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060. 개시호

by 꽃단청 2025. 7. 10.
728x90

060. 개시호                                                                             

 

 

1. 약초명                                                                                                                    

 개시호는 미나리과(Api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학명은 *Bupleurum longiradiatum* var. *longiradiatum*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개시호'라는 이름은 약재로 주로 사용되는 시호(柴胡, *Bupleurum falcatum* 등)에

비해 약효가 떨어진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5].

 

2. 생약명                                                                                                                    

 개시호는 공식적인 한약재 생약명은 죽시호(竹柴胡)입니다. 한방에서 '시호(柴胡)'라는

생약명은 주로 북시호(*Bupleurum chinense*)나 시호(*Bupleurum falcatum*)의 뿌리

를 지칭합니다 [3]. 개시호는 시호와는 다른 종이며, 약재로서의 활용도가 낮아 별도의

생약명이 부여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3. 주요 효능                                                                                                               

 개시호는 "열을 내리게 하고 해독작용을 하는 풀"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이는 주로 해열 및 해독 작용에 초점을 맞춘 효능으로 볼 수 있습니다.

 

* 해열 작용: 몸의 열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해독 작용: 체내의 독소를 제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4. 복용법과 특징                                                                                                         

 일반적으로 해열 및 해독 작용을 하는 약초는 달여서 복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개시호는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4], 다른 시호 종류와는 복용법

이나 활용 부위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약재의 특성과 개인의 체질에 따라 복용

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지도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취급 방법                                                                                                                

 5-1. 성질

  개시호의 구체적인 성질(예: 한열, 귀경 등)은 서늘하며 쓰며, 해열 및 해독 작용을 하는

 약초는 대체로 성질이 차거나 평이한 경우가 많습니다.

 5-2. 보관 방법

  채취한 개시호는 깨끗이 세척한 후 햇볕에 잘 말리거나 건조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건조

 해야 합니다. 건조된 약재는 습기가 없고 통풍이 잘 되는 서늘한 곳에 보관하며, 밀봉하

 여 보관하면 약효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5-3. 약효 부위

  개시호는 "뿌리를 약재로 쓰지 못하기 때문에 개시호라고 합니다"라고 명시되어 있습

 니다 [4]. 이는 시호(柴胡)가 주로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는 것과 대조적입니다. 따라서

 개시호는 뿌리 외의 다른 부위(예: 전초)가 약용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으나, 제공된

 자료에서는 구체적인 약효 부위가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5-4. 1회 사용량

  개시호의 1회 사용량3~8g. 약재의 사용량은 환자의 상태, 질병의 종류, 약재의 건조

 상태 및 농축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드시 전문가의 처방에 따라야 합니다.

 5-5. 독성

  개시호의 독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현재 제공된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모든 약초는 오남용 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지도 없이

 임의로 복용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5-6. 장기 복용

  개시호의 장기 복용에 대한 안전성 정보는 현재 제공된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습니다.

 약초의 장기 복용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여 개인의 건강

 상태와 약초의 특성을 고려한 후 결정해야 합니다.

 

6. 채취 정보                                                                                                                

 6-1. 서식지

  개시호는 산지의 나무 아래 풀밭이나 산 능선,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2], [4].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2].

 6-2. 채취 기간

  개시호의 채취 기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현재 제공된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약초는 약효 성분이 가장 풍부한 시기에 채취하며, 전초를 사용하는 경우

 꽃이 피는 시기나 그 직전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

 

7. 약초 생김새                                                                                                             

 7-1. 높이(키)

  개시호는 높이 60cm 이상으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4].

 7-2. 꽃 특징

  개시호의 꽃 특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현재 제공된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습니다.

 미나리과 식물들은 대개 작은 꽃들이 모여 산형꽃차례를 이룹니다.

 7-3. 열매 특징

  개시호의 열매 특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현재 제공된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습니다.

 7-4. 잎 특징

  개시호는 시호에 비해 잎이 넓은 것이 특징입니다 [1].

 7-5. 번식 특징

  개시호의 번식 특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현재 제공된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여러해살이풀은 씨앗이나 뿌리줄기를 통해 번식합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개시호와 비슷한 효능을 지닌 약초로는 **시호(柴胡)**가 있습니다.

시호는 북시호(*Bupleurum chinense*)와 남시호(*Bupleurum falcatum*) 등으로 구분

되며, 해열, 해독, 소염, 간 기능 개선 등 다양한 효능으로 한방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3].

개시호는 시호보다 약효가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지만 [5], 유사한 작용을 기대할 수 있습

니다. 또한, 묏미나리, 큰시호 등도 유사한 미나리과 식물로 언급될 수 있습니다 [2].

 

9. 참고 자료                                                                                                               

[1] 네이버블로그 - 섬시호, 시호, 개시호 -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mistnote/220999174162?viewType=pc)

[2] 2015lo.tistory.com - [우리나라 산약초] 개시호 효능 시호 북시호 묏미나리 큰시호

(https://2015lo.tistory.com/42)

[3] 한약자원연구센터 - 시호(柴胡) - 한약자원연구센터

(https://herba.kr/boncho/?m=view&t=dict&id=24747)

[4] blog.naver.com - 개시호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uari40/223518180531)

[5] www.newsje.com - [제주의 들꽃] “땔감으로 쓰이는 풀이 약재로 사용된다.”..개시호 (https://www.newsje.com/news/articleView.html?idxno=278535)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9. 개승마  (173) 2025.07.08
058. 개속새  (135) 2025.07.06
057. 개석잠풀  (159) 2025.07.04
056. 개상사화  (152) 2025.07.02
055. 개살구나무  (161) 202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