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6. 갯방풍
1. 갯방풍(해방풍)
갯방풍은 바닷가에서 자라는 방풍(防風)이라는 뜻에서 이름이 유래하였습니다.
해변가에서 자란다고 하여 '해방풍(海防風)'이라고도 불리며,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우리나라 전역의 바닷가 기슭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4].
약용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귀한 약초로, 특히 중풍 관련 증상에 대한 효능이 잘
알려져 있습니다.
2. 생약명
갯방풍의 생약명은 해방풍(海防風) 입니다.
3. 주요 효능
해방풍은 다양한 유효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여러 약리적 효능을 지니고 있습니다.
* 중풍 및 신경계 질환 완화: 가장 대표적인 효능으로, 중풍을 예방하고 사지의 근육
경련, 반신불수, 마비 통증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이는 방풍과의 특징적인 효능 중 하나입니다.
* 성분: 갯방풍은 임페라토린(Imperatorin), 프소라렌(Psoralen), 베르갑텐(Bergapten)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1], 이 성분들이 약리 작용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호흡기 질환 개선: 일부 문헌에서는 폐결핵이나 폐렴 등 폐 관련 질환에도 효험이 있다
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2].
* 진통 및 소염 작용: 마비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약초의
진통 및 소염 특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4. 복용법과 특징
해방풍은 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다른 약재와 함께 처방되어 사용됩니다. 약용 식물
은 특정한 체질이나 질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의 지
시에 따라 복용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증상 완화를 위해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
는 한약 처방의 일부로 사용될 때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5. 취급 방법
5-1. 성질
해방풍은 일반적으로 성질이 따뜻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한방에서 따뜻한 성질의
약재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혈액 순환을 돕는 효능이 있다고 봅니다.
5-2. 보관 방법
약재는 습기가 없는 건조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직사광선을 피하고, 밀봉
하여 보관하면 약효를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장기간 보관 시에는 간혹 습기로 인한
변질이나 벌레 발생에 유의해야 합니다.
5-3. 약효 부위
주로 뿌리를 약용으로 사용합니다. 방풍 종류의 약재는 대개 뿌리 부분에 약효 성분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5-4. 1회 사용량
개인의 건강 상태, 체질, 치료 목표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드시 한의사나 약초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임의로 정하여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5-5. 독성
갯방풍 자체의 심각한 독성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많지 않으나, 모든 약재가 그렇듯 과
다 복용 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이 체질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경우,
또는 다른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 후 사용해야 합니다.
5-6. 장기 복용
장기 복용의 경우, 특정 성분이 체내에 축적되거나 예상치 못한 반응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의 지시와 관찰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6. 채취 정보
6-1. 서식지
갯방풍은 이름처럼 바닷가에서 자생합니다. 전국의 바다 기슭, 해안가의 모래땅이나
자갈밭 등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4].
6-2. 채취 기간
정확한 채취 기간에 대한 정보는 다양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약효 성분이 가장 풍부
한 시기에 채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뿌리를 사용하는 약재는 잎과 줄기가 시들기
시작하는 가을에서 겨울철에 채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7. 약초 생김새
7-1. 높이(키)
갯방풍은 높이 30~40cm 정도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3].
7-2. 꽃 특징
꽃은 여름철(7~8월경)에 피며,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가지가 갈라져 작은 꽃들
이 모여서 산형꽃차례를 이룹니다. 연한 노란색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7-3. 열매 특징
꽃이 진 후 가을철에 납작하고 둥근 형태의 열매를 맺습니다.
7-4. 잎 특징
잎은 2번 3개로 갈라진 깃겹잎이며, 윤기가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3].
잎 모양이 방풍과 유사하지만, 해방풍은 좀 더 두껍고 육질감이 있습니다.
7-5. 번식 특징
주로 씨앗을 통해 번식하며, 바닷가라는 특수한 환경에 적응하여 번식합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해방풍과 비슷한 효능을 지닌 약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방풍'이라는 이름이 붙는 경우가 많고, 한방에서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 방풍 (원방풍, 진방풍): 해방풍과는 식물학적으로 다르지만,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방풍'의 효능을 대표하는 약재입니다. 중풍, 사지마비, 관절통 등에 널리 쓰입니다 [5].
* 식방풍 (갯기름나물): 갯방풍과 마찬가지로 방풍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지만, 역시
다른 식물입니다. 뿌리에서 퓨세다놀(Peucedanol) 등의 성분이 발견되며 [1],
방풍과 비슷한 효능을 가집니다.
이 세 가지 약초(원방풍, 해방풍, 식방풍)는 임상적으로 혼용되거나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구분에 유의해야 합니다 [5].
9. 참고 자료
* [1] 중풍을 예방하는 약초 방풍, 식방풍(갯기름나물), 해방풍(갯방풍) 효능
* [2] 해방풍(갯방풍), 식방풍(갯기름나물),석방풍(기름나물) 구분사진과 효능
* [3] 갯방풍(해방풍) 무엇인가? - jdm0777.com
* [4] [생활속의 약용식물(9)] 갯방풍 - 한국유통신문
* [5] 방풍(원방풍, 해방풍, 식방풍)에 대한 최근 연구 : 네이버 블로그
[1] m.blog.naver.com - 중풍을 예방하는 약초 방풍, 식방풍(갯기름나물), 해방풍(갯방풍) 효능 (https://m.blog.naver.com/3jeong/223023068908)
[2] cafe.daum.net - 해방풍(갯방풍), 식방풍(갯기름나물),석방풍(기름나물) 구분사진과 효능 (https://cafe.daum.net/okenzyme/PTm6/503)
[3] jdm0777.com - 갯방풍(해방풍) 무엇인가? - jdm0777.com
(http://jdm0777.com/a-yakchotxt/haebangpung.htm)
[4] 한국유통신문 - [생활속의 약용식물(9)] 갯방풍 - 한국유통신문
(http://www.youtongnews.com/bbs/board.php?bo_table=05_5&wr_id=24)
[5] blog.naver.com - 방풍(원방풍, 해방풍, 식방풍)에 대한 최근 연구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gg6710/140131040719?viewType=pc)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5. 갯메꽃 (163) | 2025.08.09 |
---|---|
074. 갯대추나무 (147) | 2025.08.07 |
073. 갯까치수염 (204) | 2025.08.05 |
072. 갯기름나물 (175) | 2025.08.03 |
071. 갯금불초 (121)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