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121. 구슬붕이

by 꽃단청 2025. 11. 21.
728x90

121. 구슬붕이                                                                                    

 

 

1. 개요                                                                                                                        

 구슬붕이(Gentianopsis detonsa)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용담과(Gentianaceae)에 속하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이에요. 한약재로는 주로

뿌리와 지상부를 모두 사용하여 '석용담(石龍膽)'이라고 부른답니다. 예로부터 동양 의

학에서 중요한 약재 중 하나로 여겨져 왔으며, 특히 쓴맛이 매우 강한 것이 특징이에요.

이 쓴맛 덕분에 몸속의 나쁜 기운을 몰아내고 염증을 다스리는 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

져 있습니다.

 

2. 생약명                                                                                                                    

 구슬붕이의 생약명은 **석용담(石龍膽)**이에요. '돌처럼 단단한 용의 쓸개'라는 의미

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이 약초의 뿌리가 돌처럼 단단하고 쓴맛이 마치 용의 쓸개처럼

매우 강렬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추측됩니다. 이 이름에서도 약초의 강력한 약

효를 짐작해 볼 수 있어요.

 

3. 주요 효능                                                                                                                

 석용담은 우리 몸의 폐(肺), 간(肝), 심(心)과 같은 주요 장기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주로 다음과 같은 효능이 있다고 보입니다.

* 해열 및 소염 작용:몸에 쌓인 열을 내리고 염증을 가라앉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

  다. 특히 간에 쌓인 열을 내리는 효능이 뛰어나서 눈이 충혈되거나 염증이 생기는 증

  상에 사용되기도 해요.

* 습열 제거:몸 안의 과도한 습기와 열을 제거하여 습진, 피부 가려움증, 비뇨기계 염증

  등 다양한 습열 관련 질환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 간 기능 개선 및 해독:간에 쌓인 독소를 제거하고 간의 기능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

  어, 간염이나 황달 증상 개선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 위장 기능 조절:강한 쓴맛은 소화를 촉진하고 위액 분비를 돕는 효과가 있어 소화불량

이나 식욕부진에 사용될 수 있으나, 너무 과도한 섭취는 오히려 위장에 부담을 줄 수도

있습니다.

 

4. 복용법과 특징                                                                                                         

 석용담은 주로 달여서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건조된 약재를 물에 넣고 약한 불

로 오랫동안 달여서 탕약으로 마시거나, 다른 약재들과 배합하여 환이나 가루 형태로

만들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강한 쓴맛이 특징이므로 처음 복용하는 분들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어요. 하지만 이 쓴맛이야말로 약효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답니다.

 

 

5. 취급 방법                                                                                                                

 석용담은 약성이 강한 약초이기 때문에 올바른 취급 방법이 중요해요.

5-1. 성질

 석용담은 성질이차고(寒), 맛은 **쓰다(苦)**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이 찬 성질은 몸

의 열을 내리는 데 효과적이지만, 몸이 찬 사람이나 소화 기능이 약한 사람이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5-2. 보관 방법

 건조된 약재는 습기가 없고 서늘하며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해야 해요. 직사광선을

피해 밀봉하여 보관하는 것이 좋고, 장기간 보관할 경우 곰팡이가 생기거나 약효가 떨

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리해야 합니다.

5-3. 약효 부위

 주로뿌리를 포함한 모든 지상부를 약용으로 사용합니다. 즉, 꽃, 잎, 줄기, 뿌리 등 식

물 전체에서 약효를 기대할 수 있어요.

