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074. 갯대추나무

by 꽃단청 2025. 8. 7.
728x90

074. 갯대추나무                                                                 

 

 

1. 소개                                                                                                                        

 갯대추나무(Paliurus ramosissimus)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주로 제주 해안 등 바닷가 인근에서 자라는 희귀종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생약명

‘압갑자(鴨甲子)’로 한의학에서 활용되는 약용식물입니다. , 뿌리, 열매가 모두

약효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항독·해독, 토혈 치료 및 비만 개선 등 다

양한 효능으로 연구와 임상 적용이 진행 중인 식물입니다[1][2][3][4][5].

 

2. 생약명                                                                                                                    

- 생약명: 압갑자(鴨甲子)

- 학명: Paliurus ramosissimus (Lour.) Poir.

- 이명: 갯대추나무, 마갑자(馬甲子), 동전수(銅錢樹), 석자목(石刺木),

  하마나츠메(浜棗, 일본명)[1][2][4][6].

    

3. 주요효능                                                                                                                 

비만 개선 및 지방 형성 억제: 갯대추나무의 잎, 열매, 가지 추출물이 지방세포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 내장지방 감소 효능이 과학적으로 입증됨[3][5][7].

청열해독 및 항독 작용: 전통적으로 열을 내리고 독을 풀어주는 효능. 해독력으로 인해

  외상, 상처, 종기, 치질, 토혈에 사용[2][5].

혈액순환 및 어혈 개선: 어혈(血瘀)을 제거하고 새로운 혈액 생성을 도와 출혈성 질환

  및 치질, 풍습통(관절통), 인후통 등에 활용[2].

기타: 각종 염증성 질병, 치창, 인후염 증상 완화에 응용[1][2][4].

 

4. 복용법과 특징                                                                                                         

달임/탕제: 8~12g의 건조 약재(뿌리 또는 열매)를 1,000~1,200ml 물에 넣고 절반으로

  졸여 복용. 1일 2~3회 분복[1][2][6].

외용: 잎이나 뿌리를 달여 환부 세척 또는 찜질에 사용(종기, 외상 시)[2].

신선약재: 신선 뿌리 사용 시 37~74g, 외용 시 알맞은 양만 사용함[2].

특징: 잎은 식품원료로 허가되지 않아 대규모 식이 적용은 제한[3][5].

 

5. 취급방법                                                                                                                 

5-1. 성질

 맛은 달고 떫으며, 성질은 따뜻한 편(溫性)[1].

체질 구분의 제약이 적으나, 열이 많은 체질은 주의.

5-2. 보관방법

 완전히 건조시킨 뒤, 통풍이 잘되고 습기가 적은 냉건장소에서 밀봉 보관[1][2].

5-3. 약효부위

 뿌리, , 열매 모두 활용[2][6].

각 부위별 효능이 약간 다름.

5-4. 1회 사용량

 뿌리·열매: 8~12g(건조) / 신선 뿌리 37~74g; 잎은 용량 제한[1][2][6].

 잎이나 뿌리 달임액의 외용: 환부 세척 혹은 찜질용으로 적량 사용.

5-5. 독성

 특별한 독성 보고 없음[1][6].

과용 시 소화기계 불편, 알레르기 반응 가능성 있으므로 적량 유지.

식용 등록이 미진하므로 대량 섭취 주의[3][5][6].

5-6. 장기복용

 장기복용에 의한 독성·부작용 보고는 없으나, 치유 후 중단 권장. 장기 복용 시

전문가 지도 필요[1][2][6].

 

6. 채취정보                                                                                                                 

6-1. 서식지

- 제주 해안, 바닷가의 토심이 얕은 암반 위나 모래땅 등 내염성 강한 지역[1][8][4][9].

- 중국, 일본, 대만, 동아시아 해안에 주로 분포[2][4].

6-2. 채취기간

- 열매: 9~10월(가을) 성숙기에 채취[1][2].

