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071. 갯금불초

by 꽃단청 2025. 8. 1.
728x90

071. 갯금불초                                                                     

 

 

1. 소개                                                                                                                        

  갯금불초(Wedelia prostrata DC.)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주로 해안가

모래땅에서 번식하는 특이한 야생 약초입니다. 이 식물은 줄기가 땅을 기듯이 퍼지면서

마디마다 뿌리를 내리고, 여름이 되면 선명한 노란색 꽃을 피우며, 척박한 환경에서도

강한 생명력을 보입니다. 꽃의 모양과 번식지 특성에 따라 “갯금불초”라는 이름을 가지

게 되었고, 제주와 전남 일부 해안 지역에 특히 자주 발견됩니다. 지역에 따라 노지국,

금전화, 황숙화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며, 모래 유실을 막는 역할도 하는 식물

로서 생태적으로도 의미가 있습니다[1][2][3].

 

2. 생약명                                                                                                                    

 갯금불초의 대표적 생약명은 ‘노지국’입니다. 한방에서는 꽃 또는 지상부를 약재로 사

용할 때 각기 ‘노지국’(野地菊) 또는 ‘금전화’(金錢花), ‘황숙화’(黃熟花), ‘모래덮쟁이’

으로도 부르며, 생약명으로 “Wedeliae Herba” 또는 “Wedeliae Herba”로 명명되고

있습니다[1].

 

3. 주요효능                                                                                                                 

- 심혈관 강화:심장박동 조절, 부정맥 및 빈맥 개선, 혈액순환과 혈압 조절에 도움[4].

- 항암 작용: 플라보노이드, 테르펜, 퀘세틴 등 항산화 물질 함유로 항종양 작용[4].

- 호흡기 질환 개선: 가래 배출, 기침 완화, 천식 및 기관지염 치료에 효과[5][6].

- 소화·위장 보호: 소화불량, 위장 기능 저하, 위궤양 예방에 도움[4][5].

- 염증 완화: 항염, 항균 작용 및 각종 염증성 질환 억제[5].

- 이뇨 및 간기능 개선: 이뇨 촉진, 간 기능 강화, 신장기능 보조[5].

- 기타: 비만 예방, 입덧·구토진정, 메스꺼움 해소, 면역력 강화 등[4][5].

 

4. 복용법과 특징                                                                                                          

- 복용법: 건조시킨 지상부(꽃·줄기·잎) 또는 뿌리를 10~15g(1회) 기준으로 하루 1리터

  물에 달여 복용합니다.

- 특징: 신맛과 약간의 쓴맛이 있으며, 따뜻한 성질로 대변이 묽은 체질의 경우 과다섭취

  를 피해야 합니다. 가벼운 독성은 거의 없으며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은 복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4].

 

 

5. 취급방법                                                                                                                 

5-1. 성질

 따뜻한 약성. 맛은 조금 쓰고 맵습니다. 매우 약한 독성만 보고된 바 있음[4].

5-2. 보관방법

 건조한 곳에서 그늘에 말려 밀폐 용기에 보관합니다. 습기에 취약하므로 장기 보관은

냉암소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4].

5-3. 약효부위

- 주로 지상부(꽃·잎·줄기), 뿌리 모두 약용으로 사용[7][4].

5-4. 1회 사용량

 하루 기준, 약 10~15g을 달여 복용[4].

5-5. 독성

 특별한 독성은 없으며, 보고된 부작용도 매우 드묾[4]. 다만 과량 복용시 설사를 유발.

5-6. 장기복용

 장기복용에 특별한 독성이나 부작용은 보고되어 있지 않으나, 모든 한약재와 마찬가지

로 과량 장기 복용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6. 채취정보                                                                                                                 

6-1. 서식지

 주로 바닷가 모래땅. 제주 해안, 전남 일부 바닷가, 성산, 광치기 해변 등에서 군락을

이룹니다[1][2][3].

6-2. 채취기간

 채취는 봄~초여름의 새순 이나 가을의 꽃이 필 때 주로 수확합니다. 꽃은 7~9월에 만

개하며, 이 시기부터 지상부를 채취합니다[1][2].

 

7. 약초생김새                                                                                                              

7-1. 높이(키)

 일반적으로 키는 30~60cm, 약간 비스듬히 자라며 길게 퍼집니다[2][3].

7-2. 꽃 특징

 노란색, 국화형 단일꽃. 화경 끝에 1개씩 피며, 각 꽃의 직경은 약 1~2cm. 7~9월 사이

에 개화합니다[1][4][8].

