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067. 개옻나무

by 꽃단청 2025. 7. 24.
728x90

067. 개옻나무                                                        

 

 

1. 개요 (Description)                                                                                                

 건칠(乾漆) 옻나무과(Anacardiaceae)에 속하는 낙엽소교목인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와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Miq.)의 진(수액)을 건조시킨

것을 이르는 생약명입니다 [1]. 특히 개옻나무에서 채취한 진액을 건조한 것이 건칠

로 사용되며, 예로부터 한방에서 어혈을 제거하고 적취를 없애며 살충하는 효능으

로 중요한 약재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2. 생약명                                                                                                                     

 건칠(乾漆)은 '마른 옻'이라는 의미, 옻나무 또는 개옻나무에서 채취한 수액을 건조

하여 덩어리 형태로 만든 약재를 지칭합니다 [1], [3], [4].

이명으로는 칠사(漆渣), 칠각(漆脚) 이 있습니다 [1].

 

3. 주요 효능                                                                                                                

 건칠은 한방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효능을 지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파어(破瘀) 및 소적(消積): 어혈(瘀血)을 뚫고 몸 안에 쌓인 덩어리(적취, 징하)를

  풀어주는 효능이 탁월합니다 [4], [5].

  이는 부인과 질환 중 월경 폐지나 복부 내 단단한 덩어리(복중경결) 등에 활용.

* 살충(殺蟲): 기생충에 의한 복부 경결(蟲積) 등 살충 작용이 있습니다 [5].

* 기타 효능: 민간에서는 오래 묵은 옻나무를 달여 위암 치료에 사용하기도 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2].

 

4. 복용법과 특징                                                                                                         

 건칠은 독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법제(약재의 독성을 제거하거나 약효를 높이는 가공

과정)를 거쳐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볶아서 복용하거나 환, 가루 형태로 만들어 사용

합니다 [2].

옻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복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없이 임의로 복용해서는 안 됩니다.

 

 

5. 취급 방법                                                                                                                

5-1. 성질

 건칠은 성질이 따뜻하거나 뜨겁고(溫熱), 맛은 맵고 쓰며(辛苦) 독성(有毒)을 지닙니다.

주로 간경(肝經)과 위경(胃經)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5-2. 보관 방법

 건조하고 서늘하며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습기에 취약하므로 밀봉하여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며, 독성이 있으므로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두어야 합니다.

5-3. 약효 부위

 건칠의 약효 부위는 옻나무과 식물인 옻나무 또는 개옻나무의 나무줄기에 상처를 내어

흘러나오는 수액을 받아 건조한 덩어리입니다 [3].

5-4. 1회 사용량

 건칠의 1회 사용량은 독성 약재이므로 매우 소량으로 제한됩니다. 일반적으로 하루

3~6그램을 환을 짓거나 가루 내어 볶아서 복용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2],

이는 참고치일 뿐 환자의 체질, 질병의 종류, 다른 약재와의 배합 등 여러 요소를 고려

하여 한의사 등 전문가의 정확한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5-5. 독성 및 장기 복용

 건칠은 독성이 강한 약재로 분류됩니다. 특히 옻의 주성분인 우루시올(Urushiol)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피부 접촉 시 옻이 오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법제를 거쳐 독성을 완화한 후 사용해야 하며, 전문가의 지시 없이 임의

로 복용하거나 장기 복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임산부, 체질이 허약한 사람,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절대 복용해서는 안 됩니다.

 

6. 채취 정보                                                                                                                

6-1. 서식지

 옻나무와 개옻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의 산기슭이나 계곡 주변에서 자생하며,

특히 햇볕이 잘 들고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 잘 자랍니다.

6-2. 채취 기간

 수액은 주로 늦봄에서 여름철(5월~9월)에 나무줄기에 상처를 내어 채취합니다.

이 시기에 수액의 분비량이 가장 많기 때문입니다.

 

7. 약초 생김새                                                                                                             

7-1. 높이()

 개옻나무는 낙엽소교목으로, 높이가 3~7m까지 자랍니다.

7-2. 꽃 특징

 초여름(5~6)에 황록색의 작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원추꽃차례로 모여 핍니다.

7-3. 열매 특징

 열매는 둥글고 납작한 핵과로, 털이 많으며 가을에 노란빛을 띠며 익습니다.

7-4. 잎 특징

 잎은 홀수깃꼴겹잎으로, 작은 잎은 7~13개 정도 달리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가을에는 붉게 물들어 아름다운 단풍을 자랑합니다.

7-5. 번식 특징

 주로 씨앗으로 번식하며, 뿌리에서도 싹이 올라와 번식하기도 합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건칠과 비슷한 효능, 즉 어혈을 풀고 적취를 제거하는 효능을 지닌 약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삼릉(三稜) 및 아출(莪朮):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어혈을 제거하며 적취를 푸는 효능

  이 강합니다.

* 도인(桃仁) 및 홍화(紅花): 활혈거어(活血祛瘀) 작용이 있어 어혈로 인한 통증이나

  생리 불순 등에 활용됩니다.

* 귀전우(鬼箭羽): 활혈거어 효능과 함께 월경 폐지나 복부 종괴 등에 사용됩니다.

 

9. 참고 자료                                                                                                                

[1] 한약자원연구센터 - 건칠(乾漆) - 한약자원연구센터

(https://herba.kr/boncho/?m=view&t=dict&id=4770)

[2] Daum 카페 - 건칠(옻나무)의 효능 - 한국의 약초(약이 없는 병은 없다) -

Daum 카페 (https://cafe.daum.net/dhbsik/2JV3/428)

[3] blog.naver.com - 건칠 (개옻나무) 효능과 먹는 방법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52_thanks/221482508191)

[4] (157) : 네이버 블로그 - 건칠(乾漆) 효능 (1559) - (157)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ehdyto02/222118917357?viewType=pc)

[5] 티스토리 - 옻나무(건칠(乾漆)) 효능(개옻나무 포함) - 고산마루 - 티스토리

(https://gosanmaroo.tistory.com/17189788)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6. 개오동나무  (142) 2025.07.22
065. 개연꽃  (165) 2025.07.20
064. 개여뀌  (164) 2025.07.18
063. 개양귀비  (156) 2025.07.16
062. 개암나무  (151) 2025.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