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 광대싸리

1. 개요
일엽추(一葉萩)는 광대싸리(Securinega suffruticosa (Pall.) Rehd.) 잎, 여린가지,
꽃 그리고 뿌리를 모두 약재로 사용하는 생약명입니다. 광대싸리는 산지의 공터나 숲
가장자리에 흔히 자라는 떨기나무로, 동아시아 지역에서 예로부터 약용으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특히 풍(風)을 제거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거풍활혈), 신장을 튼튼하게 하
고 근육을 강화하는(익신강근) 효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 생약명
생약명은 일엽추(一葉萩)입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화소조(花掃條), 산추조(山帚條),
소립호(小粒蒿), 팔과엽하주(八顆葉下珠) 등으로도 불립니다.
3. 주요 효능
일엽추는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거풍활혈(祛風活血):몸속의 풍(風)을 제거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합니다. 이는 관
절통, 신경통 등 다양한 통증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익신강근(益腎强筋):신장을 튼튼하게 하고 근육의 힘을 길러줍니다. 나이가 들면서 약
해지는 근골격계 건강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통증 완화:사지 마비, 반신불수, 안면 신경마비, 풍습성 요통 등 다양한 신경계 및 근골
격계 통증에 적용됩니다. 이는 풍사를 제거하고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작용과 관련이 있
습니다.
* 만성 질환 개선:소아마비 후유증, 발기부전, 신경쇠약, 현훈(어지럼증), 이롱(귀울림)
등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4. 복용법과 특징
일엽추는 보통 3~6g 정도를 달여서 복용합니다. 약재를 달일 때는 전문가의 지시에 따
라 적절한 용량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로 물에 달여 탕약 형태로 복용하며, 단독
으로 사용하기보다는 다른 약재와 배합하여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몸이 차가운 사람에게 더욱 적합할 수 있습니다.

5. 취급 방법
5-1. 성질
일엽추는 약성이 '맵고 쓰며, 따뜻하고 독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 덕분
에 몸속의 냉기를 몰아내고 기혈 순환을 촉진하는 데 사용되지만, 독성이 있기 때문에 사
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5-2. 보관 방법
건조된 약재는 습기와 직사광선을 피해 서늘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밀폐 용기에 담아두면 약효 성분의 손실을 줄이고 벌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
니다.
5-3. 약효 부위
광대싸리의 잎, 여린 가지, 꽃 그리고 뿌리 등 여러 부분이 약재로 활용됩니다. 각 부위
마다 조금씩 다른 성분과 효능을 가질 수 있어, 질환에 따라 적절한 부위를 선택하여 사
용합니다.
5-4. 1회 사용량
한국한의학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1회 복용 시 3~6g을 달여서 복용한다
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는 성인의 표준 복용량이며, 개인의 체질이나 질병 상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해야 합니다.
5-5. 독성
일엽추는 약성에 '독이 있다'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한의사 또는 전문가의 처
방에 따라 정해진 용량과 복용법을 엄수해야 합니다. 과다 복용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몸이 허약하거나 특정 질환이 있는 경우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5-5. 장기 복용
일엽추는 독성이 있는 약재이므로 장기 복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주로 단기간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며, 장기간 복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가와 충분히 상담하
고 경과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6. 채취 정보
6-1. 서식지
광대싸리는 중국 동북부, 화북, 화동 지역 및 하남, 섬서, 사천 등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우리나라 전역에도 자생합니다. 주로 숲으로 덮여 있지 않은 산지의 공터나 숲 가장자리
에서 흔하게 발견됩니다.
6-2. 채취 기간
* 잎, 여린 가지, 꽃:늦봄부터 늦가을까지 잎이 붙어 있는 녹색 여린 가지와 꽃을 채취
하여 잘 묶어 그늘에서 말립니다.
* 뿌리:뿌리는 일년 내내 채취가 가능합니다. 채취 후에는 흙과 모래를 깨끗이 제거하고
씻은 다음 적당한 크기로 잘라 햇볕에 말립니다.
7. 약초 생김새
7-1. 높이(키)
광대싸리는 줄기가 곧추서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 떨기나무 또는 작은키나무입니다.
보통 1~3m까지 자라며, 드물게는 10m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7-2. 꽃 특징
꽃은 6~7월에 암수딴그루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립니다. 꽃의 색은 노란빛을
띠고 있습니다. 수꽃은 2~12개씩 모여 피며, 암꽃은 1~3개씩 피고 꽃자루가 수꽃보다
긴 것이 특징입니다.
7-3. 열매 특징
열매는 삭과(capsule)로, 약간 납작한 공 모양이며 지름은 4~6mm 정도입니다. 열매
가 익으면 3갈래로 갈라지는 특징을 보입니다.
7-4. 잎 특징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의 형태를 가집니다. 길이는 2~5cm,
폭은 1.0~2.5cm 정도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한 것이 특징입니다.
7-5. 번식 특징
주로 씨앗을 통해 번식합니다. 바람에 의해 씨앗이 퍼져나가 자연적으로 발아하는 방
식으로 번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일엽추와 비슷한 효능을 가진 약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강활(羌活):거풍제습(祛風除濕), 진통 작용이 강하여 풍습으로 인한 통증이나 마비에
활용됩니다.
* 독활(獨活):역시 풍습을 제거하고 통증을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어 하체 통증이나 마
비에 주로 사용됩니다.
* 해동피(海桐皮):거풍습, 통락(通絡) 효능이 있어 관절염, 요통, 사지 마비 등에 사용됩
니다.
9. 참고 자료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광대싸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5135)
[2]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 일엽추(一葉萩) -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https://herba.kr/boncho/?m=view&t=dict&id=32010)
[3]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 광대싸리 -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