- 뿌리: 가을~겨울(수시)[1][2].

- 잎: 필요시 연중 채취 가능(약용 시에는 전문가 지도 권장)[2].

 

7. 약초생김새                                                                                                              

7-1. 높이()

 2~3m, 희귀 해안성 낙엽활엽 관목[1][2][4][9][10].

7-2. 꽃 특징

 6월경 잎겨드랑이에 연한 녹색 또는 노란빛 취산화서. 꽃받침, 꽃잎, 수술 각각 5,

꽃자루에 갈색빛 흰색 털[2][4][11].

7-3. 열매특징

핵과, 반구형 또는 디스크형, 3갈래로 날개가 발달함[2][11].

9~10월 붉게 익으며, 식용 불가(목질 또는 혁질화됨)[11].

7-4. 잎특징

어긋나며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3~6cm, 나비 2.5~4.5cm.

부드러운 잔톱니, 3개의 맥, 잎자루에 털이 있음[1][2][4].

7-5. 번식특징

 씨앗(종자), 꺾꽂이, 분주, 접목 등으로 다방면 번식[1].

생육력 좋으나 자생지는 제한적.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 까치수염: 청열해독, 거풍산어 효능 있음.

- 석곡(石斛), 애엽(쑥): 항염, 해독 효능.

- 지골피, 두충 등 갈매나무과 다른 약초: 해독 및 혈액순환 관련 효능 유사.

 

9. 참고자료                                                                                                                 

- 익생닷컴, 갯대추나무[1]

- jdm0777 약초정보[2]

- 연합뉴스, 산림청 갯대추 연구발표[3][5][7]

- 위키백과, 갯대추나무[4]

- Treeworld 수목도감[8]

- 비즈한국 칼럼[11]

- 유튜브 생약 정보[6]

- 한반도의 생물다양성[9]

- knagarden.info 식물정보[10]

 

[1] http://www.iksaeng.com/hub/hubMain.jsp?hubnos=o9e1rqf1&with=kr&from=iks

[2] http://jdm0777.com/a-yakchotxt/gaetdaechu.htm

[3] https://www.yna.co.kr/view/AKR20230303030000063

[4] https://ko.wikipedia.org/wiki/%EA%B0%AF%EB%8C%80%EC%B6%94%EB%82%98%EB%AC%B4

[5]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69990860597

[6] https://www.youtube.com/watch?v=exicVkp4obs

[7] https://www.kenews.co.kr/news/article.html?no=82985

[8] https://treeworld.co.kr/a01_01_02/30963

[9] https://species.nibr.go.kr/species/speciesDetail.do?ktsn=120000062426

[10] https://www.knagarden.info/plants/gaesdaecunamu?cold-hardiness=09a%2C06a

[11] https://www.bizhankook.com/bk/articlePrint/14244

[12] https://oasis.kiom.re.kr/oasis/herb/monoDetailView_M09.jsp?nowBlock=13&page=136&perPage=15&srch_menu_nix=null&idx=94&tab=9

[13] https://www.youtube.com/watch?v=QxZ4oCRU1FE

[14] https://goodsh.tistory.com/m/6997448

[15]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828120

[16] https://cafe.daum.net/tozisarang/OKxI/2326

[17] https://pharmacy.cha.ac.kr/%EC%95%BD%EC%B4%88%EC%9B%90/%EC%95%BD%EC%B4%88%EC%9B%90%EB%B3%B4%EC%9C%A0%EC%8B%9D%EB%AC%BC/

[18] https://www.youtube.com/watch?v=1bNBRYospxI

[19] https://www.akomnews.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20167

[20] https://hyang420.tistory.com/15704161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3. 갯까치수염  (193) 2025.08.05
072. 갯기름나물  (171) 2025.08.03
071. 갯금불초  (121) 2025.08.01
070. 개질경이  (167) 2025.07.30
069. 개족두리풀  (149) 2025.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