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078. 갯실새삼

by 꽃단청 2025. 8. 15.
728x90

078. 갯실새삼                                                                    

 

 

1. 개요                                                                                                                        

  갯실새삼은 메꽃과의 한해살이 기생 식물, 주로 순비기나무나 해변 식물에 엉켜 자

랍니다. 전체에 털이 없고 잎은 비늘조각처럼 퇴화되어 있으며, (열매)가 약용으로

쓰입니다 ([위키백과][1]).

 

2. 생약명                                                                                                                     

* 토사자(兎絲子): 중국·한국 한의서에서 통용되는 생약명

* 이명: 금사초(金絲草), 적망(赤網), 호사(狐絲) 등 ([iksaeng.com][2]).

 

3. 주요효능                                                                                                                 

* 간신(肝腎) 보: 정(精)과 골수 보충, 눈 맑게(명목), 태아 안정(안태)

* 설사 멈춤, 허리·무릎의 통증 완화, 잔뇨 해소, 생식 기능 강화

* 실험적으로 쿠에르세틴, 캠페롤, 히페로사이드 같은 플라보노이드가 주요 지표 성분

이며, 성기능 증강, 면역 조절, 간 보호, 항노화 효능까지 보고됨 ([약초세상-솔직담백한

약초 & 식품 이야기][3], [영남일보][4]).

 

4. 복용법과 특징                                                                                                         

* 가공: 씨를 물에 씻어 모래 제거 햇볕에 말림 술에 담갔다 쪄서 익힌 후 찧어

덩어리로 만듦 다시 말려 가루로 사용 ([영남일보][4]).

* 복용 특징: 윤기가 있으며 건조하지 않고 음()을 보충. 몸에 열 있고 음허, 변비,

적은 소변, 붉은 소변, 찬 체질인 경우 주의.

 

 

5. 취급방법                                                                                                                 

51 성질:

 평(평온), 맛은 맵고 달며 무독성. 양기를 보하되 음을 해치지 않습니다 ([영남일보][4]).

52 보관방법:

 건조하고 통풍되며 직사광선 피하는 장소에 보관. 수분·곰팡이 주의.

53 약효부위:

 씨(種子) 부분이 약재로 사용.

54 1회 사용량:

 일반적으로 3–9g을 달여 복용하나 제형·환자 상태에 따름.

55 독성 여부:

 무독성으로 알려져 있으나, 음허 열증, 변비, 소변적체 있는 환자는 삼가야 하며 장기

복용 시 전문 한의사의 자문 권장. 장기복용 자체가 특별한 독성 없으나 체질과 증상에

맞춰 신중히 사용할 것 ([생활약초탐구힐스테이션][5]).

 

6. 채취정보                                                                                                                 

61 서식지:

 바닷가 순비기나무 등 해안 식물에 기생하지만, 현재는 내륙에서도 매듭풀이나 갯메꽃

등에 기생하여 발견됨 ([여왕벌이 사는 집][6]).

62 채취기간: 주로 7~8에 흰색 꽃과 함께 씨가 맺힐 무렵에 채취.

 

7. 약초 생김새                                                                                                             

71 높이():

 줄기 본질적으로 뿌리 없이 기생하여 자라므로 키는 일정치 않으나 씨줄기의 밀집 정도

에 따라 50cm 내외로 퍼짐.

72 꽃 특징:

 흰색, 짧은 꽃자루, 가지에 집단으로 덤불 모양 수상꽃차례로 매달림. 꽃받침 5갈래,

관통 길이 약 2.5mm이며 내부에 갈라진 비늘 조각 5개 존재 ([영남일보][4],

[위키백과][1]).

73 열매 특징:

 납작한 둥근 삭과, 꽃받침에 싸여 있어 열매 대부분이 내부에 감싸여 남아 있음. 씨는

보통 4. 미국 실새삼과의 주요 구별점 중 하나 ([위키백과][1]).

74 잎 특징:

 잎은 없고 퇴화한 비늘 조각만 존재. 줄기는 색이 연한 노란색에서 적색빛 띔.

75 번식특징:

 종자 번식. 겨울 지나 봄에 씨에서 발아한 덩굴이 숙주에 기생한 후 성숙 씨앗 형성.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 실새삼(*Cuscuta japonica*): 생약명 동일하나 각종 현미경적 구분 필요, 유사 효능

  및 한·중 본초서에 모두 등재됨 ([야생 풀꽃나무들과의 대화][7], [ResearchGate][8]).

* 연자육, 포공영 추출물과의 조합: 일부 전립선비대 관련 건강식품에 사용됨

  (특허 문헌) ([구글 특허][9]).

 

9. 참고자료                                                                                                                 

* 위키백과 *Cuscuta chinensis* 항목 ([위키백과][1])

* 약초세상, 티스토리, 한약진흥재단 기사 갯실새삼(토사자)”

  ([약초세상-솔직담백한 약초 & 식품 이야기][3])

* HealStation 블로그의 실새삼 정리 ([생활약초탐구힐스테이션][5])

* Jeju ethnobotany 연구 문서 등에서 본 한국 내 자생 및 활용 정보

  ([ResearchGate][8])

 

[1]: https://ko.wikipedia.org/wiki/%EA%B0%AF%EC%8B%A4%EC%83%88%EC%82%BC?utm_source=chatgpt.com

"갯실새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 https://www.iksaeng.com/hub/hubMain.jsp?from=dong&hubnos=odp8v96p&with=or&utm_source=chatgpt.com

"토사자(菟絲子) / 갯실새삼 - 익생닷컴"

[3]: https://worldherb.tistory.com/2630?utm_source=chatgpt.com

"갯실새삼 [ 토사자 菟絲子 , Chinese Dodder ] - 약초세상 - 티스토리"

[4]: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181204.010210808170001&utm_source=chatgpt.com "yeongnam.com/web/view.ph..."

[5]: https://healstation.tistory.com/entry/1-87-%EC%8B%A4%EC%83%88%EC%82%BC%E8%8F%9F%E7%B5%B2%E5%AD%90%EC%9D%98-%ED%8A%B9%EC%84%B1%EA%B3%BC-%EC%84%B1%EB%B6%84-%EC%95%BD%ED%9A%A8-%EC%9D%B4%EC%9A%A9%EB%B2%95?utm_source=chatgpt.com

"#1-87. 실새삼(菟絲子)의 특성과 성분 약효 이용법"

[6]: https://qweenbee.tistory.com/8911424?utm_source=chatgpt.com

"qweenbee.tistory.com/891..."

[7]: https://kualum.tistory.com/17045693?utm_source=chatgpt.com

"kualum.tistory.com/17045..."

[8]: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81360481_Ethnobotany_of_Jeju_Island_Korea?utm_source=chatgpt.com "(PDF) Ethnobotany of Jeju Island, Korea - ResearchGate"

[9]: https://patents.google.com/patent/WO2019112348A1/en?utm_source=chatgpt.com

"Herb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benign prostatic ..."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7. 갯버들  (153) 2025.08.13
076. 갯방풍  (171) 2025.08.11
075. 갯메꽃  (171) 2025.08.09
074. 갯대추나무  (150) 2025.08.07
073. 갯까치수염  (209) 2025.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