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곽향

1. 개요
곽향(藿香)은 꿀풀과(Lami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에서는 흔히 방아풀
또는 방아잎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독특하고 시원한 향기가 특징인 이 약초는 예로부터
방향성(芳香性) 약재로 중요하게 활용되어 왔습니다. 특히 여름철 더위를 먹거나 습기로
인해 발생하는 소화기 질환, 감기 증상 등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며, 한국의 산과 들에
서 자생하는 것을 '산곽향(山藿香)'이라 칭하기도 합니다. 식용으로는 쌈 채소나 나물,
국 등의 식재료로 사용되어 독특한 향으로 식욕을 돋우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2. 생약명
곽향의 생약명은 곽향(藿香)입니다. 이는 약재의 본초명이며, 한국에서는 산곽향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주로 야생에서 자생하는 곽향을 일컫는 표현입니다.
곽향은 주로 Agastache rugosa (Fisch. & C.A.Mey.) Kuntze 또는 Pogostemon cablin
(Blanco) Benth. 등 꿀풀과 식물의 지상부를 말린 것을 의미합니다.
3. 주요효능
곽향은 맵고 약간 따뜻한 성질을 가지며 비경(脾經), 위경(胃經), 폐경(肺經)에 작용합
니다. 주요 효능으로는
* 거서해표(祛暑解表), 즉 더위를 몰아내고 표증(감기 초기 증상)을 풀어주는 것과
* 화습화중(化濕和中), 즉 습(濕)을 제거하고 비위(脾胃)를 조화롭게 하여 소화기 기능
을 돕는 것이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 더위를 먹거나 습기로 인해 몸이 무겁고 가슴이 답답하며, 구토나 설사 등
의 위장 장애가 있을 때 효과적입니다. 소화기가 무력할 때 장 기능을 활성화하고, 몸이
차서 발생하는 구토를 없애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곽향의 방향성 성분은 스트레스 해
소 및 두통 완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차로 달여 마시면 몸이 가벼워지고 소화력이
높아지며, 구취 제거에도 유용합니다.
4. 복용법과 특징
곽향은 주로 탕제(달인 물) 형태로 복용하며, 가루나 환제로도 활용됩니다. 특히 한방에
서는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이라는 처방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토사곽란(심한 설사
와 구토) 등 여름철 급성 위장 질환에 널리 사용됩니다.향이 강하므로 다른 약재들과 조
화롭게 배합하여 약효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줄이는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5. 취급방법
5-1. 성질
맵고(辛) 약간 따뜻한(微溫) 성질을 가지며, 향기가 강한 방향성 약재입니다.
5-2. 보관방법
건조된 곽향은 향기 성분이 휘발되기 쉬우므로, 밀폐 용기에 담아 서늘하고 건조하며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직사광선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3. 약효부위
주로 꽃이 피기 시작할 때의 지상부(줄기, 잎, 꽃) 전체를 약용합니다.
5-4. 1회 사용량
일반적으로 3g에서 9g 정도를 1회 복용량으로 하며, 증상과 처방에 따라 조절될 수
있습니다.
5-5. 독성
독성은 거의 없지만, 강한 방향성 약재이므로 음허화왕(陰虛火旺: 몸에 진액이 부족
하고 열이 많은 상태)한 사람이나 기(氣)가 허약한 사람은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과도한 복용은 오히려 위장에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5-6. 장기복용
곽향은 방향성 약재로서 장기간 단독 복용하기보다는, 필요한 증상에 따라 전문가의
처방 하에 다른 약재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장기 복용 시에는 한의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6. 채취정보
6-1. 서식지
곽향은 햇볕이 잘 드는 산과 들, 밭이나 길가에서 흔히 발견됩니다. 비교적 습하고 비옥
한 토양을 선호하지만, 환경 적응력이 좋은 편입니다.
6-2. 채취기간
일반적으로 여름부터 초가을(7~9월) 사이에 꽃이 피기 시작할 때 채취합니다. 이 시기
에 약초의 향이 가장 진하고 약효 성분이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채취 후에는 깨끗하게
세척하여 그늘에서 말려 사용합니다.
7. 약초생김새
7-1. 높이(키)
보통 50cm에서 1m 정도 높이로 자라며, 줄기에는 네모진 단면과 잔털이 있습니다.
7-2. 꽃 특징
자주색 또는 연한 자주색의 작은 꽃들이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빽빽하게 모여 이삭
모양으로 핍니다. 꽃은 입술 모양(순형화)을 하고 있습니다.
7-3. 열매특징
꽃이 진 후에 작은 타원형의 열매가 맺히며, 안에 씨앗이 들어 있습니다.
7-4. 잎특징
잎은 마주나기하며, 길고 넓은 달걀 모양 또는 심장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가장자리에
는 톱니가 있고, 앞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잎을 비비면 특유의 강한 향이 납니다.
7-5. 번식특징
주로 씨앗을 통해 번식하며, 종자의 발아력이 좋고 성장속도가 빠릅니다. 자가 번식이
활발하여 한 번 군락을 이루면 잘 퍼져나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곽향과 비슷한 효능을 가진 약초로는 창출(蒼朮), 백지(白芷), 차조기(紫蘇葉) 등이 있
습니다. 이들 역시 습을 제거하고 비위 기능을 돕는 방향성 약재로 활용됩니다.
* 창출은 주로 비위를 건조하게 하여 습을 없애는 데 강하며,
* 백지는 해표 작용과 더불어 두통 완화에 사용됩니다.
* 차조기잎은 곽향과 함께 감기, 오한, 발열, 소화불량에 널리 쓰이며, 특히 발산풍한
(發散風寒) 효능이 강합니다.
9. 참고자료
[1] 한약자원연구센터 - 곽향(藿香) - 한약자원연구센터
(https://herba.kr/boncho/?m=view&t=dict&id=11272)
[2] 곽향藿香) - 방아풀 (한약명 -곽향藿香)
(http://www.kny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66)
[3] blog.naver.com - 배가 차가워요. 소화불량과 장염에 좋은 음식, 곽향차(방아잎) ... (https://blog.naver.com/channel__h/223155544103)
[4] www.youtube.com - 스트레스로인한 소화불량, 두통에 좋은 '곽향차'
(https://www.youtube.com/watch?v=UYbxoBi9Y1A)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곽향(藿香)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4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