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 구리때

1. 개요
백지(白芷)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구릿대의 뿌리를 말하며, 한의학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중요한 약재입니다. 예로부터 동양 의학에서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활
용되어 왔으며, 특히 두통, 통증 완화, 피부 미용 등 여러 방면에서 그 효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백지라는 이름은 약재의 단면이 희고, 밝은 기운을 준다는 의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생약명
생약명은 백지(白芷)입니다.
이는 구릿대나 일천궁(Angelica dahurica var. formosana)의 뿌리를 건조하여 가공한
약재를 지칭합니다.
3. 주요 효능
백지는 매우 다양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효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진통 및 소염 작용:감기로 인한 두통, 치통, 안면신경통, 삼차신경통 등에 뛰어난 진통
효과를 보이며, 염증을 가라앉히는 데도 도움을 줍니다. 축농증(부비강염)으로 인한 두
통에도 사용됩니다.
* 해열 및 발한 작용:몸의 열을 내리고 땀을 내어 감기 초기 증상을 완화하는 데 유용합
니다. 특히 오한과 발열이 동반되는 외감성 질환에 효과적입니다.
* 항균 및 해독 작용:인체의 면역력을 높여주고 유해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어
염증성 질환이나 해독 작용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 피부 미용 효과:얼굴에 생기는 다양한 피부 질환에 효과적이며, 특히 미백 작용이 뛰어
나 여성들 사이에서 피부 관리용으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피부를 환하고 깨끗하게 가꾸
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부종 완화 및 이뇨 작용:몸의 불필요한 수분을 배출하여 부종을 완화하고 소변 배출을
돕는 이뇨 작용을 합니다.
4. 복용법과 특징
백지는 주로 탕약의 형태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분말 또는 환의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
하기도 합니다. 외용약으로는 피부 질환에 직접 바르거나 세안수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다른 약재들과 배합하여 사용하며, 전문가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방법으로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발한 작용이 있으므로 몸이 허약하거나 땀
을 많이 흘리는 사람은 주의해야 합니다.

5. 취급 방법
5-1. 성질
백지는 성질이 따뜻하고 매운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운이 상승하는 성질이 있어 상부
의 병증, 특히 머리와 얼굴 부위의 질환에 많이 사용됩니다.
5-2. 보관 방법
백지는 습기에 약하므로 건조하고 서늘하며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직사
광선을 피하고 밀폐 용기에 넣어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기간 보관 시에는 곰팡이나
해충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5-3. 약효 부위
백지는 식물의뿌리부분을 약재로 사용합니다. 뿌리에는 다양한 유효 성분이 농축되어
있어 주요 효능을 발휘합니다.
5-4. 1회 사용량
일반적인 백지의 1회 사용량은 질환의 종류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3g
에서 9g 사이로 처방됩니다. 전문가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 정확한 용량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5-5. 독성
백지 자체는 독성이 강한 약재로 분류되지 않지만, 과다 복용 시 위장 장애, 메스꺼움,
구토, 어지럼증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임산부나 특이 체질인 경우
복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5-5. 장기 복용
백지는 주로 급성 증상 완화를 위해 사용되거나 다른 약재와 배합하여 복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기 복용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전문가와
상담 없이 장기간 복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특히 땀을 많이 나게 하는 성질이
있어 기운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장기 복용 시에는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6. 채취 정보
6-1. 서식지
구릿대는 주로 산과 들의 습하고 양지바른 곳, 또는 물기가 있는 경사면에서 잘 자랍니
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합니다.
6-2. 채취 기간
백지(구릿대의 뿌리)는가을에 꽃대가 나오지 않은 식물의 뿌리를 캐어햇볕에 말려서
사용합니다.가을철에 뿌리의 유효 성분이 가장 풍부해지므로 이 시기에 채취하는 것이
약효가 좋습니다.
7. 약초 생김새
7-1. 높이(키)
구릿대는 일반적으로 1~2m까지 자라며, 드물게는 2.5m까지 자라기도 하는 키가 큰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7-2. 꽃 특징
7~8월경에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커다란 우산 모양의 흰색 꽃이 무리 지어 핍니다.
꽃은 여러 개의 작은 꽃들로 이루어진 겹산형화서 형태를 띠며, 특유의 향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7-3. 열매 특징
열매는 9~10월경에 익으며, 납작하고 타원형의 모양을 가집니다. 씨앗은 날개 모양의
부속물이 있어 바람에 날려 번식하기 쉽습니다.
7-4. 잎 특징
잎은 크고 어긋나게 달리며, 깃털 모양으로 2~3회 갈라지는 겹잎 형태입니다.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을 하고 있으며, 잎자루가 길고 밑 부분이 줄기를 감쌉니다.
7-5. 번식 특징
주로 씨앗을 통해 번식하지만, 뿌리 나누기 등을 통해서도 번식할 수 있습니다.
자생지에서는 씨앗이 바람에 날려 자연 발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천궁(川芎):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통증을 완화하는 효능이 있어 두통이나 여성 질환에
백지와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
당귀(當歸):보혈 작용이 뛰어나며 혈액순환을 돕고 통증을 완화하는 효능이 있어 여성
에게 특히 좋은 약재로 알려져 있습니다.
강활(羌活):발한, 해열, 진통 작용이 강하여 감기나 근육통 등에 사용되며, 백지와 함께
사용하여 통증 완화 효과를 높이기도 합니다.
9. 참고 자료
[1] YouTube - 미백효과가 좋은 백지의 효능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sE-0L1zdXhU)
[2] 흙살림연구소 - 약초 유기재배<11>구릿대(백지) - 흙살림연구소
(http://heuk.or.kr/info/sub2_3.asp?seq=1532&boardId=info02_3&mode=read)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백지(白芷)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2401)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19. 구기자나무 (6) | 2025.11.17 |
|---|---|
| 118. 괭이밥 (4) | 2025.11.15 |
| 117. 광릉쥐오줌풀 (4) | 2025.11.13 |
| 116. 광대싸리 (3) | 2025.11.11 |
| 115. 광대수염 (1) | 2025.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