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0. 고구마
1. 개요
고구마(Sweet potato)는 메꽃과(Convolvulaceae)에 속하는 덩이뿌리 식물로, 학명
은 *Ipomoea batatas*입니다 [5].
남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8세기에 전래되어 구황작물로서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주식처럼 섭취될 뿐만 아니라,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 등이 풍
부하여 영양학적으로도 매우 우수한 식품입니다. 한의학적으로는 인체의 기운을 보하고
소화를 돕는 효능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2. 생약명
고구마의 주요 생약명은 번서(番薯)입니다 [5].
'번(番)'은 외국에서 온 것을 의미하고, '서(薯)'는 덩이줄기를 뜻하여 '외국에서 온 덩이
뿌리 식물'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간혹 옛 문헌에서는 '감저(甘藷)' 또는 '감서(甘薯)'
로 표기되기도 합니다 [2].
참고로 '감자'라는 단어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감자(potato)를 지칭하며, 한약재에
서는 다른 의미로 '감자(甘蔗)'라고 표기될 경우 사탕수수를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
서 고구마의 생약명으로는 번서(番薯)를 가장 흔하게 사용합니다.
3. 주요 효능
고구마는 현대 영양학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관점에서도 다양한 효능을 지니고 있습니다.
* 비위(脾胃) 기능 강화 및 소화 촉진: 고구마는 성질이 온화하고 맛이 달아 비위를 보하
는 효능이 있습니다.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장 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변비 해소에 도움
을 줍니다. 또한, 고구마를 잘랐을 때 나오는 유액 성분(얄라핀)은 변비 개선에 효과적
입니다.
* 자양 강장: 기운을 보충해 주어 허약한 사람이나 기력이 떨어진 경우에 좋은 식품.
* 항산화 및 항암 효능: 고구마에는 베타카로틴, 안토시아닌(특히 자색 고구마에 풍부)
등 강력한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여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고 노화 방지 및 암
예방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혈당 조절 및 콜레스테롤 개선: 고구마의 식이섬유는 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완화하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면역력 증진: 비타민 C, 비타민 A 등이 풍부하여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
4. 복용법과 특징
고구마는 일반적으로 식품으로 섭취되지만, 약용으로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
습니다.
* 섭취 방식: 삶거나 찌거나 구워서 주로 섭취합니다. 조리 시 단맛이 강해지며, 특유의
부드러운 식감을 가집니다.
* 특징:
* 단맛과 포만감: 주식 대용으로 섭취하기 좋으며, 포만감이 높아 체중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껍질 섭취: 껍질에도 영양분과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므로 깨끗이 씻어 함께 섭취하
는 것이 좋습니다.
* 흑반병 주의: 고구마에 흑반병(검은무늬병)이 생기면 이포메아마론(ipomeamarone)
이라는 독성 물질이 생성되어 쓴맛을 내므로, 이 부분이 있는 고구마는 섭취하지 않아
야 합니다 [4].
5. 취급방법
5-1. 성질
고구마는 성질이 평(平)하거나 약간 따뜻하며, 맛은 달콤합니다. 비위에 들어가서 작용
합니다.
5-2. 보관방법
고구마는 저온에 약하므로, 10~15℃의 서늘하고 건조하며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하
는 것이 좋습니다. 냉장 보관 시에는 맛이 변하고 쉽게 상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박스에 신문지를 깔고 서로 닿지 않게 보관하면 좋습니다.
5-3. 약효부위
주된 약효 부위는 흙 속에서 자라는 덩이뿌리(괴근)입니다 [5].
간혹 잎이나 줄기, 즙액 등도 민간요법에서 활용되기도 합니다.
5-4. 1회 사용량
고구마는 약재라기보다는 식품의 성격이 강하므로, 1회 권장 사용량은 정해져 있지 않
습니다. 영양 간식이나 식사의 일부로 매일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과다
섭취 시 식이섬유로 인해 복부 팽만감이나 가스 발생 등의 소화 불편을 느낄 수 있습니
다.