5-4. 1회 사용량

 일반적으로 탕약으로 복용할 경우, 하루 1회에 3~9g 정도를 권장하지만, 개인의 체질

과 증상에 따라 전문가와 상담하여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5-5. 독성

 석용담은 일반적으로 적정량을 복용할 경우 큰 독성은 없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 강한

약성 때문에 일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요. 강한 쓴맛으로 인해 구토나 메스꺼움을

유발할 수 있으며, 몸이 찬 사람이나 위장이 약한 사람이 과다하게 복용하면 설사나 복

통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5-6. 장기 복용

 찬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장기 복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몸의 열을 내리는 효능이

뛰어나지만, 오랫동안 복용하면 오히려 몸의 기운을 손상시키거나 소화 기능에 부담을

줄 수 있어요. 증상이 개선되면 복용을 중단하거나 전문가와 상의하여 복용 기간을 조

절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6. 채취 정보                                                                                                                

 석용담은 특정 환경에서 자라는 약초이기 때문에 채취 시기와 서식지를 잘 아는 것이

중요해요.

6-1. 서식지

 구슬붕이는 주로 산지의 햇볕이 잘 들고 물 빠짐이 좋은 풀밭이나 경작지 근처에서 자

라며, 습하고 비옥한 토양을 선호합니다.우리나라 각지의 낮은 산과 들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6-2. 채취 기간

 주로여름에서 가을 사이, 꽃이 피어 약효 성분이 가장 풍부할 때 채취하는 것이 좋습니

다. 이때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캐내어 깨끗하게 씻어 말려서 약재로 사용합니다.

 

7. 약초 생김새                                                                                                             

 구슬붕이는 약효뿐만 아니라 생김새도 특징적이어서 쉽게 알아볼 수 있어요.

7-1. 높이 (키)

 보통10~30cm정도의 높이로 자라며, 줄기는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누워서 자라기도 합

니다.

7-2. 꽃 특징

 8월에서 10월 사이에 연한 하늘색 또는 보라색의 아름다운 꽃이 핍니다.종 모양의 꽃이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1~2개씩 달리는데, 그 모양이 매우 독특하고 아름다워서 관상

용으로도 인기가 많아요. 꽃잎에는 짙은 반점이 있거나 줄무늬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7-3. 열매 특징

 꽃이 진 후, 납작하고 타원형의 삭과(殼果) 열매를 맺습니다. 이 열매 안에는 씨앗이 들어

있으며, 익으면 벌어져 씨앗을 흩뿌려요.

7-4. 잎 특징

 줄기에 잎이 마주나며, 잎자루가 없이 줄기에 직접 붙어 있어요. 잎의 모양은 가늘고 길

쭉한 선형이거나 넓은 피침형이며, 잎 가장자리는 밋밋합니다.

7-5. 번식 특징

 주로 씨앗을 통해 번식하며, 환경 조건이 좋으면 자생력이 강해 비교적 잘 퍼지는 편입니

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석용담과 비슷하게 열을 내리고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능을 가진 약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어요.

* 용담(龍膽):같은 용담과에 속하는 식물로, 석용담과 매우 유사한 효능을 가지며 더 광

  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역시 강한 쓴맛과 찬 성질이 특징이에요.

* 황금(黃芩):역시 열을 내리고 습열을 제거하는 대표적인 약재로, 폐와 간 등에 작용하

  는 효능이 비슷합니다.

* 황련(黃連):매우 쓰고 찬 성질을 가진 약재로, 심장의 열을 내리고 해독 작용이 뛰어납

  니다.

 

9. 참고 자료                                                                                                                

[1] www.medicalmap.co.kr - [전통지식]큰구슬붕이 | 석용담 石龍膽 약용 부위 및

효능과 관련 처방

(http://www.medicalmap.co.kr/web/desk/herb/view.php?BID=M0001987)

[2] www.youtube.com - 용담초 간기능효능 폐질환효능 약초 산림 임업 농업 약용식물 ...

(https://www.youtube.com/watch?v=f2YkS4X1aVo)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0. 구리때  (4) 2025.11.19
119. 구기자나무  (6) 2025.11.17
118. 괭이밥  (4) 2025.11.15
117. 광릉쥐오줌풀  (4) 2025.11.13
116. 광대싸리  (3) 2025.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