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가, 나

098. 고사리

by 꽃단청 2025. 10. 6.
728x90

098. 고사리                                                                        

 

 

1. 개요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는 고사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양치

식물로, 전국의 산과 들에서 흔히 자생하며 우리에게는 식용 나물로 매우 친숙합니다.

봄철에 돋아나는 어린 순은 '산나물의 제왕'이라고 불릴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특유의 향과 맛으로 다양한 요리에 활용됩니다.식용 가치 외에도, 고사리는 오래전부터

한방에서 약용으로도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그 뿌리는 뛰어난 효능을 지닌 약재로 귀히

여겨졌습니다. 본 글에서는 고사리의 식용으로서의 특징보다는 약용으로서의 가치와 생

약명 궐근(蕨根)에 집중하여 상세히 탐구해 보겠습니다.

 

2. 생약명                                                                                                                    

 고사리의 뿌리를 약용으로 사용할 때의 생약명은 궐근(蕨根)입니다. '궐(蕨)'은 고사리

를 의미하며, '근(根)'은 뿌리를 뜻하므로, 고사리의 뿌리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때로는 고사리 자체를 '궐(蕨)'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잎 부분을 '궐엽(蕨葉)'이라고도

합니다.그 외에 '고사리근(高沙利根)', '소각(小角)', '오각(烏角)' 등의 이명도 가지고 있

습니다.

 

3. 주요 효능                                                                                                                

 고사리 뿌리, 즉 궐근은 한방에서 다양한 효능을 지닌 약재로 활용됩니다.

* 해열(解熱) 작용:궐근은 몸의 열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줍니다. 감기 등으로 인한 발열

  증상 완화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수(利水) 작용:몸 안의 불필요한 수분을 배출시키는 이뇨 작용을 촉진하여, 소변이

  잘 나오게 돕고 부종을 개선하는 데 유용합니다.

* 청열(淸熱) 작용:몸속의 불필요한 열을 식히고 염증을 완화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 활장(滑腸) 작용:장 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변비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고사리 자체에 풍부한 식이섬유 또한 배변 활동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 해독(解毒) 작용:체내의 독소를 제거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기타:민간에서는 신경통, 사지 무력, 황달, 학질 등에도 활용되기도 했습니다.

 

4. 복용법과 특징                                                                                                         

 궐근은 뿌리줄기를 가을부터 다음 해 봄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사용합니다.

* 약용:건조된 궐근을 한약재로 달여 탕약 형태로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전문가

  의 처방에 따라 다른 약재와 배합하여 사용하며, 주로 해열, 이수, 해독 목적으로 활용

  됩니다.

* 식용:고사리의 어린 순은 봄철 대표적인 산나물로, 데쳐서 나물로 무치거나 볶음, 국

  등 다양한 음식에 활용됩니다. 독성 때문에 반드시 충분히 삶아 물에 우려내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5. 취급 방법                                                                                                                

5-1. 성질

 궐근은 성질이차고 (寒), 맛은달고 쌉쌀합니다 (甘苦). 주로 심(心)경, 소장(小腸)경,

방광(膀胱)경으로 작용합니다. 해열 및 이뇨 작용을 하는 점을 볼 때, 열을 내리고 습을

제거하는 데 적합한 약재로 볼 수 있습니다.

5-2. 보관 방법

 채취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시킨 궐근은 직사광선을 피하고 습기가 없는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밀봉하여 보관하면 약효 손실과 변질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장기간 보관 시에는 건조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3. 약효 부위

 고사리의 약효 부위는 생약명 '궐근'에서 알 수 있듯이 주로 뿌리줄기(根莖)입니다.

이 뿌리줄기에는 다양한 약리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어 약용으로 활용됩니다.

5-4. 1회 사용량

 궐근의 1회 권장 사용량은 환자의 체질, 증상,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드시

한의사 등 전문가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건조 약재 기준으로

1일 6~12g을 달여 복용합니다. 독성 문제로 인해 임의로 용량을 증감하는 것은 피해

야 합니다.

5-5. 독성

 고사리는 생으로 섭취할 경우독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요 독성

성분으로는 티아미나제(thiaminase)와 프타퀼로사이드(ptaquiloside)가 있습니다.

티아미나제:비타민 B1(티아민)을 파괴하여 비타민 B1 결핍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프타퀼로사이드:동물 실험에서 발암 가능성이 보고된 성분입니다.

 이러한 독성 물질은 고사리를끓는 물에 충분히 삶고 여러 차례 물을 갈아가며 우려내는

과정을 통해 대부분 제거되므로, 반드시 올바른 방법으로 조리하여 섭취해야 합니다.

