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091. 고들빼기

by 꽃단청 2025. 9. 22.
728x90

091. 고들빼기                                                                    

 

 

쌉쌀한 매력, 고들빼기 (苦菜)의 깊은 이해와 효능          

 고들빼기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들나물이자 귀한 약재, 그 쌉쌀한 맛과

뛰어난 효능으로 오랫동안 사랑받아왔습니다. 특히 뿌리에 함유된 사포닌과 이눌린은

인삼에 비견될 만큼 훌륭한 성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 개요                                                                                                                       

 고들빼기는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전국의 들판이나 밭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입니다. 특히 이른 봄부터 가을까지 채취하여 나물로 무치거나 김치로 담가

먹는 등 식용으로 널리 활용되며, 예로부터 민간과 한의학에서 다양한 질환에 사용되

어 온 중요한 약초이기도 합니다. 특유의 쌉쌀한 맛은 소화를 돕고 식욕을 돋우는 데

탁월하며, 약용으로서의 가치도 매우 높습니다.

 

2. 생약명                                                                                                                    

 고들빼기의 생약명은 '고채(苦菜)'입니다. 이는 '쓴 나물'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만주 지역에서는 '아주 쓴 뿌리 나물'이라는 뜻의 '고돌채(苦葖菜)'로도 불립니다.

외에도 '황과채(黃瓜菜)' 또는 '활혈초(活血草)'라고도 불립니다.

 

3. 주요 효능                                                                                                                

 고들빼기는 매우 다양한 유효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다채로운 효능을 발휘합니다.

소화기능 개선 및 위장 강화: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소화 기능을 좋게 하는 탁월한 효능

이 있습니다. 쌉쌀한 맛이 위액 분비를 촉진하여 소화를 돕습니다.

* 혈당 조절: 천연 인슐린이라 불리는 이눌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체내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 항암 작용: 발암성 물질의 억제에도 좋은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콜레스테롤 저하 및 혈관 건강: 체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데 기여하며,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심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주로 심장 질환과 열증을

  다스리는 데 사용됩니다.

* 독소 배출 및 해독: 체내 독소 배출에 효과적이며, 몸의 정화 작용을 돕습니다.

* 면역력 증진 및 항염: 감기로 인한 열, 편도선염, 인후염 등 염증성 질환에도 효과가

  있어 면역력 강화에 기여합니다. 비타민 A, B, C, E, 사포닌, 베타카로틴 등 다양

  한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 피부 미용 및 심신 안정: 피부 미용과 심신 안정에도 도움을 주며, 다이어트에도 효

  과가 있다고 합니다.

 

4. 복용법과 특징                                                                                                         

 고들빼기는 식용과 약용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차나 탕: 말린 고들빼기를 물에 달여 차나 탕으로 마실 수 있습니다.

* 생즙: 신선한 고들빼기를 즙으로 내어 복용하기도 합니다.

* 외상 활용: 외상 시에는 짓이겨 환부에 붙여 지혈 및 소염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식용: 쓴맛이 강하지만 김치나 무침, 나물 등으로 조리하여 섭취하면 건강에 이롭습니

  다. 특히 고들빼기김치는 경상북도에서 '써구새짠지'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5. 취급 방법                                                                                                                

 고들빼기를 약재로 사용하거나 보관할 때에는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5-1. 성질

 고들빼기는 그 이름처럼 쌉쌀한 맛이 강하며, 성질은 서늘하거나 평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몸에 열이 많은 사람에게 특히 이로우며, 해열 작용을 돕습니다.

5-2. 보관 방법

건조: 채취한 고들빼기는 깨끗이 씻어 햇볕에 잘 말려 건조된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좋습

니다. 건조 시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말리면 약효 성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밀봉: 완전히 건조된 고들빼기는 밀봉하여 습기가 없는 서늘한 곳에 보관합니다. 장기간

보관 시에는 변질을 막기 위해 냉동 보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5-3. 약효 부위

 고들빼기는 주로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약용으로 사용합니다. 특히 뿌리에는 유효 성분

인 이눌린과 사포닌이 풍부하여 그 약성이 높이 평가됩니다.

