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7. 고비고사리
1. 개요
고비고사리(개고비)는 면마과(Dryopterid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양치식물로, 학명
은Dryopteris crassirhizoma입니다.우리에게 익숙한 고사리나 고비와는 다른 종이
며, 주로 산지의 숲 속 그늘진 곳이나 계곡 주변에서 자생합니다. 뿌리줄기가 굵고 옆으
로 길게 뻗는 특징이 있으며, 잎은 넓고 짙은 녹색을 띠어 비교적 웅장한 느낌을 줍니다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다양한 약리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전통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
어 왔습니다. 특히, 그 독특한 효능으로 인해 '산혈연'이라는 생약명으로 불리며, 여러
질병의 치료에 활용되었습니다.
2. 생약명
고비고사리(개고비)의 대표적인 생약명은 산혈연(山血連)입니다. '산혈연'이라는 이름
은 산에서 자라며 피와 관련된 효능, 즉 지혈(止血) 작용이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
석될 수 있습니다. 또한, 뿌리줄기의 형태 때문에 '개고비'라는 이름 외에 '면마(綿馬)',
'면마근(綿馬根)' 등으로도 불리기도 합니다.
3. 주요 효능
산혈연(개고비)은 한방에서 다양한 약리적 효능을 가진 약재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 항암 및 항염증 작용:최근 연구에 따르면 개고비 추출물이 여러 종류의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고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이는 개
고비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타닌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 해열 및 해독 작용:몸의 열을 내리고 독소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어, 열성 질환이나 독성
물로 인한 증상 완화에 활용됩니다.
* 지혈 작용:상처나 내출혈 등에 대한 지혈 효과가 있어, 외상성 출혈이나 내출혈 증상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구충 작용:체내 기생충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어, 예로부터 구충제로 사용되기도 했습
니다. 특히, 조충(촌충)을 구제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이뇨 작용:소변 배출을 촉진하여 몸의 부종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복통 및 소화기 증상 완화:위장 불편감이나 복통을 다스리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4. 복용법과 특징
산혈연은 주로 뿌리줄기를 약용으로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달여서 복용합니다.
* 약재 준비:뿌리줄기를 채취하여 깨끗이 씻은 후 말립니다. 생것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독성을 줄이기 위해 법제 과정을 거치기도 합니다.
* 복용 방법:말린 뿌리줄기를 약재로 다른 약초와 함께 달여서 탕약 형태로 복용하는 것
이 일반적입니다. 분말 형태로 만들어 복용하거나,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
다. 특히, 구충 목적으로 사용할 때는 복용 후 설사 유발 등 강한 반응이 있을 수 있으므
로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 특징:맛은 쓰고 성질은 차가우며 독성이 약간 있으므로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에 따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5. 취급 방법
5-1. 성질
산혈연은 성질이차갑습니다 (寒). 맛은쓰며 (苦), 약간의 독성(小毒)을 지니고 있습니
다. 주로 위(胃), 대장(大腸), 간(肝)경으로 작용합니다.
5-2. 보관 방법
채취하여 건조한 산혈연 뿌리줄기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습기가 없는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밀봉하여 보관하면 약효 손실과 변질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장기간 보관 시에는 건조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5-3. 약효 부위
산혈연의 약효 부위는 주로 뿌리줄기 (根莖)입니다. 이 뿌리줄기에 주요 활성 성분들
이 집중되어 있으며, 생약으로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5-4. 1회 사용량
산혈연의 1회 권장 사용량은 약재의 종류, 환자의 상태,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전문가
의 처방에 따라 조절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건조된 약재 기준으로 3~9g 정도를 달
여 복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충 목적으로 사용할 때는 용량을 늘리기도 하지만,
반드시 전문가의 지시를 따라야 합니다.
5-5. 독성
산혈연(개고비)은 약간의 독성(小毒)을 가지고 있습니다.주요 독성 성분으로는 플라
바스핀(filmaspin)과 같은 플로로글루시놀 유도체가 알려져 있습니다. 이 성분은 고
용량에서 신경계 독성이나 간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지시 없이 임의로
복용하거나 과다 복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특히, 임산부나 위장이 약한 사람은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
5-6. 장기 복용
산혈연은 약성에 비해 독성이 있는 편이므로장기 복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단기간의
특정 치료 목적(구충, 출혈 등)으로 전문가의 지도하에 사용되어야 하며, 장기간 복용
시 독성 물질이 체내에 축적되어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6. 채취 정보
6-1. 서식지
개고비는 주로 깊은 산속의 습하고 그늘진 곳, 계곡 주변의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랍니
다. 때로는 바위틈이나 산 경사면에서도 발견됩니다.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비교적 흔하
게 볼 수 있습니다.
6-2. 채취 기간
약용 (뿌리줄기):약효 성분이 가장 충실해지는가을부터 초겨울 사이가 뿌리줄기를 채취
하기 가장 좋은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뿌리줄기가 더욱 단단하고 약리 활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봄과 여름에도 채취할 수 있습니다.채취 후 흙을 털어내고 뿌리털과
곁뿌리를 제거하여 건조시켜 약재로 사용합니다.
7. 약초 생김새
7-1. 높이(키)
개고비는 보통 잎을 포함하여 50cm에서 1m 정도의 높이로 자랍니다. 때로는 1.5m까
지 크게 자라기도 합니다.
7-2. 꽃 특징
개고비는 양치식물로꽃이 피지 않습니다.대신 포자를 통해 번식합니다.
7-3. 열매 특징
개고비는 양치식물이라열매를 맺지 않습니다.
7-4. 잎 특징
잎은 뿌리줄기에서 모여 나와 비스듬히 위를 향해 자라며, 길쭉한 타원형 또는 삼각형
모양입니다. 잎몸은 짙은 녹색으로 1회 또는 2회 깃털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
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습니다. 잎자루와 잎의 기부에는 짙은 갈색 또는 검은색의 비
늘 조각이 많이 붙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7-5. 번식 특징
개고비는 주로 포자 번식을 합니다. 여름철에 잎 뒷면에 작은 점 모양의 포자낭군이 형
성되며, 이 포자낭군 안에 있는 포자가 성숙하여 바람에 의해 흩어져 발아하면 새로운
개체로 자랍니다. 또한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어나가면서 새로운 싹을 틔우는 무성생식
도 가능합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산혈연(개고비)과 유사한 효능을 가진 약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면마 (Dryopteris filix-mas):개고비와 같은 면마과 식물로, 뿌리줄기를 약용하며 구충
작용이 강하여 서양에서도 구충제로 사용되었습니다. 독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고삼 (Sophora flavescens):쓴맛이 강한 약초로 해열, 해독, 살충, 소염 등의 효능이
있어 습진, 가려움증, 황달 등에 사용됩니다.
* 삼백초 (Houttuynia cordata):해열, 해독, 이뇨, 소염 효능이 있으며, 특히 염증성
질환이나 독성 물질 해독에 사용됩니다.
9. 참고 자료
[1] 네이버 블로그 - '산에서 나는 소고기' 고사리와 고비의 모든 것!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nong-up/221870535154)
[2]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 손고비 -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3] www.hani.co.kr - 산불 휩쓴 경북에 청나래고사리 활짝…입을 다물 수 없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1204234.html)
[4] blog.naver.com - 8월 27일의 탄생화 ― 고비 / 고비 전설과 꽃말 / 고비와 ... (https://blog.naver.com/lysook7/223982255784?fromRss=true&trackingCode=rss)
[5] www.wikitree.co.kr - 독성 있는 식물로 만들었는데… 지금은 한국인의 식탁에서 ... (https://www.wikitree.co.kr/articles/1040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