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075. 갯메꽃

by 꽃단청 2025. 8. 9.
728x90

075. 갯메꽃                                                                        

 

 

1. 소개                                                                                                                        

 갯메꽃(Calystegia soldanella)메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 주로 해안

의 모래땅에 군락을 이루며 자랍니다. 뿌리와 전초는 전통적으로 진통·이뇨·소종 등 다

양한 효능을 인정받으며 약용, 식용, 관상용으로 폭넓게 활용됩니다. 바닷바람과 염분에

강한 염생식물로, 항산화·항염·이뇨 등 현대적 연구에서도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가 주목

받고 있습니다[1][2][3].

 

2. 생약명                                                                                                                     

- 생약명: 신천검(腎天劍)

- 이명: 사마등(沙馬藤), 효선초근(孝扇草根), 노편초근(老扁草根), 신엽천교

- 약용 부위에 따라 명칭 차이: 뿌리(효선초근, 신천검), 전초(노편초근 등)[2][4][5].

 

3. 주요효능                                                                                                                 

- 진통·소염: 관절통, 류머티즘성 관절염, 인후염, 기관지염 등 각종 염증성·통증성 질환

  완화[4].

- 이뇨: 신장 및 방광 기능 개선, 소변불리·부종 완화[1][4].

- 소종(消腫): 종기, 습종 등 체내 부종 및 염증 개선.

- 항산화: 최근 연구에서 갯메꽃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활성, 혈당강하 효과

  등이 입증됨. 생명의학·현대 약용소재로 주목받음[3].

- 기타: 어린 순과 뿌리는 식용으로도 이용됨. 전통적으로 해열·구풍제로도 쓰임[6].

 

4. 복용법과 특징                                                                                                          

- 달임복용(탕제): 말린 뿌리 또는 전초 1회 7~13g을 200ml 물에 넣고 달여 복용.

  하루 3회로 분복하며, 하루 총량 20~40g 범위에서 조절(개인 건강상태 고려)[4].

- 외용: 달임액을 환부 세척, 찜질 등에 적용. 종기, 관절부위 통증 등에 사용.

- 식용: 연한 순 및 땅속줄기는 삶거나 나물로 식용 가능.

- 특징: 강한 염생성, 항염·항산화 효과로 현대 바이오업계에서 주목 받음.

 

 

5. 취급방법                                                                                                                 

5-1. 성질

- 맛은 맵고 약간 달며,

- 성질은 따뜻한 편(온성)입니다[2].

- 염생성·항염 특성으로 각 체질에 비교적 두루 적용.

5-2. 보관방법

- 개화기 또는 신선한 상태로 채취 후, 깨끗하게 세척하여 햇볕에 완전히 말려 종이봉투

  등 밀폐용기에 보관합니다[4].

- 습기, 직사광선을 피해 통풍이 잘되는 곳에 저장.

5-3. 약효부위

- 뿌리(효선초근, 신천검), 꽃, 줄기 및 잎(전초) 모두 약재로 사용됩니다[2][5].

5-4. 1회 사용량

- 말린 뿌리/전초: 7~13g/1회

- 하루 사용량: 20~40g(3회 분복)[4].

- 외용: 적당량(질환 부위 따라 조절).

5-5. 독성

- 자연상태에서는 특별한 급성독성 없음[2].

- 일부 식물학자의 보고에 의하면, 강한 독성이 있다는 의견 존재하여 무분별, 과다

  복용은 피할 것[4][7].

- 만성질환자, 어린이, 임산부는 전문가 지도하에 복용해야 안전.

5-6. 장기복용

- 장기복용에 딱히 부작용 보고가 드물나, 독성 우려 및 약효 내성 방지 위해 장기간·

  고용량 사용시 반드시 한의학 전문가의 지도가 요구됨[2][4].

 

6. 채취정보                                                                                                                 

6-1. 서식지

- 전국 및 전세계 해안가 모래밭, 사구, 강어귀 등 염분이 높은 해안·모래땅[2][1][6].

- 태평양 연안, 아시아·유럽·오세아니아의 온대 및 아열대 해변에 널리 분포.

