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 고추
고추(苦椒), 생약명 번초(蕃椒)의 약용 탐구
가지과에 속하는 고추는 매운맛의 대명사일 뿐만 아니라, 동양 전통 의학에서는 ‘번초’
라는 생약명으로 불리며 오랜 세월 중요한 약재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1. 개요
고추(Capsicum annuum, C. frutescens)는 가지과(Solanaceae)에 속하는 1년생 초
본 식물로,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열대에서 온대 지역에 걸쳐 널리 재배되고 있습니
다. 그 매운맛 덕분에 전 세계인의 식탁에서 사랑받는 식재료이지만, 한약재로서 '번초
(蕃椒)'는 주로 소화를 돕고 몸을 따뜻하게 하는 약효를 지니고 있어 활용 가치가 높습니
다. 『대한민국약전』에는 고추와 그 변종을 '고초(苦椒)'로,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
약)규격집』에는 고춧가루를 수재하고 있을 정도로 공식적인 약재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2. 생약명
고추의 생약명은 번초(蕃椒)입니다. 이 외에도 매운맛이 강하고 이국적이라는 의미에
서 고초(苦草), 당추, 날초, 고치, 남만초(南蠻草), 남초(南椒), 당초(唐草), 왜초(倭草)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번초는 심, 비, 폐 경락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주요 효능
번초는 그 매운 성질을 바탕으로 다양한 약리적 효능을 발휘합니다.
온중산한(溫中散寒):속을 따뜻하게 하고 차가운 기운을 흩어주는 효능이 있어 복부 냉
증으로 인한 설사, 소화불량 등에 사용됩니다.
건위소식(健胃消食):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소화를 촉진하는 작용이 있어 식욕 부진이
나 소화 불량 증상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활혈거어(活血祛瘀):혈액 순환을 활발하게 하고 어혈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어 타박상,
근육통, 관절통 등 통증 완화에 활용되기도 합니다. 특히 외용으로 찜질이나 파스 형
태로 사용될 때 더욱 두드러집니다.
발한해표(發汗解表):땀을 내어 몸 표면의 나쁜 기운을 발산시켜 감기 초기 오한이나 발
열에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통경락지통(通經絡止痛):경락을 소통시켜 통증을 멎게 하는 작용으로 신경통, 류마티
스성 관절염 등에 민간에서 사용되기도 합니다.
4. 복용법과 특징
번초는 매운맛이 강하여 직접적인 다량 복용보다는 다른 약재와 배합하거나 소량 사용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주로 약용으로 사용될 때는 건조된 고추나 고춧가루 형태로 활
용됩니다. 탕제에 소량 가미하거나, 환약에 첨가하여 약효를 돕는 보조제로 사용됩니다.
또한, 외부 통증 완화를 위한 외용제로 활용될 때는 연고나 파스 형태로 만들어 국소 부
위에 적용합니다.
5. 취급방법
5-1. 성질
번초는 성질이 뜨겁고(熱), 맛은 매운(辛)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심(心), 비(脾)
, 폐(肺)의 경락에 작용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몸이 차거나 소화 기능이 약한 사
람에게는 이로우나, 몸에 열이 많거나 음허화왕(陰虛火旺)한 체질의 사람에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5-2. 보관방법
번초는 습기에 약하므로, 건조하고 서늘하며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직
사광선을 피하고 밀폐 용기에 넣어두면 품질과 약효를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춧가루 형태로 보관할 경우, 산패를 막기 위해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5-3. 약효 부위
주로 약용으로 사용되는 부위는 열매(과실)입니다. 잘 익은 고추 열매를 건조하여 사용
합니다.
