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907

04. 반야심경(般若心經) 제목 04. 반야심경(般若心經) 제목 摩訶般若 波羅蜜多 心經 마하반야 바라밀다 심경 (마하반야 바라밀다)摩訶般若 波羅蜜多크나크신 지혜로서저언덕을 건너갈수있게하는 핵심경전 목차 1. 마하(摩訶) 1) 불교에서의 마하 2) 마하의 미학적 의미.. 2025. 7. 15.
062. 개암나무 062. 개암나무 1. 개암나무 개요 개암나무(학명: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는 자작나무과(樺木科) 개암나무속에 속하는 갈잎 넓은잎 떨기나무입니다 [7], [11]. 그 열매는 견과류의 일종으로, 영양가가 풍부하여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귀하게 사용되어 왔습니다. 특히 한의학에서는 이 열매를 '진자(榛子)'라는 생약명으로 부르며 다양한 효.. 2025. 7. 14.
03. 반야심경 원문 03. 반야심경 원문 摩訶般若波羅密多心經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密多時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亦復如是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舍利子 是諸法空相 不生不滅 不垢不淨 不增不減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是故 空中無色 無受想行識 無眼耳鼻舌身意 無色聲香味觸法 無眼界 乃至 無意識界시고 공중무색 무수상행식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 無無明 亦無無明盡 乃至 無老死 亦無老死盡 無苦集滅道 無智亦無得 以無所得故무무.. 2025. 7. 13.
061. 개쑥갓 061. 개쑥갓 1. 개쑥갓 개요 개쑥갓(학명: *Senecio vulgaris L.*)은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유럽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밭이나 들, 길가 등에서 자생하는 귀화식물입니다 [5]. 잎의 생김새가 쑥갓과 비슷하여 '개쑥갓'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민간에서는 일부 효능이 알려져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간에 치명적인 독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사용.. 2025. 7. 1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