5-5. 독성 및 장기복용
* 독성: 일반적으로 독성이 없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입니다. 다만, 앞서 언급
했듯이 흑반병에 감염된 고구마는 이포메아마론이라는 독성 물질을 함유하므로 섭취
를 금해야 합니다 [4].
* 장기복용: 특별한 부작용 없이 장기적으로 섭취하기에 매우 좋은 식품입니다. 오히려
꾸준히 섭취하면 만성 질환 예방 및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다만, 당뇨 환
자의 경우 과다 섭취는 혈당 관리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조절하여 섭취해야 합니다.
6. 채취정보
6-1. 서식지
고구마는 전 세계적으로 열대, 아열대, 온대 기후 지역에서 널리 재배됩니다. 비옥하고
배수가 잘 되는 밭에서 잘 자랍니다.
6-2. 채취기간
주로 서리가 내리기 전인 가을철(9월 하순 ~ 10월 중순)에 덩이뿌리가 충분히 영글었을
때 수확합니다. 수확 후 며칠 동안 후숙 과정을 거치면 당도가 더욱 높아집니다.
7. 약초생김새
7-1. 높이(키)
고구마는 덩굴성 식물로, 줄기가 땅을 기면서 자랍니다. 길이는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1m 이상으로 길게 뻗어나가기도 합니다.
7-2. 꽃 특징
꽃은 주로 연한 자주색 또는 흰색으로 메꽃과 식물 특유의 나팔꽃 모양을 하고 있습니
다 [2]. 재배종에서는 꽃이 잘 피지 않거나, 꽃이 피더라도 열매를 맺는 경우는 드뭅니다.
7-3. 열매 특징
주로 열매를 맺지 않으며, 우리가 섭취하는 고구마는 식물의 덩이뿌리(저장근)입니다.
7-4. 잎 특징
잎은 품종에 따라 심장형, 덩굴성, 손바닥 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식용으로
도 사용되며, 영양소가 풍부합니다.
7-5. 번식 특징
주로 씨앗을 통해 번식하기보다는 줄기를 잘라 심는 순(덩굴) 번식을 통해 영양번식을
합니다. 이 외에도 씨고구마를 통해 싹을 틔워 순을 얻거나, 뿌리 번식(종자용 고구마를
심어 생산)을 하기도 합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고구마와 유사하게 비위 기능을 돕고 소화를 원활하게 하며, 기운을 보하는 효능을
가진 약초나 식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감자: 고구마와 더불어 대표적인 구황작물이자 서류(덩이줄기) 식품으로, 소화를
돕고 비위를 건강하게 합니다.
* 마: 소화 효소가 풍부하여 소화 기능을 돕고, 자양 강장 효능이 있습니다.
* 연근: 위장을 보호하고 소화를 돕는 뮤신 성분이 풍부합니다.
* 대추: 비위를 보하고 진액을 보충하며, 몸을 따뜻하게 합니다.
9. 참고자료
* 네이버 지식백과 - 고구마 [1]
* 뉴스서천 - 우리풀 이야기 / (164)고구마 [2]
* 위키백과 - 고구마 [3]
* 네이버 블로그 - 식물성 식품 3. 서류(고구마/감자) [4]
* 네이버 블로그 - 생약명 : 번서(番薯) 0279 [5]
[1] www.youtube.com - 감자와 고구마, 이렇게나 다르다고? 인류를 배부르게 ...
(https://www.youtube.com/watch?v=0cHiQ_A-KOc)
[2] 뉴스서천 - 우리풀 이야기 / (164)고구마 - 뉴스서천
(https://www.newss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407)
[3]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고구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A%B3%A0%EA%B5%AC%EB%A7%88)
[4] blog.naver.com - 식물성 식품 3. 서류(고구마/감자)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yeonjadang1/220784041399)
[5] 네이버 블로그 - 생약명 : 번서(番薯) 0279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syc5910/222046627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