니다.

 

 감초의 가장 큰 특징은 강한 단맛입니다. 이 단맛은 약의 쓴맛을 줄여 복용 편의성을 높

이기도 하지만, 한의학적으로는 비위(脾胃)를 자양(滋養)하고 기운을 보충하는 효능과

연결됩니다. 또한, 감초는 '완급(緩急)' 즉, 급격한 증상이나 경련을 완화하는 특징이 있

습니다.

 

 

5. 취급 방법                                                                                                                

 5-1. 성질: 맛은 달고(甘), 성질은 평온(平)합니다. 귀경(歸經)은 비(脾), 폐(肺), 심(心),

   위(胃) 경락으로 들어간다고 봅니다. 평온한 성질 때문에 한열(寒熱)에 치우치지 않아

   다양한 체질에 비교적 부담 없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5-2. 보관 방법: 감초는 건조한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습기에 노출되

   면 곰팡이가 피거나 변질되기 쉽습니다. 직사광선을 피하고 통풍이 잘 되는 서늘한 곳

   에 밀봉하여 보관합니다. 벌레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장기간 보관할 때는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재상에서는 보통 잘게 썰거나 통뿌리

   형태로 건조하여 유통합니다.

 5-3. 약효 부위: 주로 늦가을에 채취하여 건조시킨 뿌리와 뿌리줄기를 사용합니다.

   이 부위에 글리시리진을 비롯한 유효 성분이 가장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5-4. 1회 사용량: 처방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인 탕약 처방에서는 하루 총

   3~10g 정도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독 목적으로 사용할 때는 용량을 늘리기

   도 합니다. 반드시 전문가(한의사 등)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 적정량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의로 과량을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5-5. 독성: 감초 자체는 심각한 독성이 있는 약재는 아니지만, 주성분인 글리시리진이

   우리 몸에서 코르티솔 대사에 영향을 미쳐 마치 알도스테론이 과다 분비된 것과 유사

   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가성 알도스테론증, Pseudohyperaldosteronism).

   이로 인해 혈압 상승, 부종, 근력 약화, 칼륨 수치 저하(저칼륨혈증) 등의 부작용이 나

   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심장 질환, 신장 질환, 고혈압 환자는 복용에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5-6. 장기 복용: 5-5에서 언급한 부작용 때문에 감초를 고용량으로 장기간 복용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만약 질환 치료를 위해 장기간 복용이 필요하다면, 반드시 전문

   가의 철저한 관리와 정기적인 혈압 및 전해질(특히 칼륨) 수치 모니터링이 필수적입

   니다. 부종이나 무력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복용을 중단하고 전문가와 상담

   해야 합니다.

 

6. 채취 정보                                                                                                                

 6-1. 서식지: 주로 건조하거나 반건조한 지역의 사질토양에서 잘 자랍니다. 원산지는

   주로 중국 북부, 몽골, 러시아 남부, 서아시아 등 광범위한 지역입니다. 특히 중국 북부

   와 몽골산 감초가 품질이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 지역에서 대규모로 재배되거나 야

   생으로 채취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후 조건 때문에 야생 감초가 자생하기 어렵습니

   다.

 6-2. 채취 기간: 뿌리에 영양분이 최대로 저장되는 시기인 가을철(보통 10월경)에 채취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땅속의 뿌리와 뿌리줄기를 캐내어 흙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

   거나 인공적으로 건조하여 약재로 만듭니다. 이때 수염뿌리 등 불필요한 부분은 제거하

   고 사용합니다.

 

7. 약초 생김새                                                                                                             

 7-1. 높이(키): 감초는 땅속 깊이 뿌리를 내리는 여러해살이풀로, 지상부는 보통 0.5m

   에서 1m 정도 높이로 곧게 자랍니다.

 7-2. 꽃 특징: 늦여름(7월~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기다란 총상꽃차례(raceme)가 나와

   자잘한 나비 모양의 꽃들이 빽빽하게 달립니다. 꽃 색깔은 연한 보라색에서 하늘색 또

   는 자주색까지 다양하며, 콩과 식물 특유의 형태(기판, 익판, 용골판)를 가집니다.

 7-3. 열매 특징: 꽃이 지고 나면 짧고 편평한 꼬투리(pod) 모양의 열매가 달립니다.

   꼬투리는 겉에 가시 같은 털이 있거나 매끈한 종류가 있으며, 그 안에 콩팥 모양의 작고

   단단한 씨앗이 2~8개 들어 있습니다. 종류에 따라 꼬투리가 여러 개 이어져 달리기도

   합니다.

 7-4. 잎 특징: 줄기에 어긋나게 달리는 홀수 깃꼴겹잎(imparipinnately compound leaf)

   입니다. 보통 3~8쌍의 작은 잎(leaflet)과 끝에 1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됩니다. 작은 잎

   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표면은 점성이 약간 느껴지기도 합니다.

 7-5. 번식 특징: 씨앗으로 번식하기도 하지만, 감초는 땅속으로 길게 뻗어가는 튼튼한 뿌

   리줄기(rhizome)를 통해 주로 번식합니다. 뿌리줄기에서 새로운 싹이 돋아나 개체를

   늘리기 때문에 대규모 재배 시에는 뿌리줄기를 잘라 심는 영양 번식 방법이 주로 사용

   됩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감초는 워낙 독특한 효능(조화, 해독, 완급, 보비익기)을 지니고 있어 다른 약재로 완

전히 대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일부 효능 면에서 유사한 약재들이 있

습니다.

 * 대추 (大棗): 감초와 마찬가지로 비위(脾胃)를 튼튼하게 하고 기운을 보하며, 다른

   약재의 조화를 돕고 독성을 완화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감초와 함께 '감초대추탕' 등

   많은 처방에 배합되어 사용됩니다.

 * 황기 (黃芪): 비위를 보강하고 기운을 돋우는 보기(補氣) 효능이 강합니다. 감초의

   보기 효능과 일부 유사한 면이 있습니다.

 * 백출 (白朮): 비위 기능을 강화하고 습(濕)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감초의 보비

   (補脾) 효능과 관련이 있습니다.

 * 인삼 (人蔘): 강력한 보기(補氣) 및 생진(生津) 효능이 있습니다. 감초가 전반적인

   기운을 보하는 것과 유사한 측면이 있습니다.

 * 금은화 (金銀花), 연교 (連翹): 이들은 주로 열을 내리고 독을 푸는 청열해독(淸熱

   解毒) 효능이 있습니다. 감초의 해독 작용과는 접근 방식이 다르지만, 염증이나 독성

   물질을 제거한다는 점에서 넓게 볼 때 일부 유사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

 

 감초는 단맛 때문에 간혹 식용으로 오인되기도 하지만, 엄연히 약재이므로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에 따라 올바르게 사용해야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728x90

'자연세계 > 5.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1. 갓  (87) 2025.05.13
029. 감자난  (37) 2025.05.09
028. 감자  (162) 2025.05.07
027. 감나무  (113) 2025.05.05
026. 감국  (100)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