날것으로 섭취하거나 제대로 우려내지 않고 섭취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5-6. 장기 복용

 고사리, 특히 궐근을 약재로 장기 복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독성 물질 문제와 더불어, 고사리가 가진 차가운 성질 때문에 몸이 찬 사람이나 소화

기능이 약한 사람이 장기간 복용하면 복통, 설사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약용 목적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 후 복용 기간과 용량을 엄수해야 합니다.

 

6. 채취 정보                                                                                                                

6-1. 서식지

 고사리는 햇볕이 잘 들고 토양이 비옥한 산비탈, 들판, 밭둑 등 다양한 환경에서 폭넓게

자생합니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6-2. 채취 기간

* 식용 (어린 순):봄철, 주로4월 말에서 6월 초까지어린 순이 돋아날 때 채취합니다. 어린

  순이 잎으로 완전히 펴지기 전, 갈고리 모양으로 말려 있을 때 채취하는 것이 가장 부드

  럽고 맛이 좋습니다.

* 약용 (뿌리줄기):약용으로 사용할 뿌리줄기는가을부터 이듬해 봄 사이에채취합니다.

  이 시기에 뿌리줄기가 단단해지고 약효 성분이 응집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7. 약초 생김새                                                                                                             

7-1. 높이(키)

 고사리는 잎자루를 포함하여 보통20cm에서 80cm 정도로 자라며, 때로는 1m에 달하

기도 합니다.

7-2. 꽃 특징

 고사리는 양치식물이므로꽃이 피지 않습니다.

7-3. 열매 특징

고 사리는 양치식물이므로열매를 맺지 않습니다.

7-4. 잎 특징

 잎은 뿌리줄기에서 돋아나며, 세 개로 갈라진 후 다시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는 3회 깃꼴

겹잎 형태를 띱니다. 삼각형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의 윤곽을 가지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입니다. 어린 순은 특징적인 갈고리 모양으로 말려 있으며, 솜털로 덮여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7-5. 번식 특징

 고사리는포자 번식과뿌리줄기(근경) 번식을 모두 합니다. 여름철에 잎 뒷면에 갈색의 포

자낭군이 형성되어 포자를 만들고, 이 포자가 바람에 의해 흩어져 발아하면 새로운 개체가

됩니다. 또한 땅속으로 길게 뻗어나가는 뿌리줄기에서 새로운 순이 돋아나 무성생식을 통

해 번식하기도 합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궐근과 비슷한 효능을 가진 약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창이자 (蒼耳子):해열, 해독, 통증 완화 효능이 있으며, 특히 코막힘이나 알레르기 비염

  등에 활용됩니다.

* 대황 (大黃):강한 사하(瀉下) 작용을 통해 변비를 해소하고 해열, 해독 작용이 있습니다.

* 활석 (滑石):이뇨 작용이 뛰어나 소변을 원활하게 하고 열을 내리는 데 사용됩니다.

 

9. 참고 자료                                                                                                                

* 약용으로 쓰는 것은 뿌리이며 가을부터 다음해 봄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쓰며

  생약명으로 궐근(蕨根)이라 한다. 궐근은 해열(解熱) 이수 ...

* 2020,10,20일(화) 한국의 생약자원 □ 식물명 : 고사리 □ 학 명 : Pteridium aquilinum

  var. lat iusculum □ 과 명 : 고사리과 □ 생약명 : 궐근(蕨根)

* 잎자루의 길이 20~80Cm,. 키 1m정도 자란다. ​. 다른 이름 : 고자리. 생약명 : 궐근(蕨

  根 뿌리줄기를 말린 것),. 궐엽(蕨葉 잎을 말린 것). ​. ​. ​ ...

* 고사리는 약재 명으로 궐(蕨)이라고 하며 뿌리줄기도 궐근(蕨根)이라 하며 약으로 사용

  합니다. 주 효능은 청열(淸熱) 열을 없애는 것, 활장 ...

* 고사리 효능과 먹는법 ... 산나물로 나물요리의 대명사입니다. 식이섬유소가 풍부하여

  배변활동을 돕는 고사리는 여러 요리의 부재료로 첨가되기도 합니다.

* 고사리 채취는 4월 말에서 6월 초까지 채취를 합니다. 끝부분에 잎으로 피기 전 어린

  순을 끊어주게 됩니다.

* 우리명. 고사리 ; 학명.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 과명. 고사리과 ; 생약

  명. 궐근(蕨根) ; 이명. 고사리근(高沙利根). 소각(小角). 오각(烏角) ...