7-3. 열매특징

 삭과, 약 1mm 크기, 10개의 능선과 더불어 털이 있습니다[7].

7-4. 잎특징

 잎은 마주나기, 긴 타원형 내지 난형, 잎 끝이 두껍고 둥글며, 질감이 두껍고 짧고 굵은

털로 덮여 있습니다. 표면은 녹색 윤채, 상반에는 2~3쌍의 거치(톱니)가 특징 [8][3].

7-5. 번식특징

 근경(땅속줄기) 및 종자(씨앗)로 번식. 줄기는 옆으로 퍼지면서 마디에서 뿌리를 내립

니다. 강한 번식력으로 군락을 이룹니다[1][8][2].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 금불초(선복화, Inula britannica): 기관지, 위장 개선, 진정작용 등. 갯금불초와 효능

  이 매우 유사함[5][6].

- 버들금불초, 가는금불초, 가지금불초: 모두 국화과 금불초속으로 항염 및 기관지 건강

  에 효과[8][2].

 

9. 참고자료                                                                                                                 

- [1] 바닷가의 갯금불초 - 코시롱이 살아가는 이야기

- [4] 유튜브: ‘금불초-이 꽃만 먹어도~ 심장이 튼튼해지며…’

- [5] 금불초,효능,효과,주요성분,재배방법

- [7] 농사로: 금불초 형상 및 이용정보

- [8] 금불초 비교: qweenbee 블로그

- [6] 금불초(선복화)효능과 활용 및 재배 방법

- [2] 정연옥 소장 '한국 자생식물과 화장품 원료'

- [3] 갯금불초 - Newsje.com

 

[1] https://goodsh.tistory.com/7000918

[2] https://cosmorning.com/news/article.html?no=42309

[3] http://www.newsje.com/news/articleView.html?idxno=81309

[4] https://www.youtube.com/watch?v=iiEy-aipBeU

[5] https://smartnano.tistory.com/entry/%EA%B8%88%EB%B6%88%EC%B4%88%ED%9A%A8%EB%8A%A5%ED%9A%A8%EA%B3%BC%EC%A3%BC%EC%9A%94%EC%84%B1%EB%B6%84%EC%9E%AC%EB%B0%B0%EB%B0%A9%EB%B2%95

[6] https://dwool.tistory.com/entry/%EA%B8%88%EB%B6%88%EC%B4%88%EC%84%A0%EB%B3%B5%ED%99%94%ED%9A%A8%EB%8A%A5%EA%B3%BC-%ED%99%9C%EC%9A%A9-%EB%B0%8F-%EC%9E%AC%EB%B0%B0-%EB%B0%A9%EB%B2%95

[7]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z/psza/contentSub.ps?menuId=PS04103&pageIndex=4&pageSize=10&pageUnit=6&cntntsNo=205036&detailSrch=&sDtlSrchText=&sType=sCntntsSj&sText=

[8] https://qweenbee.tistory.com/8892987

[9] https://m.cafe.daum.net/sansam1119/JPx0/2328?listURI=%2Fsansam1119%2FJPx0

[10] https://qweenbee.tistory.com/8901213

[11] https://khr551.tistory.com/m/3460

[12] https://patents.google.com/patent/KR20000060218A/ko

[13] https://patents.google.com/patent/KR20070107621A/ko

[14] https://patents.google.com/patent/KR101889958B1/ko

[15] https://ykchouse.tistory.com/419

[16] https://dogok60.tistory.com/860

[17] https://m.korea.kr/expertWeb/resources/files/data/document_file/2009/%EC%8B%9D%EC%95%BD%EA%B3%B5%EC%9A%A9%ED%95%9C%EC%95%BD%EC%9E%AC%EA%B4%80%EB%8A%A5%EA%B2%80%EC%82%AC%EC%A7%80%EC%B9%A8%EB%82%B4%EC%A7%80%5B1%5D.pdf

[18] https://patents.google.com/patent/KR20200086841A/ko

[19] http://www.kacn.org/data/nature/nature_issue_128.pdf

[20] https://nongup.gg.go.kr/wp-content/uploads/sites/2/2013/08/%EB%AF%BC%EA%B0%84%EC%95%BD%EC%B4%88%EC%83%81%ED%8E%B8%EA%B0%80_%EB%8B%A4.pdf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0. 개질경이  (153) 2025.07.30
069. 개족두리풀  (148) 2025.07.28
068. 개자리  (151) 2025.07.26
067. 개옻나무  (172) 2025.07.24
066. 개오동나무  (146) 2025.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