6-2. 채취기간

- 전초/뿌리: 5~6 개화기 전후에 채취, 완전히 잘 건조시켜 사용[2][4][6].

- 열매: 8~9 성숙기에 채취.

 

7. 약초생김새                                                                                                              

7-1. 높이()

- 덩굴길이 100~200cm 가량이며, 줄기는 땅 위·아래 수평으로 퍼짐[1][2][4].

7-2. 꽃 특징

- 꽃은 5~6월 사이 분홍색(연보라~흰색) 깔때기 모양, 지름 4~5cm, 나팔꽃과 유사.

  꽃잎 내부 5갈래 흰 줄이 뚜렷함. 낮에만 개화[1][6].

- 잎 겨드랑이에서 긴 꽃자루로 1개씩 피어남.

7-3. 열매특징

- 8~9월에 검고 단단한 삭과(깍지), 지름 1.5cm 내외, 안에 검은 종자 2~4[4][6].

7-4. 잎특징

- 잎은 콩팥형(신원형)으로 두껍고 윤기가 납니다. 길이 2~3cm, 3~5cm, 잎 끝이

  둥글거나 오목, 가장자리에 물결무늬 요철[1][8][6].

7-5. 번식특징

- 씨앗, 분주, 꺾꽂이 모두 가능.

- 번식력이 매우 강해 모래땅에서 덩굴·지하경으로 쉽게 퍼짐[2][9].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 까치수염·진주채: 이뇨·진통·항염.

- 메꽃, 큰메꽃: 신경통, 소염, 이뇨 효과 유사.

- 애엽(쑥): 진통·항염.

- 석곡(石斛), 지골피: 해독·항염·이뇨 효능[2][4].

 

9. 참고자료                                                                                                                 

- 위키백과 갯메꽃[1]

- 익생닷컴, 갯메꽃[2]

- 고산마루 블로그, 갯메꽃 효능[4]

- 중도일보, 갯메꽃 항산화 효능[3]

- 사구식물 도감, 트리인포[8][6]

- 한국의 자원식물, 들풀 블로그[5]

- KEL'S 산행과사진 블로그[7]

- 오늘의AI위키, 야생화칼럼 등

 

[1] https://ko.wikipedia.org/wiki/%EA%B0%AF%EB%A9%94%EA%BD%83

[2] http://www.iksaeng.com/hub/hubMain.jsp?hubnos=q2kjo7wa&with=kr&from=iks

[3] https://m.joongdo.co.kr/view.php?key=20240713010004019

[4] https://gosanmaroo.tistory.com/17191092

[5] https://m.cafe.daum.net/201s/AYJ5/3821?listURI=%2F201s%2FAYJ5

[6] http://sosh.kr/31/?bmode=view&idx=7166385

[7] https://kelpics.tistory.com/2455

[8] https://www.treeinfo.net/plant/view.php?ti_no=844

[9] https://www.picturethisai.com/ko/wiki/Calystegia_soldanella.html

[10] https://wiki.onul.works/w/%EA%B0%AF%EB%A9%94%EA%BD%83

[11] http://jdm0777.com/a-yakchotxt/gaetmeggot.htm

[12] https://www.mk.co.kr/news/it/8793208

[13] https://tanma.kr/china/yeongyak.html

[14] https://www.youtube.com/watch?v=uUnZB9epwMA

[15] https://www.health.kr/researchInfo/herbalMedicine3_detail.asp?idx=421

[16] https://www.youtube.com/shorts/kUzXZ3V-mms

[17] https://www.h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275

[18] https://www.jaturi.kr/news/articleView.html?idxno=7247

[19] https://www.knagarden.info/plants/gaesmeggoc?cold-hardiness=04a%2C06b%2C09a%2C03a%2C05a&flowering-features=yeolmae%2Cip%2Cdanpung&flowering-period=4weol%2C5weol%2C6weol&soil=susaeng%2Cjeomto%2Csato

[20] http://www.kny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05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6. 갯방풍  (85) 2025.08.11
074. 갯대추나무  (147) 2025.08.07
073. 갯까치수염  (206) 2025.08.05
072. 갯기름나물  (175) 2025.08.03
071. 갯금불초  (121) 2025.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