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857

09. 반야심경 : 구경열반(究竟涅槃) 09. 구경열반(究竟涅槃) 1. 원문 菩提薩埵 依般若波羅密多 故心無罣礙 無罣礙故 無有恐怖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 고심무가애 무가애고 무유공포 遠離顚倒夢想 究竟涅槃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 2. 해설 .. 2025. 7. 25.
067. 개옻나무 067. 개옻나무 1. 개요 (Description) 건칠(乾漆)은 옻나무과(Anacardiaceae)에 속하는 낙엽소교목인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와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Miq.)의 진(수액)을 건조시킨 것을 이르는 생약명입니다 [1]. 특히 개옻나무에서 채취한 진액을 건조한 것이 건칠로 사용되며, 예로부터 한방에서 어혈을 제거하고 적취를 없애며 살충하는 효능으로 중요한 약재로 활용되어 .. 2025. 7. 24.
08. 반야심경 : 무무(無無) 08. 무무(無無) 1. 원문 是故 空中無色 無受想行識 無眼耳鼻舌身意 無色聲香味觸法시고 공중무색 무수상행식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無眼界 乃至 無意識界 無無明 亦無無明盡 乃至 無老死무안계 내지 무의식계 무무명 역무무명진 내지 무노사 亦無老死盡 無苦集滅道 無智亦無得 以無所得故 역무노사진 무고집멸도 무지역무득 이무소득고 2. 해설 .. 2025. 7. 23.
066. 개오동나무 066. 개오동나무 1. 개요 (Description) 개오동나무는 능소화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향오동, 가달파실, 노나무 등으로 불립니다. 예로부터 우리 민족에게는 '벼락이 피해가는 나무' 또는 '뇌신목(雷神木)'으로 알려져 특별한 의미를 지녔습니다 [1]. 한방에서는 그 열매와 껍질을 약재로 활용하며, 동의보감에도 '추목피(楸木皮)'라는 이름으로 개오동나무 껍질이 처방에 사용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5]. 2. 생약명 .. 2025. 7. 2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