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5. 고본
머리부터 발끝까지 아픔을 다스리는 지혜,
고본(藁本)의 심층 해부
찬 바람이 스며드는 계절, 혹은 알 수 없는 통증으로 불편함을 느낄 때, 우리 선조들은
자연 속에서 치유의 지혜를 찾아왔습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두통'과 '풍습' 질환에 널리
사용되어 온 귀한 약재가 바로 고본(藁本)입니다. 그 이름에서부터 '마른 뿌리'의 강인함
을 엿볼 수 있는 고본은 다양한 효능으로 오랫동안 사랑받아왔습니다.
1. 개요
고본(藁本,Ligusticum jeholense또는Angelica tenuissima)은 산형과(Umbelliferae)
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뿌리를 한약재로 사용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오대산,
설악산, 덕유산, 지리산 등 한랭한 고지대에서 주로 자생하며 재배되기도 합니다.
'고본'이라는 이름은 약초의 밑동이 벼가 마른 것과 비슷하다고 하여 '마를 고(藁)'와 '
뿌리 본(本)'이 결합되어 불리게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 고본은 특히 통증을 멎게 하고,
몸 안의 습한 기운과 풍(風)한 기운을 몰아내는 데 탁월한 효능을 지녀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로 활용됩니다.
2. 생약명
고본의 생약명은 식물명과 동일하게 '고본(藁本)'입니다.
이름의 유래는 마른 벼 이삭과 뿌리의 모습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3. 주요효능
고본은 예로부터 다양한 질환에 널리 활용되어 온 약재입니다. 고서에 기록된 주요
효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통증 완화: 특히 두통에 탁월한 효능을 보입니다. '상한론(傷寒論)'에서는 태양병(太
陽病)으로 인한 두통, 정수리 통증(巓頂痛)을 치료한다고 하였고, 한사(寒邪)가 뇌로
들어가 치아와 뺨까지 통증이 연결된 경우에도 효과적입니다. 또한 차고 붓고 통증이
있는 증상, 배가 당기는 증상, 풍습으로 인한 초기 통증에도 매우 좋습니다 .
* 풍습 제거: 몸 안의 습사(濕邪)와 풍사(風邪)를 제거하여, 풍습병으로 인한 통증이나
냉증을 치료합니다 .
* 피부 개선: 살을 돋게 하고 얼굴색을 좋게 하며, 김창(金瘡, 쇠붙이에 다친 상처)을 치
료하고 목욕제나 화장품 원료로도 사용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사마귀, 기미, 딸기코,
여드름, 간질(癎疾) 등 다양한 피부 질환에도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 전염병 치료: '진권(甄權)'은 160종의 전염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 혈액 순환 촉진 및 이뇨: 소변을 시원하게 하고 혈액 순환을 좋게 하는 활혈(活血)
효능이 있어, 잘 낫지 않는 두통과 기미 치료에도 기여합니다.
4. 복용법과 특징
고본은 주로 탕제로 달여 내복하거나 외용제로 사용합니다.
* 내복: 건조한 고본 뿌리를 물에 달여 차처럼 복용합니다. 특히 두통, 풍습으로 인한
통증 등에 효과적입니다. 다른 약재와 배합하여 처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외용: 피부 질환이나 상처 부위에 달인 물로 씻어내거나, 가루 내어 바르는 형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목욕제나 화장품 재료로도 사용될 수 있다고 전해집니다.
5. 취급 방법
고본을 약재로 사용할 때에는 그 성질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보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1. 성질
고본은 성질이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습니다. 주로 태양경(太陽經)으로
들어가 풍사(風邪)와 습사(濕邪)를 발산시키는 작용이 강합니다.
5-2. 보관 방법
가을에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후 보관합니다. 완전히 건조된 고본은 습기와 직
사광선을 피해 밀봉하여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해야 약효 성분을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5-3. 약효 부위
고본은 주로 '뿌리'를 약용으로 사용합니다 .
5-4. 1회 사용량
탕제로 내복할 경우, 건조된 고본 6~12g을 1회 사용량으로 권장합니다. 개인의 증상과
체질, 다른 약재와의 배합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지도를 따르는 것이 중
요합니다.
5-5. 독성
고본은 일반적인 용량에서는 독성이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한약재와
마찬가지로 과량 복용 시에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특정 체질이나 질환을 가진
환자는 전문가와 상담 후 복용해야 합니다. 특히 음허(陰虛)하고 혈(血)이 부족한 자
는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5-6. 장기 복용
특별한 부작용이 없거나 전문가의 지도를 받는 경우 장기 복용이 가능합니다. 만성적인
두통이나 풍습성 통증 관리에 활용될 수 있으나, 주기적인 상태 확인이 필요합니다.
6. 채취 정보
고본은 주로 한랭한 고지대에서 자생하는 식물이므로 채취 지역에 대한 이해가 필요.
6-1. 서식지
고본은 한랭한 기후를 선호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오대산, 설악산, 덕유산, 지리산 등
과 같은 높은 산의 시원하고 습한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6-2. 채취 기간
약효가 가장 좋은 시기는 가을입니다. 가을에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약재로 사
용합니다.
7. 약초 생김새
고본은 산형과 식물 특유의 생김새를 지니고 있습니다.
7-1. 높이(키)
줄기는 곧게 서며 보통 60cm~1.5m 정도까지 자라납니다.
7-2. 꽃 특징
여름에 줄기 끝에 복산형꽃차례로 작은 흰색 꽃들이 모여 핍니다. 우산 모양으로 퍼져
피는 것이 특징입니다.
7-3. 열매 특징
열매는 편평한 타원형으로, 2개의 분과(分果)가 붙어 있으며 미세한 털이 있습니다.
7-4. 잎 특징
잎은 어긋나게 달리며 2~3회 깃털처럼 깊게 갈라집니다. 갈라진 조각들은 좁고 길쭉한
형태를 띠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7-5. 번식 특징
주로 씨앗을 통해 번식합니다. 직파 재배도 가능하지만, 육묘 이식 재배가 대부분이며,
파종 후 2년간 키운 후에 수확합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고본과 같이 풍사를 몰아내고 통증을 완화하는 효능을 지닌 약초로는 '천궁(川芎)',
'백지(白芷)', '강활(羌活)' 등이 있습니다. 특히 천궁과 백지는 두통 치료에 함께 사용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9. 참고 자료
* 고본 : 네이버 블로그
* 고본(藁本) 효능 (167) - 블로그
* 약초 유기재배<9>고본 - (사)흙살림연구소
* 고본(藁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고본의 효능~~ - 효사모(자연산약초와 발효효소를 배우는 사람들)
[1] m.blog.naver.com - 고본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lbk0113/220471361468)
[2] 블로그 - 고본(藁本) 효능 (167) - 블로그
(https://m.blog.naver.com/ehdyto02/220856213598)
[3] (사)흙살림연구소 - 약초 유기재배<9>고본 - (사)흙살림연구소
(http://www.heuksalim.com/info/sub2_3.asp?seq=1502&boardId=info02_3&mode=read)
[4] 한국학중앙연구원 - 고본(藁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3596)
[5] 효사모(자연산약초와 발효효소를 배우는 사람들) -
^**^ 고본의 효능~~ - 효사모(자연산약초와 발효효소를 배우는 사람들)
(https://m.cafe.daum.net/okenzyme/q9iM/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