5-4. 1회 사용량

 일반적으로 고들빼기를 약용으로 달여 마실 경우, 말린 고들빼기 5~10g 정도1

사용량으로 하며, 하루 2~3회 복용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나 개인의 체질에 따라 조절

할 필요가 있습니다.

5-5. 독성

 고들빼기는 현재까지 알려진 심각한 독성은 없습니다. 그러나 특유의 쓴맛으로 인해

한꺼번에 너무 많은 양을 섭취할 경우 위장 자극이 있을 수 있으니 적정량을 지키는 것

이 중요합니다.

5-6. 장기 복용

 특별한 부작용이 없다면 장기 복용도 가능하며. 특히 혈당 조절이나 위장 건강 개선을

목적으로 할 경우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6. 채취 정보                                                                                                                

 고들빼기는 비교적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약초입니다.

6-1. 서식지

 전국의 들판, 밭 가장자리, 길가, 풀밭 등 양지바른 곳에서 흔히 자생합니다. 흙이 비옥

하고 물 빠짐이 좋은 곳에서 잘 자라는 경향이 있습니다.

6-2. 채취 기간

 고들빼기는 봄부터 가을까지 채취가 가능합니다. 어린순은 봄철 나물로 제격이며, 약용

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꽃이 피기 전이나 뿌리의 약성이 가장 좋은 가을에 채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7. 약초 생김새                                                                                                             

 고들빼기는 독특한 생김새를 가지고 있습니다.

7-1. 높이()

 줄기는 곧게 서며 보20~80cm 정도로 자라지만, 환경에 따라 1m 이상 자라기도

합니다.

7-2. 꽃 특징

 초여름부터 가을까지 줄기 끝에서 노란색 설상화가 모여 피며, 민들레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꽃잎이 길고 가늘며 여러 장이 겹쳐 있습니다.

7-3. 열매 특징

 열매는 수과(瘦果), 씨앗의 끝에 흰색 갓털이 달려 있어 바람에 의해 쉽게 날려 번식

합니다.

7-4. 잎 특징

 뿌리에서 나는 잎은 뭉쳐나며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고, 줄기에서 나는 잎은 어긋나

붙습니다. 잎을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옵니다.

7-5. 번식 특징

 주로 씨앗을 통해 번식하며, 뿌리를 통해서도 번식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갓털 달린 씨

앗이 바람에 널리 퍼져나가 쉽게 군락을 이룹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고들빼기와 비슷한 쌉쌀한 맛을 가지고 있으며 위장 기능 개선, 혈당 조절, 해독 등에

효능을 보이는 약초로는 씀바귀, 민들레 등이 있습니다. 이들 식물 역시 국화과에 속하

며 비슷한 유효 성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9. 참고 자료                                                                                                                

고들빼기는 약용 식용식물 - 역사와야생화 - 티스토리

쌉싸름한 맛이 일품인 고들빼기/채취시기, 종류, 식용방법, 성분과 효능 - 티스토리

[고화순의 나물이야기] 들에서 나는 쌉쌀한 인삼, 고들빼기 - 웹사이트 (출처 미확인으로

일반적인 정보임을 명시)

 

[1] 티스토리 - 고들빼기는 약용 식용식물 - 역사와야생화 - 티스토리

(https://win690.tistory.com/15939054)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고들빼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3397)

[3] m.blog.naver.com - 쌉싸름한 맛이 일품인 고들빼기/채취시기, 종류, 식용방법, ... (https://m.blog.naver.com/kjchol123/221987487226)

[4] 장부에 좋은 약초 - 왕고들빼기 효능 - 장부에 좋은 약초

(https://cafe.daum.net/okenzyme/PTm6/2135)

[5] www.jeonmae.co.kr - [고화순의 나물이야기] 들에서 나는 쌉쌀한 인삼, 고들빼기 (https://www.jeonm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0176)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0. 고구마  (19) 2025.09.20
089. 계수나무  (18) 2025.09.18
088. 계뇨  (18) 2025.09.18
087. 결명자  (16) 2025.09.16
088. 계뇨  (17) 2025.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