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124. 굴거리

by 꽃단청 2025. 11. 27.
728x90

124. 굴거리                                                                       

 

 

1. 개요                                                                                                                       

 굴거리나무(Daphniphyllum macropodum)는 굴거리나무과에 속하는 늘푸른나무로,

우리나라 남부 지방과 제주도를 포함한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합니다.

잎이 무성하고 아름다운 수형 때문에 관상용으로 정원이나 공원에 심기도 해요. 하지만

이 나무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식물체 전체에 독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제한적인 용도로 사용되어 왔지만, 그 독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약

용으로는 권장되지 않으며, 전문가의 정확한 처방과 지도 없이는 사용해서는 안 되는

약초입니다.

 

2. 생약명                                                                                                                    

 굴거리나무는 그 독성 때문에 한약재로서 널리 사용되는 정식 생약명이 정립되어 있지

않습니다. 일부 민간에서 '굴거리'라는 이름 자체로 약재를 지칭하거나, 특정 부위(예:

잎)를 언급하기도 하지만,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한의학적 생약명은 찾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굴거리' 자체를 그 약용명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3. 주요 효능                                                                                                                

 굴거리나무는 독성 식물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전통 및 민간에서는 그 약성을 이용하여

특정한 증상에 사용되어 왔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효능은독성과 관련하

여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 당뇨 합병증 및 발기부전:일부 자료에서는 굴거리나무가 당뇨 합병증이나 갑작스러운

  발기부전 등에 좋은 약초로 소개되기도 했습니다.이는 민간요법 차원에서 전해지는 내

  용이며, 과학적으로 안전성과 효능이 충분히 입증된 것은 아닙니다.

* 어혈 제거 및 관절통:민간에서는 어혈을 풀고 관절통을 완화하는 데 사용되었다는 이

  야기도 있으나, 이는 극히 제한적인 상황과 소량 사용에 국한됩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이 모든 효능은 굴거리나무가 가진 독성을 감수하고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절대 자가 처방해서는 안 됩니다.

 

4. 복용법과 특징                                                                                                         

 굴거리나무는독성 때문에 일반적인 복용법을 논하기 어렵습니다.자가 복용은 매우 위

험하며, 심각한 중독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만약 불가피하게 한의학적 처방을 받

는다면, 소량의 건조된 잎이나 다른 약재와의 배합을 통해 독성을 중화시키는 방법으로

전문가의 지휘 하에 사용될 수 있으나, 매우 드문 경우입니다. 일반인이 차처럼 우려 마

시거나 음식에 첨가하는 것은 절대 삼가야 합니다.

 

 

5. 취급방법                                                                                                                 

 굴거리나무는 그 독성으로 인해 취급에 있어 극도의 주의가 요구됩니다.

5-1. 성질

 굴거리나무는 그 약성에 대해 한의학적으로 명확히 정립된 성질(한열, 미미 등)은 없지

만, 독성을 가진 식물이라는 점이 가장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강한 약성을 지닌 독성

식물 사용 시 세심한 주의와 법제가 필요합니다.

5-2. 보관방법

 만약 채취하여 건조한 굴거리나무를 보관해야 한다면, 반드시 습기가 없고 서늘하며 통

풍이 잘 되는 곳에 밀봉하여 보관해야 합니다.가장 중요한 것은 어린이, 반려동물 및 독

성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다른 약재와 혼동하지

않도록 명확하게 표기하여 분리 보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5-3. 약효부위

 주로잎이나 줄기, 뿌리껍질등이 민간에서 약용 부위로 언급되나, 모든 부위에 독성이

존재하므로 약용으로서의 활용은 극히 제한적입니다.

5-4. 1회 사용량

 굴거리나무는 일반인이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는 1회 사용량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독성이 강하여 소량이라도 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엄격한 지시 없

이는 어떤 용량도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5-5. 독성

 굴거리나무에는굴거리닌(daphniphylline) 등 다프니필룸 알칼로이드 계열의 독성 물

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독성분은 심장과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다양한 부작용

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독성 증상:구토, 설사, 복통, 현기증, 호흡 곤란, 부정맥, 의식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으

  며, 심한 경우 생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의 사항:절대 직접 채취하여 섭취하거나, 전문가의 지도 없이 민간요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삼가야 합니다. 잎이나 줄기에 함유된 독성 때문에 가축이 섭취했을 경우에도 중

  독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5-6. 장기 복용

 굴거리나무는 독성을 지닌 약초이므로장기 복용은 절대적으로 금지됩니다.체내에 독성

물질이 축적되어 만성적인 중독 증상이나 심각한 장기 손상을 유발할 위험이 매우 높습

니다.

 

6. 채취정보                                                                                                                 

 굴거리나무는 주로 특정 지역에서 자생합니다.

6-1. 서식지

 주로 우리나라 남부 지방의 해안가나 섬 지역, 또는 저산 지대의 숲속에서 자생합니다.

햇볕이 잘 들면서도 적당히 습기가 있는 비옥한 토양을 선호합니다.

6-2. 채취 기간

 특별히 약효를 위해 특정 시기에 채취한다는 기록은 명확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물체의 성장이 활발한늦봄에서 여름 사이에 잎이나 가지 등을 채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채취 자체가 위험하므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7. 약초 생김새                                                                                                             

 굴거리나무는 특유의 생김새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7-1. 높이 (키)

 보통3~7m정도의 높이로 자라는 늘푸른큰키나무(상록 교목)입니다. 굵은 가지가 옆

으로 넓게 퍼지며 자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7-2. 꽃 특징

 4월에서 5월경잎겨드랑이에 황록색의 작은 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핍니다. 꽃은

작고 눈에 잘 띄지 않는 편이지만, 멀리서 보면 은은한 색감을 띠기도 합니다.

7-3. 열매 특징

 **가을(9월경)**에 짙은 검은색 또는 보라색으로 익는 타원형의 열매가 열립니다. 마

치 올리브 열매처럼 생겼으며, 새들이 이 열매를 먹기도 하지만 사람에게는 독성이 있

으므로 섭취해서는 안 됩니다.

7-4. 잎 특징

 잎은 가지 끝에 모여 달리며, 두껍고 윤기가 흐르는 타원형 또는 긴 달걀 모양입니다.

잎 앞면은 진한 녹색으로 반짝이고, 뒷면은 회백색을 띠는 것이 특징입니다. 잎자루가

붉은색을 띠는 경우도 있습니다.

7-5. 번식특징

 주로 씨앗 번식을 하며, 삽목(꺾꽂이)도 가능합니다. 내한성이 약해 추운 지역에서는

월동이 어렵습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굴거리나무의 민간에서의 효능(당뇨 합병증, 발기부전 등)을 대체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초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당뇨 합병증: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하거나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는 갈근(칡), 맥문동,

  천문동, 오미자 등.

* 발기부전/정력 강화:오가피, 복분자, 구기자, 산수유 등.

이처럼 안전하고 검증된 다른 약재들을 전문가와 상의하여 활용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9. 참고 자료                                                                                                                

[1] YouTube - 굴거리나무효능######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OVIgUhmlISI)

[2] PictureThis - 굴거리나무 키우고 돌보는 방법 - PictureThis (https://www.picturethisai.com/ko/care/Daphniphyllum_macropodum.html)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3. 국화  (8) 2025.11.25
122. 구절초  (8) 2025.11.23
121. 구슬붕이  (6) 2025.11.21
120. 구리때  (4) 2025.11.19
119. 구기자나무  (6) 2025.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