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9. 개승마
1. 약초명
개승마는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학명은
*Actaea simplex* (syn. *Cimicifuga simplex*)이며, 흔히 '촛대승마'라고도 불립
니다. 이는 꽃차례가 촛대처럼 길게 솟아오르는 모습에서 유래한 이름입니다. 우리나라
산지에서 자생하며, 관상용으로도 인기가 많습니다.
2. 생약명
개승마의 공식적인 생약명은 '승마(升麻)'와는 다릅니다. 한방에서 '승마'는 주로
*Cimicifuga heracleifolia* (황새승마) 또는 *Cimicifuga dahurica* (눈승마)의
뿌리줄기를 지칭합니다. 그러나 개승마 역시 유사한 약리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민간
이나 일부 지역에서는 '승마'와 비슷한 용도로 사용되거나 혼용되기도 합니다.
3. 주요 효능
개승마는 전통적으로 해열, 해독, 소염, 진통 등의 효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공식 생약인 '승마'와 유사한 약리 작용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해열 및 해독: 감기로 인한 발열, 두통, 인후통 등 열성 질환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승마는 해열 및 해독 작용으로 감기로 열이 많이
날 때 땀을 내어 열을 내리는 데 사용됩니다 [1].
* 소염 및 진통: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근육통,
관절통 등에도 활용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승양거함(升陽擧陷): 기운을 위로 끌어올리는 효능이 있어, 탈항(직장탈출), 자궁하수
등 기가 허하여 장기가 아래로 처지는 증상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공식 승마
의 효능이나, 유사한 작용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4. 복용법과 특징
개승마는 주로 뿌리줄기(근경)를 약재로 사용하며, 건조하여 달여서 복용하는 것이 일
반적입니다. 어린 순은 나물로 섭취하기도 하지만, 약용 목적으로는 뿌리줄기가 주로
활용됩니다. 약재의 특성과 개인의 체질, 증상에 따라 복용량과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
므로, 반드시 한의사 등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합니다.
5. 취급 방법
5-1. 성질
개승마는 성질이 약간 차거나 평이하며, 맛은 쓰고 약간 맵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은 몸의 열을 내리고 염증을 가라앉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5-2. 보관 방법
채취한 개승마의 뿌리줄기는 깨끗이 세척한 후 햇볕에 잘 말리거나 건조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건조해야 합니다. 건조된 약재는 습기가 없고 통풍이 잘 되는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며, 밀봉하여 보관하면 약효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곰팡이 발생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5-3. 약효 부위
개승마의 약효 부위는 주로 *뿌리줄기(근경)*입니다. 이 부분에 약리 활성 성분이 가장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5-4. 1회 사용량
개승마의 1회 사용량에 대한 표준화된 정보는 3~6g이며, 일반적으로 공식 생약인
'승마'의 경우 1회 3~9g 정도를 사용하지만, 개승마의 경우에도 전문가의 지시에 따
라 적절한 용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약재의 효능과 독성 가능성을 고려하여 신중하
게 사용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5-5. 독성
개승마를 포함한 Actaea속 식물들은 트라이테르펜 배당체(triterpene glycosides)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과량 복용 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알려진 부작용
으로는 위장 장애(메스꺼움, 구토, 설사), 두통, 현기증 등이 있습니다. 특히 임산부나
간 질환이 있는 환자는 복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전문가의 지시 없이 사용해서
는 안 됩니다.
5-6 장기 복용
개승마는 독성 가능성이 있으므로 장기 복용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장기간 복
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반드시 한의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여 개인의 건강 상태와 약재
의 특성을 고려한 후 결정해야 합니다.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6. 채취 정보
6-1. 서식지
개승마는 주로 산지의 습한 계곡이나 숲 속, 반그늘진 곳에서 자생합니다. 비교적 습
하고 비옥한 토양을 선호하며, 우리나라 전역의 산지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6-2. 채취 기간
개승마의 뿌리줄기는 약효 성분이 가장 풍부하게 축적되는 시기인 가을철, 잎이 마른
후에 채취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시기에 채취된 뿌리줄기는 약효가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7. 약초 생김새
7-1. 높이(키)
개승마는 비교적 키가 큰 식물로, 보통 1m에서 2m까지 곧게 자랍니다. 줄기는 튼튼
하며, 위쪽에서 가지를 치기도 합니다.
7-2. 꽃 특징
개승마의 꽃은 늦여름에서 가을(8월~10월)에 피며, 흰색 또는 연노란색의 작은 꽃들
이 길고 촛대 모양의 *총상꽃차례*로 빽빽하게 달립니다. 꽃차례는 줄기 끝에 하나 또
는 여러 개가 달리며, 길이는 30~60cm에 달하기도 합니다. 꽃에서는 은은하고 좋은
향기가 납니다.
7-3. 열매 특징
개승마의 열매는 꽃이 진 후 맺히며, 삭과(capsule) 형태입니다. 열매는 작고 납작
하며, 익으면 갈색으로 변하고 씨앗이 나옵니다.
7-4. 잎 특징
개승마의 잎은 크고, 2~3회 *깃꼴겹잎*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작은잎은 달걀형 또
는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습니다. 잎자루가 길고, 줄기에 어긋
나게 달립니다.
7-5. 번식 특징
개승마는 주로 *씨앗*을 통해 번식하며, 땅속의 *뿌리줄기(근경) 분열*을 통해서도
번식합니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어나가 새로운 개체를 형성하기도 합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개승마와 비슷한 효능을 지닌 약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승마 (*Cimicifuga heracleifolia*): 한방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승마'로, 해열,
해독, 승양거함 등의 효능이 있습니다. 개승마와는 종이 다르지만, 유사한 약리 작용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황련 (*Coptis chinensis*): 청열해독(淸熱解毒) 효능이 강하여 열성 질환에 사용.
* 시호 (*Bupleurum falcatum*): 해열, 소염, 간 기능 개선 등에 사용되는 약초.
9. 참고 자료
[1] Daum 카페 - 승마의 효능 - 산약초 효능 - 산바람 야생화 향기 - Daum 카페
(https://cafe.daum.net/kyc6225/5nwM/110)
[2] G마켓 - 눈개승마 검색결과 - G마켓 (https://m.gmarket.co.kr/n/search?keyword=%EB%8A%A5%EA%B0%9C%C%8A%B9%EB%A7%88&s=1)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승마(升麻)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2179)
[4] blog.naver.com - 눈개승마 효능 나물 먹는 법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pury99/222702761005?viewType=p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