* 고사리를 날 것으로 먹으면 골수조혈계통에 손상을 주는데 특히 적혈구의 생성과 적혈

  구의 59Fe결합을 억제하고, 혈소판과 백혈구를 감소시키고 광범위한 ...

* 고사리는 나뭇재를 넣고 삶아서 우려내어 건조시켜 사용한다. 또는 소다를 넣고 삶아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 딱! 요즘에 많이 나오는 고사리. 4월 초부터 5월 말까지 채취할 수 있는데요! 충남 청양

  (중부지방)은 4월 초부터였어요!!

 

[1] www.janews.co.kr - 고사리 (https://www.j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4)

[2] 네이버 블로그 - 생약명 : 궐근(蕨根) 0353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syc5910/222121397075)

[3] 산청한방항노화 - 효능별 - 산청한방항노화 (https://www.sancheong.go.kr/oriental/selectMedhrbWebView.do?key=1243&codeId=TTOM02&dstrctSe=&useRegnSe=&csnt=&medhrbNo=52&pageUnit=5&searchCnd=all&searchKrwd=&textKrwd=&flowerBegin=&flowerEnd=&fruitBegin=&fruitEnd=&pageIndex=1)

[4] m.blog.naver.com - 고사리 효능 약성, 산야초 산약초,자연산 약초, 약용 식물 산나물 ... (https://m.blog.naver.com/choebuja/220992640843)

[5] www.jejunews.com - () 고사리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1325)

[6] blog.naver.com - 고사리 효능과 먹는법 (https://blog.naver.com/jirisan_food/220271088242?viewType=pc)

[7] www.nongsaro.go.kr - 초보 농사꾼의 고사리 재배기...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x/psxa/mlrdCurationDtl.mo;jsessionid=dEiYPLCnZ1EK4y41BiyXQ5gytab9IVRDa6rZC6zzumpXO49K0VQLg5gX0aq9lfWD.nongsaro-web_servlet_engine1?menuId=PS03974&curationNo=536&pageIndex=1&sAreaCode=&sCtgCode=&sType=all&sWord=&curaCnt=359&sSortType=rdcnt)

[8] www.youtube.com - 간경화 초기 진단 받자마자 고사리로 효과 봤다? 간 건강에 ... (https://www.youtube.com/watch?v=nyAp9giwAJ0)

[9] www.iksaeng.com - () / 고사리 (http://www.iksaeng.com/hub/hubMain.jsp?hubnos=vxcyapeq&with=or&from=dong)

[10] 헬스케어뉴스 - 고사리 먹어야 할까, 말아야 할까? - 헬스케어뉴스 (http://www.hcnews.or.kr/news/69986)

[11] www.youtube.com - 고사리로 간암을 완치했다? 암 완치에 도움되는 고사리 효능! (https://www.youtube.com/watch?v=LSAz1C_Bc3s)

[12] blog.naver.com - 고사리 채취 시기, 준비물, 주의사항부터 명당, 말리는 방법 ... (https://blog.naver.com/yak-bang/223877045056?fromRss=true&trackingCode=rss)

[13] www.youtube.com - 고사리로 간암을 완치했다? 암 완치에 도움되는 고사리 효능! (https://www.youtube.com/watch?v=LSAz1C_Bc3s)

[14] www.bosa.co.kr - 고사리, 안전하게 섭취하세요!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7129)

[15] 티스토리 - 고사리 채취시기 - 수줍은 농부 - 티스토리 (https://dngstory.tistory.com/269)

[16] 고사리 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 - 고사리 채취-고사리 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 (https://blog.naver.com/yoous2923/222724471013?viewType=pc)

[17] www.youtube.com - 고사리, 자연산 고사리 채취시기와 채취방법 그리고 ... (https://www.youtube.com/watch?v=QCp596a5eYM)

[18] www.lampcook.com - 고사리 자생산채류 효능 이용부위와 이용법 (http://www.lampcook.com/food_story/herb_sub_story_view.php?idx_no=3-11)

[19] 네이버 블로그 - 고사리 채취시기 방법 효능 요리 고비나물 차이점 -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wltnr6839665/222703031671)

[20] www.korea.kr - 산에서 나는 소고기 '고사리'다양한 효능 알고 먹어요! (https://www.korea.kr/multi/visualNewsView.do?newsId=148928679)   

 

 

                                                                                                                                  

 

728x90

'약초 > 가,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7. 고비고사리  (9) 2025.10.04
096. 고비  (9) 2025.10.02
095. 고본  (11) 2025.09.30
094. 고마리  (13) 2025.09.28
093. 고로쇠나무  (12) 2025.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