5-4. 1회 사용량
번초는 매운 성질이 강하여 한 번에 많은 양을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약용 처방에서 건조된 열매 기준 1~3g 정도를 사용하며, 체질과 증상에 따라 가감합니다
. 외부 약용으로는 더 많은 양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5-5. 독성
번초의 주성분인 캡사이신은 매운맛을 내는 동시에 약리적 효과를 나타냅니다. 과도하
게 섭취할 경우 위 점막을 자극하여 위염, 위궤양, 속 쓰림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
히 위장 질환이 있는 환자나 임산부는 사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피부에
직접 접촉 시 자극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5-6. 장기 복용
번초는 열이 많은 약재이므로 장기 복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장기간 복용 시 체내의
진액을 소모시키고 열을 축적시켜, 구갈(口渴), 변비, 피부 트러블 등의 부작용을 일으
킬 수 있습니다. 약용 목적으로 장기 복용이 필요할 경우에는 반드시 한의사 또는 전문
가와 상담하여 복용 여부와 용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6. 채취 정보
6-1. 서식지
고추는 본래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이지만,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밭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농가에서 대규모로 재배되며, 흔히
접할 수 있는 작물입니다.
6-2. 채취 기간
고추 열매는 여름부터 가을철(대략 7월에서 10월 사이)에 완전히 익었을 때 주로 채취
합니다. 이때 수확된 고추를 건조하여 약용 또는 식용으로 사용합니다.
7. 약초 생김새
7-1. 높이(키)
고추는 1년생 초본 식물로,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 30cm에서 1m 내외로 자
랍니다.
7-2. 꽃 특징
작고 흰색의 꽃이 잎겨드랑이에 1개씩 또는 몇 개씩 모여 피며, 품종에 따라 연한 녹색
이나 자주색을 띠기도 합니다. 꽃잎은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이 노란색입니다.
7-3. 열매 특징
열매는 보통 타원형이거나 원뿔형이며, 익으면 붉은색, 노란색, 주황색 등으로 변합니
다. 매운맛의 정도와 크기는 품종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약용으로는 붉게 잘 익은
열매를 건조하여 사용합니다.
7-4. 잎 특징
잎은 어긋나게 달리며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끝은 뾰족합니다. 전체적으
로 짙은 녹색을 띠며 윤기가 있습니다.
7-5. 번식 특징
주로 씨앗을 통해 번식하며, 봄철에 씨앗을 심어 재배합니다. 자가 수분 또는 곤충에 의
해 수분되어 열매를 맺습니다.
8. 비슷한 효능의 약초
번초와 비슷한 온중산한(溫中散寒) 및 건위소식(健胃消食) 효능을 지닌 약재로는 다
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생강(生薑):성질이 따뜻하고 매워 속을 따뜻하게 하고 소화를 도우며, 감기 초기 증상
완화에 좋습니다.
* 건강(乾薑):생강을 말린 것으로, 생강보다 더 뜨거운 성질을 가지며 온중산한 효능이
강하여 복부 냉증에 더욱 효과적입니다.
* 초피(川椒):매운맛과 함께 얼얼한 마비감을 주며, 온중산한, 건위소식 효능 외에 해독
및 지통(止痛) 작용이 있습니다.
9. 참고자료
* 고추 (苦椒)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 생활 속 생약이야기 - 고추 - 약초세상 - 티스토리.
* 고추, 번초(蕃椒).
* 고추, 당추, 날초 辣椒 ,번초蕃椒 효능.
* 고추, (고초(苦草), 번초(番草), 남만초(南蠻草), 남초(南椒), ...).
[1] healstation.tistory.com - 고추 (苦椒)의 특성과 성분 약효 및 이용법 (https://healstation.tistory.com/entry/%EA%B3%A0%EC%B6%94-%E8%8B%A6%E6%A4%92%EC%9D%98-%ED%8A%B9%EC%84%B1%EA%B3%BC-%EC%84%B1%EB%B6%84-%EC%95%BD%ED%9A%A8-%EB%B0%8F-%EC%9D%B4%EC%9A%A9%EB%B2%95)
[2] 티스토리 - 생활 속 생약이야기 - 고추 - 약초세상 - 티스토리
(https://worldherb.tistory.com/461)
[3] blog.naver.com - 고추, 번초(蕃椒)
(https://blog.naver.com/gg6710/140205650994)
[4] m.blog.naver.com - 고추, 당추, 날초 辣椒 ,번초蕃椒 효능
(https://m.blog.naver.com/karos8811/221244233898)
[5] m.cafe.daum.net - 고추, (고초(苦草), 번초(番草), 남만초(南蠻草), 남초(南椒), ... (https://m.cafe.daum.net/azqqazqq/YEgV/516?listURI=%2Fazqqazqq%2FYEgV)