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 골풀

1. 개요
골풀은 골풀과(Junc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주로 줄기의 수(髓)를 한약재
로 사용합니다. 등심초(燈心草)라고도 불리며,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약용 및 공예용으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이 식물은 습지나 물가에서 잘 자라며, 경제적·
약리적으로 중요한 자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 생약명
골풀의 생약명은 등심초(燈心草, Junci Medulla)이며, 골풀(Juncus effusus Linné)
줄기 내부의 수(髓)를 말합니다. 한약재로서 대한민국약전에 정식 수록되어 있으며, 이
명으로 인초(藺草), 호수초(虎鬚草) 등이 있으나 주로 등심초라는 명칭을 사용합니다.
3. 주요효능
등심초는 이뇨작용과 진정작용이 뛰어나 목의 건조감, 기침, 가래를 완화하는 데 사용
됩니다. 특히 폐와 위에 작용하여 진정시키고, 체내 수분 균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
어 열성 질환 치료에 흔히 활용됩니다. 더불어 근육 경련 완화와 해열 등 전통적으로
널리 인정받는 약리 효과도 보고되어 있습니다.
• 심화(心火) 제거 및 청심작용
• 이뇨통림(利尿通淋) 작용으로 방광염·요로감염 개선
• 수종(부종) 완화
• 불면증 및 심번(心煩) 해소
• 소아야제(夜啼) 진정
• 후비(喉痺: 인후염) 치료
• 출혈 억제 및 음기(陰氣) 소통
4. 복용법과 특징
주로 달인 물(탕제)로 복용하며, 분말이나 환제로도 제조됩니다. 온화한 성질로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과다 복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등심초는 다른 한약재
와 혼합하여 상대적으로 균형 잡힌 처방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으며, 장기간 복용 시 전
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5. 취급방법
5-1. 성질
성질은 평하거나 다소 서늘한 편으로, 몸의 열을 내리며 진정 효과를 나타냅니다.
5-2. 보관방법
습기가 없고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하며, 직사광선을 피하고 밀폐 용기에 넣어야 약효
가 유지됩니다.
5-3. 약효부위
골풀 줄기의 속에 있는 수(髓)를 약재로 사용하며, 내부가 흰색이고 부드러운 골풀
심지입니다.
5-4. 1회 사용량
일반적으로 3~9g 정도를 1회 복용량으로 하며, 처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5-5. 독성
독성은 거의 없으나 과다 복용 시 위장장애 등 소화기계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5-6. 장기복용
장기 복용 시에도 큰 무리가 없으나, 체질에 따라 반응이 다를 수 있으니 전문가의
지도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6. 채취정보
6-1. 서식지
골풀은 습지, 개울가, 연못 주위 등 물기가 많은 곳에서 군락을 이루며 주로 따뜻한
남부 지방과 일부 북부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6-2. 채취기간
주로 8월부터 10월 사이에 줄기의 속을 채취하는데, 이 시기에 식물의 줄기가 무르고
수질이 풍부하여 약효가 가장 뛰어납니다.
7. 약초생김새
7-1. 높이(키)
약 1.2~1.5m 정도 자라며, 뿌리에서 옆으로 뻗어나가는 형태를 보입니다.
7-2. 꽃 특징
작고 눈에 띄지 않는 갈색 꽃이 줄기 끝에 다발 형태로 피어납니다.
7-3. 열매특징
열매는 작은 씨방형태이며, 잘 알려진 특징적인 열매는 아닙니다.
7-4. 잎특징
잎은 줄기 아래쪽에 적고, 줄기 자체가 광합성 작용을 담당하며 잎 모양은 가늘고 선형
입니다.
7-5. 번식특징
옆으로 뻗는 뿌리줄기(근경)를 통해 무성번식이 활발하며, 씨앗으로도 번식이 가능합
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진피, 마황, 감초 등이 등심초와 함께 이뇨 작용이나 진정, 해열 목적으로 쓰이며 상호
보완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등심초가 부드러운 성질이라면 마황은 강한 발한 작용이
있어 증상에 따라 선택됩니다.
* 차전자(車前子): 이뇨, 청열, 해독
* 목통(木通): 이뇨, 청심, 통경
* 등대초(燈臺草): 청열, 진정, 이뇨
9. 참고자료
[1] 한약자원연구센터 - 등심초(燈心草) - 한약자원연구센터
(https://herba.kr/boncho/?m=view&t=dict&id=15885)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골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4195)
[3] m.blog.naver.com - 골풀, 생약명~ 등심초(燈心草), 이명(異名)~인초(藺草),호수초(虎 ... (https://m.blog.naver.com/bwpp/221101312065)
[4] www.allpassbio.com - [한약(생약) 정보] 등심초, 燈心草, Junci Medulla (https://www.allpassbio.com/pages/board/view.php?board_sid=11&data_sid=449&page_num=14&skey=&sval=)
[5]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 골풀 -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https://species.nibr.go.kr/species/speciesDetail.do?ktsn=1200002329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