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123. 국화

by 꽃단청 2025. 11. 25.
728x90

123. 국화                                                                           

 

 

1. 개요                                                                                                                       

 국화(菊花, Chrysanthemum morifolium)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동

양에서는 오랫동안 관상용으로 사랑받아 온 꽃이자 동시에 귀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습

니다. 예로부터 매난국죽(梅蘭菊竹)의 사군자(四君子) 중 하나로 꼽힐 만큼 지조와 절

개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죠. 한약재로서 국화는 주로 꽃을 말려 사용하며, '몸의 열

을 내리고 해독하며 시력을 좋게 하는' 효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마치 아름다운 국화

꽃이 가을 찬바람을 이겨내고 피어나듯이, 국화는 우리 몸의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편

안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답니다.

 

2. 생약명                                                                                                                    

 국화의 생약명은 그대로 **국화(菊花)**입니다. 한자어 '菊花'는 꽃 '국'과 꽃 '화'가 합쳐

진 말로, 그 이름 자체에서 이 약재가 '국화 꽃'임을 명확히 알려주고 있어요. 때로는 꽃의

색깔에 따라 백국화(白菊花), 황국화(黃菊花) 등으로 세분하여 부르기도 합니다.

 

3. 주요 효능                                                                                                                

 국화는 주로 머리와 눈에 쌓인 열을 내리고 염증을 가라앉히는 데 효과적인 약재로 알려

져 있어요.

* 해열 및 진정 작용:몸에 쌓인 불필요한 열을 내리고, 머리가 맑아지도록 돕는 효능이 있

  습니다. 두통, 어지럼증, 발열, 불면증 등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어요.

* 청간명목 (淸肝明目):간의 열을 식히고 눈을 맑게 하는 작용이 뛰어납니다. 눈의 피로,

  충혈, 건조함, 시력 감퇴, 결막염 등 각종 안과 질환에 사용되며, 특히 과도한 눈 사용으

  로 인한 눈의 피로를 푸는 데 좋습니다. 마치 뜨거운 태양 아래 지쳐있는 눈에 시원한 바

  람을 불어넣어 주는 것과 같아요.

* 해독 및 소염:몸속의 독소를 제거하고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능도 있어, 피부 발진, 종기

  등 염증성 질환에 외용하거나 내복하기도 합니다.

* 혈액 순환 개선:혈액순환을 돕고 혈압을 안정시키는 데에도 일부분 기여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특이 효능:코피가 날 때 국화잎을 빻아서 코피가 나오는 콧구멍에 넣으면 지혈에 도움

  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음낭이 가려울 때 국화 뿌리를 끓여서 바르기도 하며, 주독(酒

  毒)을 다스리는 데 황국(黃菊)의 꽃을 9월 9일에 채집하여 분말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4. 복용법과 특징                                                                                                         

 국화는 주로 국화차 형태로 우려 마시는 것이 가장 흔한 복용법이에요. 말린 국화 꽃잎

을 뜨거운 물에 넣어 우려내면 은은한 향과 함께 편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약 처방

에서는 다른 약재와 함께 달여서 탕약으로 복용하거나, 가루, 환의 형태로 복용하기도

합니다. 맛은 달고 약간 쓰며, 특유의 향기가 마음을 안정시켜 줍니다.

 

 

5. 취급방법                                                                                                                 

 국화는 비교적 순한 약재에 속하지만, 올바른 취급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5-1. 성질

 국화는 성질이차고(涼), 맛은 **달고(甘) 쓰다(苦)**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찬 성질

덕분에 몸의 열을 내리고 염증을 가라앉히는 데 효과적이지만, 평소 몸이 차거나 소화

기능이 약한 사람은 과도하게 복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5-2. 보관방법

 건조된 국화는 습기에 약하므로, 밀봉하여서늘하고 건조하며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

관해야 합니다. 직사광선을 피하고, 곰팡이가 피지 않도록 주의 깊게 관리해야 약효를

오래 보존할 수 있어요.

5-3. 약효부위

 주로꽃 전체를 약용합니다. 꽃이 활짝 피었을 때 채취하여 잘 말린 것을 사용해요.

