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066. 개오동나무

by 꽃단청 2025. 7. 22.
728x90

066. 개오동나무                                                    

 

 

1. 개요 (Description)                                                                                                 

 개오동나무는 능소화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향오동, 가달파실, 노나무 등으로

불립니다. 예로부터 우리 민족에게는 '벼락이 피해가는 나무' 또는 '뇌신목(雷神木)'으로

알려져 특별한 의미를 지녔습니다 [1].

한방에서는 그 열매와 껍질을 약재로 활용하며, 동의보감에도 '추목피(楸木皮)'라는 이름

으로 개오동나무 껍질이 처방에 사용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5].

 

2. 생약명                                                                                                                     

 개오동나무의 생약명은 약용 부위에 따라 다르게 불립니다.

* 자백피(梓白皮): 개오동나무의 나무껍질을 의미합니다 [1], [3], [4], [5].

* 자실(梓實): 개오동나무의 성숙한 열매(씨앗)를 의미합니다 [1], [3], [4], [5].

 

3. 주요 효능                                                                                                                 

개오동나무는 한방에서 다양한 효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이뇨 작용: 열매인 자실은 이뇨제로 사용됩니다 [3]. 이는 체내의 불필요한 수분을

  배출하고 부종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소염 작용: 전반적으로 염증을 가라앉히는 소염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3].

* 기타 효능: 동의보감에 기록된 추목피(개오동나무 껍질)의 활용을 통해, 전통적으로

  다양한 질환에 응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4. 복용법과 특징                                                                                                          

개오동나무는 주로 열매와 껍질을 약재로 사용합니다.

* 열매(자실): 주로 이뇨 작용을 위해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으로 만들어 사용합니다.

* 껍질(자백피): 껍질 역시 달여서 복용하거나 외용제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특징: 약재로 사용할 때는 보통 건조하여 보관하며, 다른 약재와 배합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정확한 용량과 방법으로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취급 방법                                                                                                                

5-1. 성질

 개오동나무의 약재로서의 성질은 차거나 평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이뇨 및

소염 작용과 관련된 효능을 나타냅니다. 정확한 사기(四氣)와 오미(五味)는 한의학적

문헌을 통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5-2. 보관 방법

 건조한 상태로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습기에 취약하므로 밀

봉하여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5-3. 약효 부위

 개오동나무는 주로 열매(자실)와 나무껍질(자백피)에 약효가 있다 [4].

5-4. 1회 사용량

 약재의 1회 사용량은 환자의 상태, 체질, 질병의 종류 및 다른 약재와의 배합 여부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드시 한의사 등 전문가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야 합니다. 일반적으

열매는 4~12g, 껍질은 6~15g 정도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참고치일 뿐 개별 처

방에 따라 달라집니다.

5-5. 독성

 개오동나무는 대체로 안전한 약재로 알려져 있으나, 모든 약초가 그러하듯 과량 복용

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임산부나 특정 질환을 가진 사람은 전문가와

상담 후 복용해야 합니다.

5-6. 장기 복용

 장기 복용 시에는 반드시 전문가의 지도를 받아야 합니다. 약재의 성질과 개인의 체질

에 따라 장기 복용의 적합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불필요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주

기적인 검진이 필요합니다.

 

6. 채취 정보                                                                                                                

6-1. 서식지

 개오동나무는 주로 산기슭이나 계곡 주변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생하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6-2. 채취 기간

* 열매(자실): 가을에 성숙한 열매를 채취합니다 [4].

* 나무껍질(자백피): 주로 봄에서 여름 사이에 껍질을 벗겨 채취합니다.

 

7. 약초 생김새                                                                                                             

7-1. 높이(키)

 개오동나무는 키가 10~20m까지 자라는 큰 나무입니다 [4].

7-2. 꽃 특징

 초여름(5~6월)에 연한 노란색 또는 흰색의 아름다운 꽃이 피며, 종 모양으로 아래를

향해 달립니다. 꽃잎 안쪽에는 자주색 반점과 노란색 줄무늬가 있습니다.

7-3. 열매 특징

 열매는 가늘고 긴 꼬투리 모양으로, 가을에 익으며 겨울에도 나무에 매달려 있는 경

우가 많습니다. 길이는 약 20~40cm에 달하며, 씨앗은 납작하고 날개가 있습니다.

7-4. 잎 특징                                                                                                                

 잎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크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입니다.

마주나거나 돌려나는 특징을 보입니다.

7-5. 번식 특징                                                                                                             

 주로 씨앗으로 번식합니다 [4].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개오동나무와 비슷한 이뇨 및 소염 효능을 지닌 약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택사(澤瀉): 강력한 이뇨 작용으로 부종 치료에 널리 사용됩니다.

* 복령(茯苓): 이뇨 작용과 함께 비위 기능을 돕고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습니다.

* 질경이(車前子): 이뇨, 소염, 지혈 작용이 있어 비뇨기계 질환에 활용됩니다.

* 인동덩굴(忍冬藤): 소염, 해열, 해독 작용이 뛰어나 각종 염증성 질환에 사용됩니다.

 

9. 참고 자료                                                                                                                

[1] blog.naver.com - 개오동나무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yoonsookro/130171162201?viewType=pc)

[2] YouTube - 한국의 산약초 72.개오동(자실,자백피)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OZ1BNuHPg1Q)

[3] 소염 : 네이버 블로그 - 개오동 나무 : 자실 또는 재실 "세칭 노나무" - 소염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citrain64/100087442824)

[4] 뉴스서천 - 우리풀 이야기/(190)개오동나무 - 뉴스서천

(http://newss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090)

[5] www.iksaeng.com - 개오동나무 | 익생닷컴

(http://www.iksaeng.com/hub/hubMain.jsp?hubnos=tvhf65nd&with=kr&from=iks)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5. 개연꽃  (156) 2025.07.20
064. 개여뀌  (150) 2025.07.18
063. 개양귀비  (150) 2025.07.16
062. 개암나무  (151) 2025.07.14
061. 개쑥갓  (134)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