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119. 구기자나무

by 꽃단청 2025. 11. 17.
728x90

119. 구기자나무                                                                

 

 

1. 개요                                                                                                                       

 구기자(枸杞子)가지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인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Mill.)의 잘 익은 열매를 건조한 것입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예로

부터 약용과 식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간과 신장을 보하고 시력을 좋게 하

, 노화를 방지하는 효능으로 유명합니다. '오래 복용하면 늙지 않고 추위와 더위를 이

기며 장수한다'는 기록이 있을 만큼, 장수를 상징하는 약초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2. 생약명                                                                                                                    

 생약명은 구기자(枸杞子)입니다. 구기자나무의 뿌리껍질은 지골피(地骨皮)라는 생약

명으로, 어린 잎은 구기엽(枸杞葉) 또는 구기순이라는 이름으로 약용 및 식용으로 사용

됩니다.

 

3. 주요 효능                                                                                                                

 구기자는 '동의보감' 등 여러 의학서에서 상약(上藥), 오랫동안 먹어도 해롭지 않고

몸을 보하며 병이 없게 하는 약으로 기록될 만큼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간과 신장 기능 강화:간과 신장을 튼튼하게 하여 피로 해소와 기력 회복에 도움을 줍

  니다. 만성 간염이나 간경변 등의 간 질환 개선에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시력 개선:눈을 밝게 하는 효능이 있어 시력 저하나 야맹증 등에 활용되며, 안구 피로

  해소에도 도움을 줍니다. 구기자에 함유된 베타카로틴 성분이 눈 건강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항산화 및 노화 방지:풍부한 항산화 성분들이 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세포 손상을

  막고 노화를 지연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오래 먹으면 늙지 않는다'는 말은 이러한

  효능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 면역력 증진:면역 기능을 강화하여 각종 질병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줍니

  다.

* 혈당 조절:혈당 강하 효능이 있어 당뇨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성 기능 개선:남성의 정기를 보하고 성 기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

  져 있습니다.

* 콜레스테롤 감소 및 혈압 조절: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혈압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여 심혈관 건강을 돕습니다.

 

4. 복용법과 특징                                                                                                         

 구기자는 특유의 달콤한 맛과 은은한 향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형태로 복용됩니다.

로 달여 마시거나, 요리 재료로 활용하여 밥을 짓거나 죽, 찌개 등에 넣어 섭취하기도

합니다. 건과일처럼 간식으로 그냥 먹거나, 구기자, 구기자 등으로 가공하여 복용

하기도 합니다. 약용으로는 대개 하루 10~30g 정도를 물에 달여 복용하지만, 증상과

체질에 따라 양은 조절될 수 있습니다.

 

 

5. 취급 방법                                                                                                                

5-1. 성질

 구기자는 성질이평(平)하고 맛이 달며, 간(肝)과 신(腎) 경락에 작용하는 약재입니다.

평하다는 것은 어떤 체질에도 크게 부담을 주지 않는다는 의미로, 장기 복용에도 적합.

5-2. 보관 방법

 건조된 구기자는 습기에 약하고 변질되기 쉬우므로, 밀폐 용기에 담아 서늘하고 건조

한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장기간 보관할 경우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것이 신선도를

오래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5-3. 약효 부위

 주로 **잘 익은 열매(구기자)**를 약용합니다. 하지만 어린 잎(구기엽)은 나물로 무쳐

먹거나 차로 끓여 마시기도 하고, 뿌리껍질(지골피)은 또 다른 약재로 사용됩니다.

5-4. 1회 사용량

 건조된 구기자의 1회 권장량은 일반적으로 4~12g 정도입니다. 하루 총 섭취량은

10~30g을 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이는 일반적인 건강 증진 목적의 섭취량입니다.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여 용량을 조절.

5-5. 독성

 구기자는 독성이 거의 없어 안전한 약재로 분류되지만, 과다 복용 시 설사나 복통

같은 가벼운 위장 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임산부나 특정 질환으로 약물

을 복용 중인 경우(특히 혈액응고 억제제 등)에는 전문가와 상담 후 섭취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5-5. 장기 복용

 구 기자는 성질이 평하고 독성이 적어 장기 복용에 적합한 약재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히려 꾸준히 복용할 때 그 효능을 충분히 발휘한다고 보기도 합니다. 하지만 어떤

약재든 개인의 체질과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장기간 복용을 원할 경우

한의사 또는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6. 채취 정보                                                                                                                

6-1. 서식지

 구기자나무는 우리나라의 산기슭 양지나 밭 가장자리, 길가 등에서 자생하며, 재배하기

도 합니다. 특히 충청남도 청양 구기자는 지리적 표시 등록이 되어 있을 만큼 재배 환경

이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6-2. 채취 기간

 구기자는 꽃이 피고 열매가 익는 시기가 늦여름부터 가을까지이므로,을에 붉게 잘 익

은 열매를 채취하여 약용합니다. 8월에서 11월 사이에 순차적으로 익으므로 여러 차례

채취할 수 있습니다.

 

7. 약초 생김새                                                                                                             

7-1. 높이()

 구기자나무는 키가 1~2m 정도 자라는 낙엽 활엽 관목입니다. 줄기에는 가시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7-2. 꽃 특징

 6월에서 9월 사이에 잎겨드랑이에서 자주색의 작은 꽃이 1~4개씩 핍니다. 종 모양을

하고 있으며, 5개로 갈라진 꽃잎이 특징입니다.

7-3. 열매 특징

 열매는 8월에서 10월에 걸쳐 주황색에서 붉은색으로 익습니다.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의 작은 열매로, 광택이 있고 맛이 달콤합니다.

7-4. 잎 특징

 잎은 어긋나게 달리거나 여러 개가 뭉쳐서 달립니다. 길이는 2~6cm, 폭은 1~3cm

정도로 타원형 또는 피침형을 띠며, 가장자리가 밋밋합니다.

7-5. 번식 특징

 주로 씨앗을 통해 번식하지만, 꺾꽂이나 뿌리 나누기 등을 통해서도 번식이 가능합니

. 자생지에서는 새들이 열매를 먹고 씨앗을 퍼뜨리는 방식으로도 번식합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 복분자:간과 신장을 보하고 눈을 밝게 하는 효능이 있어 구기자와 유사하게 사용됩니

  다. 남성의 기력 증진에도 도움을 줍니다.

* 오미자:간과 신장을 보호하고 피로 해소, 면역력 증진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기관지

  건강에 좋습니다.

* 하수오:간과 신장을 보하고 혈액을 보충하며, 모발 건강과 노화 방지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9. 참고 자료                                                                                                                

[1] 농사로 농업기술포털 - 구기자 개요 - 현장 전문가 칼럼 - 농사로 농업기술포털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x/psxn/sptExpertDtl.ps?menuId=PS63117&infoNo=6&colmnNo=2&totalSearchYn=Y)

[2] webzine.idaesoon.or.kr - 구기자(拘杞子)나무의 생리와 효능

(http://webzine.idaesoon.or.kr/board/readcnt.asp?bno=5407&win=new)

[3] webzine.daesoon.org - 구기자(拘杞子)나무의 생리와 효능

(https://webzine.daesoon.org/m/readcnt.asp?bno=5407&webzine=185&menu_no=3055&page=1)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8. 괭이밥  (4) 2025.11.15
117. 광릉쥐오줌풀  (4) 2025.11.13
116. 광대싸리  (3) 2025.11.11
115. 광대수염  (1) 2025.11.09
114. 광대나물  (5) 2025.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