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058. 개속새

by 꽃단청 2025. 7. 6.
728x90

058. 개속새                                                                             

 

 

1. 약초명                                                                                                                    

 개속새는 속새과(Equisetaceae) 속새속(Equisetum)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양치

식물입니다. 학명은 *Equisetum ramosissimum*이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합니다 [2].

속새속 식물들은 줄기의 마디에 잎이 퇴화된 비늘잎이 돌려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생약명                                                                                                                    

 개속새를 포함한 속새속 식물들의 지상부를 한방에서는 주로 '목적(木賊)'이라는 생

약명으로 사용합니다. 이는 줄기가 나무를 깎는 데 사용될 정도로 거칠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3. 주요 효능                                                                                                                

 개속새는 속새(Equisetum hyemale)와 유사한 약리적 효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다음과 같은 효능이 보고되었습니다.

 

 * 호흡기 및 신장 질환 개선: 유행성 감기, 결막염, 신우신염, 요로결석, 소변 출혈 등에

   효과가 입증된 임상 보고가 있습니다 [1].

 * 간 기능 개선: 간에서 생성되는 담즙(소화액)의 분비를 촉진하고, 간에 축적된 독성

   물질을 해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5].

 * 규폐증 효력: 우피선 규폐증(광산 등에서 규산 먼지를 흡입하여 발생하는 폐 질환)에

   효력이 있다는 임상 보고도 있습니다 [1].

 * 황달형 간염: 황달형 간염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4. 복용법과 특징                                                                                                         

 개속새는 주로 전초(全草)를 건조하여 달여서 복용하는 형태로 사용됩니다. 약재의

특성상 개인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복용량과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한의

사 등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합니다.

 

 

5. 취급 방법                                                                                                                

 5-1. 성질

  개속새를 포함한 속새는 성질이 차고 맛은 달며 약간 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은 몸의 열을 내리고 이뇨 작용을 돕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5-2. 보관 방법

  채취한 개속새는 깨끗이 세척한 후 햇볕에 잘 말리거나 건조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건조해야 합니다. 건조된 약재는 습기가 없고 통풍이 잘 되는 서늘한 곳에 보관하며,

 밀봉하여 보관하면 약효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5-3. 약효 부위

  개속새는 주로 줄기를 포함한 식물 전체, 즉 전초(全草)가 약재로 사용됩니다.

 5-4. 1회 사용량

  개속새의 1회 사용량 6~8g. 약재의 사용량은 환자의 상태, 질병의 종류, 약재의

 건조 상태 및 농축도에 따라 매우 유동적이므로, 반드시 전문가의 처방에 따라야

 합니다.

 5-5. 독성

  속새속 식물은 일반적으로 독성이 강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으나, 티아민 분해 효소

 (thiaminase)를 함유하고 있어 과량 또는 장기간 섭취 시 비타민 B1 결핍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가의 지도 없이 임의로 복용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5-6. 장기 복용

  개속새의 장기 복용은 티아민 분해 효소 함유 가능성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

 니다. 장기 복용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한의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여 개인의 건강

 상태와 약재의 특성을 고려한 후 결정해야 합니다.

 

6. 채취 정보                                                                                                                

 6-1. 서식지

  개속새는 습기가 많은 들판, 논두렁, 밭둑, 산기슭 등 다양한 환경에서 자생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도 비교적 흔하게 발견됩니다 [2].

 6-2. 채취 기간

  개속새는 주로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채취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시기에 식물의

 약효 성분이 가장 풍부하게 축적되기 때문입니다.

 

7. 약초 생김새                                                                                                             

 7-1. 높이(키)

  개속새는 일반적으로 30cm에서 100cm 정도의 높이로 자랍니다. 줄기는 곧게 서며

 속이 비어 있고, 마디가 뚜렷합니다.

 7-2. 꽃 특징

  개속새는 꽃이 피지 않는 양치식물입니다. 대신 포자로 번식하며, 줄기 끝에 포자낭수

 가 달립니다. 포자낭수는 원줄기 또는 가지 끝에 달리며 대가 없고, 길이 1~2cm 정도

 의 긴 타원형으로 끝이 약간 뾰족합니다 [4].

 7-3. 열매 특징

  개속새는 꽃이 피지 않으므로 열매를 맺지 않습니다. 포자낭에서 포자를 형성하여

 번식합니다.

 7-4. 잎 특징

  개속새의 잎은 퇴화하여 줄기의 마디에 비늘 모양의 엽초(葉鞘)로 존재합니다.

 엽초는 8~24개의 능선(줄기 표면의 세로줄)이 있으며, 다소 엉성하게 줄기를 둘러

 쌉니다. 엽초의 끝에 있는 치편(齒片, 이빨 모양의 조각)은 좁은 피침형으로 암갈색

 을 띠며 오래 남아 있는 편입니다 [3].

 7-5. 번식 특징

  개속새는 포자로 번식하며, 땅속줄기(근경)를 길게 뻗어 영양 번식을 한다 [3].

 이러한 번식 특성 덕분에 한 번 자생하기 시작하면 군락을 이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개속새와 비슷한 효능을 지닌 약초로는 같은 속새속의 속새(Equisetum hyemale)와

쇠뜨기(Equisetum arvense) 등이 있습니다. 이들 식물은 형태적으로 유사하며, 한방

에서 이뇨, 해열, 지혈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쇠뜨기는 '필두채

(筆頭菜)'라는 생약명으로도 불리며, 봄철 어린순은 식용으로도 사용됩니다.

 

9. 참고 자료                                                                                                                

[1] 네이버 블로그 - [8월 약초] 속새 효능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anifeel3/221347439636)

[2]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 개속새 -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https://species.nibr.go.kr/species/speciesDetail.do?ktsn=120000059582)

[3] 풀베개 - 식물도감 - 개속새 - 풀베개

(https://wildgreen.co.kr/plant/266211)

[4] 티스토리 - 개속새(속새과 속새속) - 여왕벌이 사는 집 - 티스토리

(https://qweenbee.tistory.com/8897966)

[5] 속새 : 네이버 블로그 - 약초 - 속새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mulgoginara59/221457055018?viewType=pc)B5%B4-600g/97/)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7. 개석잠풀  (149) 2025.07.04
056. 개상사화  (149) 2025.07.02
055. 개살구나무  (158) 2025.06.30
054. 개사철쑥  (128) 2025.06.28
053. 개비자나무  (152) 2025.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