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073. 갯까치수염

by 꽃단청 2025. 8. 5.
728x90


073. 갯까치수염                                                                 

 


1. 소개                                                                                                                        
 갯까치수염(큰까치수염, 학명: Lysimachia clethroides)은 앵초과에 속하는 여러해

살이풀로, 전국 산과 들에서 흔히 자랍니다. 이 식물은 한약재로서 ‘진주채(珍珠菜)’

불리며 전초와 뿌리 모두가 약용에 사용됩니다. 주로 여성 질환에 뛰어난 효과가 있고,

이뇨, 청열, 소종 등 다양한 한방 효능으로 귀하게 여겨집니다.

2. 생약명                                                                                                                    
한자명: 珍珠菜
표기: 진주채
명명 유래: 꽃이 진주처럼 촘촘하게 피는 모습에서 명명됨.

3. 주요효능                                                                                                                 
 진주채는 한방에서 활혈조경(혈액순환 및 생리조절), 이수소종(체내 수분대사 및 부종

감소), 청열해독(염증 및 열 증상 완화) 등의 효능이 인정됩니다.

주요 적용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월경불순, 생리통, 기능성 자궁출혈 등 여성 생리 질환
* 백대하(대하증)
* 이질, 소화기 질환
* 인후염, 편도염 등 염증성 질환
* 유방염, 급성 유선염
* 요통, 신경통, 관절염, 타박상.

4. 복용법과 특징                                                                                                          
 진 주채의 전초 또는 뿌리를 깨끗이 씻어 잘 말린 뒤, 달임(탕제) 또는 생즙 형태로 복용.
전초 30g 혹은 생약 10–12g을 물 1,200ml에 달여 물이 반량이 될 때까지 끓인 후,

아침 저녁으로 나누어 복용.
뿌리생으로 즙을 내어 관절염이나 골수염 치료에 활용됨.
급성 질환(이질, 인후종통 등)에는 단기 집중복용이 주로 권장됩니다.

 


5. 취급방법                                                                                                                 
5-1. 성질
 맛은 시고 약간 쓰며, 성질은 평(涼, 서늘)합니다. 체질 가리지 않고 복용 가능하나,

몸이 극도로 냉한 사람은 주의.
5-2. 보관방법
 햇볕에 충분히 말린 뒤, 직사광선과 습기를 피해 냉건·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합니다.

건조한 상태로 보관해야 약효가 오래 유지됩니다.
5-3. 약효부위
 뿌리 및 전초 전체 사용.
5-4. 1회 사용량
 전초 10–12g(말린 상태), 물 1,200ml로 달임.
급성질환은 체중과 상태에 따라 조절.
5-5. 독성
 특별한 급성 독성 보고는 없으나, 과용시 설사 등 소화기 부작용 가능성 있음.

고용량/장기간 복용은 전문가와 상의 권장.
5-6. 장기복용
 일반적으로 단기 처방 위주, 연이은 장기 복용은 필요시 전문가 지도 아래 실시.

6. 채취정보                                                                                                                 
6-1. 서식지
 전국의 산, 들, 초지, 기슭, 야산 등 토양 및 환경 적응력이 뛰어남
일본, 만주, 중국 등 동아시아 전역 분포.
6-2. 채취기간
 개화기 후, 주로 가을(9~10월) 전초가 무르익은 시기 채취
부드러운 어린순은 늦봄~초여름(6~7월)에 식용 또는 약용.

7. 약초생김새                                                                                                              
7-1. 높이(키)
 50~100cm까지 곧게 자라며, 원줄기는 붉은빛을 띰.
7-2. 꽃 특징
 꽃은 6~7월 백색, 총상화서로 줄기 끝에서 꼬리 또는 수염처럼 촘촘하게 핌.

진주를 연상케 함.
7-3. 열매특징
 열매는 삭과, 둥글고 지름 2.5mm 가량으로 꽃받침에 싸여 있음.
7-4. 잎특징
 잎은 끝이 뾰족하고 넓으며, 잎과 줄기에 털이 거의 없음. 진녹색.
7-5. 번식특징
 씨앗 파종 및 근경(뿌리) 분열로 번식
환경 적응력 탁월, 산과 들 어디서나 잘 자람.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까치수염(Lysimachia barystachys): 진주채와 유사하나 잎이 더 좁고 선형.
애엽(쑥), 대혈(백출): 어혈 치유, 생리조절 효능
자금우, 산사자: 청열해독 및 이수소종 효능

9. 참고자료                                                                                                                 

 
 까치 수염의 효능 - ◇.....약초.버섯.정보방
 ≪ 큰까치수염(진주채) 무엇인가?
 유월 초여름 야생화 - 산들바람 여행이야기
 진주채 - 백두산본초이야기 - 티스토리
 진주채 뜻: 앵초과에 속한 큰까치수염의 생약명.
 큰까치수영(장근) 효능~ - ├ 약초의 효능



모든 처방 및 복용은 전문가의 진단과 지도 아래 시행하시길 권합니다.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2. 갯기름나물  (163) 2025.08.03
071. 갯금불초  (113) 2025.08.01
070. 개질경이  (167) 2025.07.30
069. 개족두리풀  (149) 2025.07.28
068. 개자리  (153) 2025.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