5-4. 1회 사용량

 차로 마실 경우, 보통 건조된 국화 3~5g을 뜨거운 물에 우려 마시는 것이 일반적입니

다. 한약재로 사용될 경우, 하루 6~12g 정도를 다른 약재와 함께 달여서 복용하는 것

이 일반적이지만, 개인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5. 독성

 국화는 일반적으로 독성이 적고 안전한 약초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에 따라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 가려움 등)을 보이거나, 몸이 찬 사람이 과다하게 복용할 경

우 위장 장애(설사, 복통 등)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임산부나 특이 체질인 경우에는

복용 전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5-6. 장기복용

 성질이 찬 편이므로 평소 몸이 찬 사람은 장기 복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몸의 열을 내

리는 효능이 뛰어나지만, 과도하게 복용하면 몸의 온기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에

요. 차처럼 가볍게 마시는 것은 큰 문제가 없으나, 약재 형태로 장기간 복용할 때는 한

의사와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6. 채취정보                                                                                                                 

 약용으로 사용할 국화는 꽃이 가장 활짝 피었을 때 채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6-1. 서식지

 국화는 원예종으로 개량되어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약용 국화 또한 주로 재배

를 통해 생산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원이나 농가에서 널리 재배되며, 일부 야생 국화

종류도 산과 들에서 찾아볼 수 있어요. 주로 양지바르고 물 빠짐이 좋은 토양에서 잘 자

랍니다.

6-2. 채취기간

 약용 국화는 보통 **꽃이 피는 시기인 가을철(9월~10월)**에 꽃이 활짝 피었을 때 채취

니다. 특히 일부 종류의 국화, 예를 들어 황국(黃菊)의 경우 9월 9일에 채집하면 약효

가 좋다고 전해지기도 합니다.채취한 꽃은 깨끗하게 손질하여 그늘에서 잘 말려 약재로

사용해요.

 

7. 약초 생김새                                                                                                             

 국화는 다양한 품종이 있지만, 약용으로 쓰이는 국화의 일반적인 생김새는 다음과 같습

니다.

7-1. 높이 (키)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30~90cm정의 높이로 자라며, 줄기는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랍니다.

7-2. 꽃 특징

 9월에서 11월 사이에 다양한 크기와 모양, 색깔(주로 흰색, 노란색, 보라색)의 꽃이 핍

니다. 꽃잎이 많고 풍성하게 피어나며, 꽃의 중심부와 바깥쪽 꽃잎의 모양이 다른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약용으로 사용되는 국화는 소형이거나 중형의 꽃을 가진 품종이 많습

니다.

7-3. 열매 특징

 꽃이 지고 나면 작고 납작한 수과(瘦果) 형태의 열매를 맺으며, 그 안에 씨앗이 들어있

습니다.

7-4. 잎 특징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가장자리가 깊게 갈라지거나 톱니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잎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에는 잔털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잎에서도 특유의 향기가 납

니다.

7-5. 번식특징

 주로 씨앗 번식 외에도 꺾꽂이(삽목)나 포기나누기 등을 통해 번식이 가능합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국화와 비슷하게 열을 내리고 눈을 맑게 하는 효능을 가진 약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

이 있습니다.

* 결명자(決明子):역시 눈을 밝히는 대표적인 약재로, 눈의 피로, 충혈, 안구 건조증 등

  에 효과적입니다.

* 감국(甘菊):국화의 한 종류로, 일반 국화와 효능이 유사하며 단맛이 더 강하다고 알려

  져 있습니다.

* 상엽(桑葉):뽕나무 잎으로, 폐열을 식히고 풍열을 제거하며 눈을 맑게 하는 효능이 있

  습니다.

 

9. 참고 자료                                                                                                                

[1] www.yakup.com - 국화(菊花)

(https://www.yakup.com/pharmplus/plus_print.html?nid=3000025450)

[2] 바이오 스토리 하우스 - (19)눈으로 즐기고 향에 취하는 '국화' - 바이오 스토리 하우스

(https://www.biocnc.com/764)

[3] 푸드투데이 - 제대로 알고 먹는 약재 상식 - 국화(菊花) 구절초(九節草) - 푸드투데이 (https://www.foodtoday.or.kr/news/article.html?no=95852)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2. 구절초  (8) 2025.11.23
121. 구슬붕이  (6) 2025.11.21
120. 구리때  (4) 2025.11.19
119. 구기자나무  (6) 2025.11.17
118. 괭이밥  (4) 2025.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